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바이오스펙테이터 Contact information, map and directions, contact form, opening hours, services, ratings, photos, videos and announcements from 바이오스펙테이터, Media/News Company, Seoul.

'Bio Spectator' provide latest information on biotechnology company, new drug, pipeline, clinical trials and more for professionals and decision makers within biotech industry.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이 PDE4B 저해제를 특발성폐섬유증(IPF)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으며 10여년만에 새로운 약물의 시판허가를 이끌어냈습니다. 지난 2014년...
10/10/2025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이 PDE4B 저해제를 특발성폐섬유증(IPF)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으며 10여년만에 새로운 약물의 시판허가를 이끌어냈습니다. 지난 2014년 회사의 첫 IPF 치료제인 ‘오페브(Ofev)’를 출시한 이후, 이번에 새로운 계열의 약물개발에 성공하게 됐습니다.

IPF는 빅파마들의 여러 개발시도에도 불구하고 치료제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는 분야입니다. 이번 베링거의 PDE4B 저해제 ‘네란도밀라스트(nerandomilast)’ 이전까지는 오페브와 로슈(Roche)의 ‘에스브리에트(Esbriet)’ 등 단 2가지 약물만이 IPF 치료제로 시판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베링거는 네란도밀라스트의 시판허가로 IPF 치료제 시장에서 선두자리를 계속 이어나갈 수 있게 됐습니다. 회사의 첫 IPF 약물인 오페브는 지난해 40억달러의 매출을 올리며 회사의 주력 매출제품으로 자리하고 있으나, 오는 2029년 미국 특허가 만료될 예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이 PDE4B 저해제를 특발성폐섬유증(IPF)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으며 10여년만에 새로운 약물의 시판허가를 이끌어냈다. 지난 2014년 회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 교수의 연구실에서 분사한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Algen Biotechnology)와 5억5500만달러 규모의...
10/10/2025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 교수의 연구실에서 분사한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Algen Biotechnology)와 5억5500만달러 규모의 AI기반 타깃발굴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제니퍼 다우드나 UC버클리대 교수는 유전자 가위 CRISPR-Cas9을 개발한 공로로 지난 2020년 노벨화학상을 공동수상한 바 있습니다. 다우드나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은 춘하오황(Chun-Hao Hwang) 박사가 지난 2018년 크리스틴 두(Christine Du)와 함께 알젠바이오를 공동설립했습니다. 다우드나 교수는 알젠바이오의 고문(advisor)을 맡았네요.

알젠바이오는 지난 6일(현지시간) 아스트라제네카와 면역학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타깃을 발굴하는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왼쪽부터)춘하오황 박사,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 크리스틴 두 알젠바이오 공동설립자(출처=알젠바이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 교수의

오노파마슈티컬(Ono Pharmaceutical)이 위암 1차치료제로 EP4 저해제 ‘ONO-4578’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임상2상에서 표준요법(SoC) 대비 1차종결점인 무진행생존기간(PFS)을 늘렸네요. EP4 ...
10/10/2025

오노파마슈티컬(Ono Pharmaceutical)이 위암 1차치료제로 EP4 저해제 ‘ONO-4578’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임상2상에서 표준요법(SoC) 대비 1차종결점인 무진행생존기간(PFS)을 늘렸네요. EP4 저해제는 면역항암 기전의 약물입니다. 종양미세환경(TME) 내에서 종양세포는 프로스타글란딘E2(prostaglandin E2, PGE2)를 분비하며, 이때 PGE2는 EP4 수용체에 결합해 종양 면역을 억제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EP4 길항제(antagonist)인 ONO-4578을 투여해 종양 면역을 회복시키는 컨셉입니다.
이에 앞서 오노는 위식도접합부암(GEK)을 포함한 위암 3차이상 치료제 세팅에서 ONO-4578과 옵디보 병용요법의 효능 및 내약성 프로파일을 확인했고, 이번에 첫 임상2상 결과가 도출된 것입니다. 다른 경쟁사로 국내에서는 오스코텍이 카나프테라퓨틱스(Kanaph Therapeutics)로부터 라이선스인한 EP2/4 이중길항제 ‘OCT-598’로 지난 5월 FDA 임상1상 IND를 승인받아, 연내 투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오노파마슈티컬(Ono Pharmaceutical)이 9일 위암 1차치료제로 EP4 저해제 ‘ONO-4578’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임상2상에서 표준요법(SoC) 대비 1차종결점인 무진행생존기간(PFS)을 늘렸다고 밝혔

