
18/04/2025
지난해 2월 6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긴급브리핑을 열어 △지역의료 필수제 도입 △의대 정원 기존 3,058명에서 5,038명으로 증원 △필수 의료 패키지 등을 골자로 한 의료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의대 정원 확대 결정은 27년 만이다. 이에 전국 의대생들은 의료개혁을 위해 마련된 재원이 충분치 않으며, 의대 교육의 질 저하가 우려된다는 이유로 반발했다. 같은 달 16일 전국 40개 의대의 학생 대표로 구성된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이하 의대협)는 임시총회를 열어 의료개혁 철회를 요구하며 20일부터 전국 모든 의대의 동맹휴학을 결정했다. 우리 학교 의대 학우들 또한 비상시국대응위원회(이하 비대위)를 조직해 정부의 의료개혁 주장에 반박하는 ‘의료정책 패키지 분석’ 보고서를 작성해 공식 인스타그램에 게시한 뒤 동맹휴학에 참여했다. 이러한 의대생들의 반발에도 정부는 대학별 증원 정원을 확정하고 집단 휴학을 승인한 대학에 △시정명령 △정원 감축 △학생 모집 정지 등 행정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중략)
한편 학우들이 수업에 참여하더라도 복학한 24학번 학우들과 증원된 신입생들이 같은 학년에서 수업을 듣게 됨에 따라 학사 운영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우리 학교는 이번 학기 의대 정원 확대에 따라 기존 40명에서 대폭 늘어난 112명의 신입생을 선발했다. 이에 따라 복학생과 신입생이 함께 수업을 들을 경우, 기존 정원을 기준으로 마련된 교육 환경이 수용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의대는 교수와 학생 간 밀도 높은 상호작용이 이뤄지는 실습 교육이 중요하나, 수업 인원이 많아지면 이러한 교육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리 학교와 교수진은 다양한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다. 김 책임은 “더 많은 학생을 수용하기 위해 강의실 및 실습실 리모델링을 진행하고 있으며 교내에서 의학관 외에 강의실도 확보해 놓은 상황”이라며 “의대 교직원 추가 채용도 계획 중이다”고 전했다. 또한 우리 학교 의대 고학년 실습수업을 운영 중인 C교수는 “지금은 수강인원이 40명이지만, 나중에는 3배인 120명이 될 수 있다는 연락을 개인적으로 전달받았다”며 “이에 1인 1 프로젝트로 진행되던 실습을 3인 1 프로젝트로 변경할지 등 수업 방식을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다만 교수진을 대상으로는 교직원 증원이나 수업 방식 변화와 같은 구체적 조치에 대한 안내는 제한적이었다는 의견도 있다. B교수는 “교육의 질을 유지하면서 많은 학생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사전 준비와 계획이 병행돼야 한다”며 “아직 증원과 관련해 학교 측의 구체적 계획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듣지 못해 우려된다”고 전했다.
B교수는 “갈등은 변화를 위한 계기가 될 수 있는 만큼 지금 필요한 것은 상호 비난이 아니라 신뢰를 회복하려는 진정성 있는 대화와 협력의 의지”라고 전했다. 의료 공백을 메우고 의대 교육과정을 정상화하기 위해서 정부와 의료계의 꾸준한 소통과 신뢰 회복이 필요한 시점이다.
자세한 기사는 프로필 링크트리를 참고해주세요.
기사 | 신아림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