미국 머크(MSD)가 차기 블록버스터 제품으로 기대하고 있는 ‘윈리베어(Winrevair, sotatercept)’의 더 초기세팅 폐동맥고혈압(PAH) 임상3상에서도 증상악화 위험을 76% 줄인 인상적인 결과를 확인...
10/10/2025

미국 머크(MSD)가 차기 블록버스터 제품으로 기대하고 있는 ‘윈리베어(Winrevair, sotatercept)’의 더 초기세팅 폐동맥고혈압(PAH) 임상3상에서도 증상악화 위험을 76% 줄인 인상적인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윈리베어는 액티빈을 저해하는 Trap 약물로, 머크가 오는 2028년 ‘키트루다’의 특허만료를 앞두고 회사의 새로운 핵심 매출에셋으로 투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머크는 윈리베어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만큼 고무적인 임상결과를 연달아 도출하고 있습니다.

윈리베어는 지난해 폐동맥고혈압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시판되고 있습니다. 윈리베어는 지난해 2분기 첫 출시 이후 15개월만에 누적 매출로 10억달러를 돌파했습니다. 머크는 윈리베어로 한해 최대 수십억달러의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폐동맥고혈압을 넘어 다른 폐고혈압 타입과 심부전으로까지 적응증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미국 머크(MSD)가 차기 블록버스터 제품으로 기대하고 있는 ‘윈리베어(Winrevair, sotatercept)’의 더 초기세팅 폐동맥고혈압(PAH) 임상3상에서도 증상악화 위험을 76% 줄인 인상적인 결과를 내놨

노보노디스크가 이제는 MASH 영역에서 주도권을 확실히하기 위해, FGF21 플레이어 아케로테라퓨틱스(Akero Therapeutics)를 47억달러에 인수키로 결정했네요. 아케로는 현재 주1회 피하투여 FGF21 ...
09/10/2025

노보노디스크가 이제는 MASH 영역에서 주도권을 확실히하기 위해, FGF21 플레이어 아케로테라퓨틱스(Akero Therapeutics)를 47억달러에 인수키로 결정했네요. 아케로는 현재 주1회 피하투여 FGF21 유사체 ‘에프룩시퍼민(efruxifermin, EFX)’의 MASH(F2~F3)와 간경변(F4)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임상3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MASH 분야에서 빅파마의 FGF21 딜이 잇따르고 있으며, 이번 딜은 최근 5개월만에 GSK, 로슈에 이은 3번째 딜이네요.
이는 노보노디스크의 리더십이 지난 8월 마이크 두스타르 CEO로 교체되고 첫 딜입니다. 두스타르 대표는 “에프룩시퍼민이 승인될 경우 단독 또는 GLP-1 약물 ‘위고비’와 병용요법으로 MASH에서 핵심적인 치료제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인수딜을 논의하기 시작한 시점에 대해 딜 직후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그는 “오랫동안 여러 에셋에 대해 논의해왔고, CEO를 맡은 후 시작된 것은 아니다”며 “우리가 추구하는 전략 내 ‘best-in-class’와 잠재적인 ‘first-in-class’ 에셋을 계속해서 찾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이제는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영역에서 주도권을 확실히하기 위해, 9일(현지시간) FGF21 플레이어 아케로테라퓨틱스(Akero Therapeutics)를 47억달러에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0/2-10/9)  #전체기사▶ GSK, 엠마 웜슬리 CEO ‘돌연 사임’..누적된 "실적부진"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14▶ 노바티스...
09/10/2025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0/2-10/9) #전체기사

▶ GSK, 엠마 웜슬리 CEO ‘돌연 사임’..누적된 "실적부진"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14

▶ 노바티스, ‘新경구 약물’ BTK 저해제 CSU “FDA 승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24

▶ HLB 베리스모, ‘CD19 CAR-T’ 림프종 1상 “FL 첫 투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42

▶ 셀트리온, '램시마SC' 3상 사후분석 "UEGW 발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46

▶ 젠큐릭스, 美바이오래드와 ‘종양 진단키트’ EU 공급계약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43

▶ 수트로, 인력 33% 추가감축.."ADC 파이프라인 우선"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27

▶ 다케다, '세포치료제' 사업 완전중단.."포기 선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45

▶ 9월 비상장 바이오투자, 3곳 581억.."초기까지 고른투자"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20

▶ 리가켐, ‘HER2 ADC’ 글로벌 1상 ESMO서 "첫 공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33

▶ GC녹십자, '창립 58주년' 기념식·시상식 개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50

▶ 올해 ‘자랑스러운한미인상’에 정민숙·안문환 그룹장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51

▶ '유바 투자' 美팝바이오텍, AD 백신 "美 NIH 과제선정"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36

▶ 노벨 생리의학상, '말초면역관용' 발견 3人 수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54

▶ [기고]'조용한 수호자' Treg 노벨상 "면역치료의 진화"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57

▶ 할로자임, ‘新 SC기술’ 일렉트로파이 "9억弗 인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6548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10/2-10/9) #전체기사

할로자임(Halozyme)은 지난 1일(현지시간) 피하투여(SC) 약물전달기술 개발사인 일렉트로파이(Elektrofi)를 9억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계약에 따라 할로자임은 일렉트로파이에 계약금으...
09/10/2025

할로자임(Halozyme)은 지난 1일(현지시간) 피하투여(SC) 약물전달기술 개발사인 일렉트로파이(Elektrofi)를 9억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계약에 따라 할로자임은 일렉트로파이에 계약금으로 7억5000만달러를 지급하며, 일렉트로파이가 개발중인 제품 3개에 대해 조건부 마일스톤(contingent milestone)으로 제품당 5000만달러를 지급하네요. 총 9억달러 규모의 인수딜입니다.

일렉트로파이는 개발중인 파이프라인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일렉트로파이 인수는 올해 4분기내에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할로자임(Halozyme)은 지난 1일(현지시간) 피하투여(SC) 약물전달기술 개발사인 일렉트로파이(Elektrofi)를 9억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계약에 따라 할로자임은 일렉트로파이에 계약금으로

“노벨상이 지금까지 20번 이상 면역학 분야에 주어져 왔다.“ 이번 수상은 단순한 뉴스가 아니라, 우리 동료들의 역사와 우리가 나아갈 미래가 연결되는 의미있는 사건으로 다가왔습니다. 흔히 T세포라고 하면 흔히 암세포...
08/10/2025

“노벨상이 지금까지 20번 이상 면역학 분야에 주어져 왔다.“ 이번 수상은 단순한 뉴스가 아니라, 우리 동료들의 역사와 우리가 나아갈 미래가 연결되는 의미있는 사건으로 다가왔습니다. 흔히 T세포라고 하면 흔히 암세포를 파괴하는 세포독성 T세포(Cytotoxic T cell)나 면역반응의 사령관인 도움 T세포(Helper T cell)를 떠올립니다. 지난 수십년 간 항체 의약품, 저분자화합물 신약, CAR-T 등은 대부분 이같은 ‘공격의 면역학’을 기반으로 발전해왔습니다.
그러나 조절T세포 (Regulatory T cell, Treg)은 그 결이 다릅니다. 이 조용한 수호자를 치료에 활용하기 위한 접근은 여러 단계로 진화해 왔죠. Treg을 산업적으로 적용하려는 시도는 IL-2부터 CAR-Treg, CCR8, COUR Pharmaceuticals, GenEdit 등까지 컨셉은 점점 진화하고 있습니다.

▲Treg 작용 컨셉, 출처=노벨위원회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 소식을 아침에 접했을 때, 놀라움과 함께 깊은 공감이 밀려왔다. 우리 회사 진에딧(GenEdit)의 슬랙 채널은 금새 뜨거워졌다. 진에딧 최고기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메리 브런코(Mary E. Brunkow) 미국 시애틀 시스템 생물학 연구소(Institute for Systems Biology) 수석 프로그램 매니저, 프레데릭 람스델(Frederi...
07/10/2025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메리 브런코(Mary E. Brunkow) 미국 시애틀 시스템 생물학 연구소(Institute for Systems Biology) 수석 프로그램 매니저, 프레데릭 람스델(Frederick J. Ramsdell)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노마 바이오테라퓨틱스(Sonoma Biotherapeutics) 과학고문, 시몬 사카구치(Shimon Sakaguchi) 일본 오사카대 면역학프런티어연구센터(Immunology Frontier Research Center) 석좌교수가 선정됐습니다.

이들은 면역체계가 신체에 해를 끼치는 것을 막는 말초면역관용(peripheral immune tolerance)에 관한 근본적인 발견에 대해 공로를 인정받았는데요. 말초면역관용은 흉선(thymus) 등 1차 림프기관에서 중추관용(central tolerance) 과정 이후에 제거되지 않은 자가반응성 T세포를, 말초조직에서 추가로 억제하는 것입니다.

▲(왼쪽부터) 메리 브런코(Mary E. Brunkow) 수석 프로그램 매니저, 프레데릭 람스델(Frederick J. Ramsdell) 과학고문, 시몬 사카구치(Shimon Sakaguchi) 석좌교수 (노벨상 웹

지난 9월 비상장 바이오기업 투자는 3곳, 58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투자규모를 살펴보면 지난 7월 1228억원을 기록한 후 8월 685억원, 9월은 581억원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지만, 지난 2022년 9월부터 올...
02/10/2025

지난 9월 비상장 바이오기업 투자는 3곳, 58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투자규모를 살펴보면 지난 7월 1228억원을 기록한 후 8월 685억원, 9월은 581억원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지만, 지난 2022년 9월부터 올해 9월까지 3년 사이에 처음으로 4개월 연속 500억원 이상의 투자유치가 이어졌다는 점에서 시장의 에너지를 되찾고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주목할 부분으로 지난달에는 시리즈B 단계의 회사들만 투자를 유치했으나, 이번 달에는 시리즈A, B, C단계로 다양해 초기투자부터 후기까지 투자가 고르게 이뤄졌습니다.

9월에 투자를 유치한 비상장 바이오기업 3곳 중 신약개발 기업은 에스씨바이오(SCBIO), 뉴라클제네틱스(Neuracle Genetics) 2곳으로 각각 140억원, 261억원을 조달했습니다.

지난 9월 비상장 바이오기업 투자는 3곳, 581억원으로 집계됐다. 투자규모를 살펴보면 지난 7월 1228억원을 기록한 후 8월 685억원, 9월은 581억원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지만, 지난 2022년 9월부터 올해

리가켐바이오가 ESMO에서 HER2 ADC ‘LCB14(caxmotabart entudotin)’의 글로벌 임상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합니다. 지금까지는 국제 학회에서 LCB14의 중국 데이터만 발표됐었고, 이번에 그...
02/10/2025

리가켐바이오가 ESMO에서 HER2 ADC ‘LCB14(caxmotabart entudotin)’의 글로벌 임상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합니다. 지금까지는 국제 학회에서 LCB14의 중국 데이터만 발표됐었고, 이번에 그 외 지역에서의 임상 결과가 처음 공개되는 것입니다. 리가켐이 LCB14를 개발하고 있는 키워드는 ‘엔허투(Enhertu, T-DXd)’ 불응성 극복이며, 앞서 지난 7월 열린 자체 R&D Day에서 엔허투를 투여받았던 환자에게서 부분반응(PR)이 관찰됐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다음으로 LCB14의 중국 파트너사인 포순파마(Fosun Pharma)가 위암에서 임상2상 결과 2건을 ESMO에서 발표하며, 이번 ESMO에서 LCB14와 PD-1 병용요법의 임상결과가 주시되네요. 마지막으로 리가켐바이오는 신규 ADC 프로젝트로 넥틴-4(nectin-4) ADC를 첫 공개하며, 경쟁이 치열한 넥틴-4 ADC 경쟁대열로 들어갑니다.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가 오는 17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종양학회(ESMO 2025)에서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LCB14(caxmo

다케다(Takeda)가 세포치료제(cell therapy) 연구를 완전 중단합니다. 한때 다케다가 항암제 부문에서 전략적 우선순위로 삼고, 과감하게 베팅했던 분야인데요. 그러나 지난해 중반부터 대규모 구조조정을 거치...
02/10/2025

다케다(Takeda)가 세포치료제(cell therapy) 연구를 완전 중단합니다. 한때 다케다가 항암제 부문에서 전략적 우선순위로 삼고, 과감하게 베팅했던 분야인데요. 그러나 지난해 중반부터 대규모 구조조정을 거치며, 사실상 거의 모든 세포치료제 프로그램을 좁혀오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12년 동안 변함이 없던 CEO가 은퇴하기로 하면서, 리더십의 변화도 예고하고 있습니다.
다케다는 전략적 포트폴리오 우선순위 조정에 따라 세포치료제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다케다는 세포치료제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고, 연구와 임상준비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 ‘외부 파트너’를 찾을 예정입니다. 더이상 자체 진행하고 있는 세포치료제 임상시험은 없네요. 이제 다케다는 핵심 영역을 저분자화합물, 바이오의약품, ADC 3가지 분야로 좁히고 있습니다.

다케다(Takeda)가 세포치료제(cell therapy) 연구를 완전 중단한다.한때 다케다가 항암제 부문에서 전략적 우선순위로 삼고, 과감하게 베팅했던 분야이다. 그러나 지난해 중반부터 대규모 구조조정을 거치며,

Address

Seoul
07333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바이오스펙테이터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Business

Send a message to 바이오스펙테이터: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