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RD

AARD Contact information, map and directions, contact form, opening hours, services, ratings, photos, videos and announcements from AARD, Publisher,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92 광화문오피시아빌딩 1329호, Seoul.

AARD ( Allergy, Asthma and Respiratory Disease) is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KAPARD) and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KAAACI).

💊 When Progesterone Triggers a Dangerous ReactionA 42-year-old woman developed DRESS syndrome—a severe allergic reaction...
20/07/2025

💊 When Progesterone Triggers a Dangerous Reaction

A 42-year-old woman developed DRESS syndrome—a severe allergic reaction with eosinophilia—after progesterone therapy for fertility.

Steroids didn’t fully help. But after starting a JAK inhibitor (upadacitinib), her symptoms finally improved, and steroids were stopped.

Hormones can trigger serious immune responses.

💊 프로게스테론이 위험한 반응을 유발할 때

42세 여성이 난임 치료 중 프로게스테론 투여 후 DRESS 증후군(호산구 증가를 동반한 심각한 약물 반응)을 겪었습니다.

스테로이드 치료에도 불완전한 반응을 보였지만, JAK 억제제(upadacitinib) 투여 후 증상이 호전되어 스테로이드를 중단할 수 있었습니다.

호르몬도 심각한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https://bit.ly/3GLtVdQ

Not All Asthma Is the Same – Even When the Airways Don’t ReactIn a study of 346 adult asthma patients across 6 hospitals...
20/07/2025

Not All Asthma Is the Same – Even When the Airways Don’t React

In a study of 346 adult asthma patients across 6 hospitals in Korea, researchers found that patients less sensitive to methacholine (PC20 > 16 mg/mL) were more likely to have late-onset asthma, obesity, and frequent exacerbations—despite showing less Type 2 inflammation (like eosinophils or FeNO).

Interestingly, these patients also tended to be undertreated based on GINA guidelines.

🧠 Takeaway: Some asthma patients may not show classic airway hyperresponsiveness, but still suffer more severe outcomes. Personalized care matters.

💨메타콜린에 반응하지 않아도 위험한 천식

한국 6개 대학병원의 성인 천식 환자 346명을 분석한 결과, 메타콜린에 덜 민감한 환자들(PC20 > 16 mg/mL)은 늦게 시작된 천식, 비만, 그리고 응급실 방문 등 악화 빈도가 더 높았습니다.

놀랍게도 이들은 호산구 수치나 FeNO 등 T2 염증 지표는 낮았지만, 치료 강도는 GINA 기준에 비해 낮았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악화를 겪었습니다.

🧠 핵심: 기도 과민성이 뚜렷하지 않다고 방심할 수는 없습니다. 천식은 개별 맞춤 접근이 필요합니다.

https://bit.ly/4lVSh41

🧠💨 Chronic Cough: Not Just a Symptom, But a Nerve Disorder?Chronic cough (8+ weeks) hurts quality of life and costs mone...
20/07/2025

🧠💨 Chronic Cough: Not Just a Symptom, But a Nerve Disorder?

Chronic cough (8+ weeks) hurts quality of life and costs money. Many cases remain "unexplained" even after testing. New research suggests it's a neuropathic condition caused by cough hypersensitivity—where nerves overreact.🧬

🔍 Genetic links found
🧪 Animal & human studies support it
💊 New treatments target nerve pathways



http://bit.ly/46CwNEv

14/02/2025

여러분, 알레르기천식호흡기학회지(AARD)에 우수한 논문을 투고해보세요! 🏆

AARD는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KAPARD) 및 **대한천식알레르기임상면역학회(KAAACI)**의 공식 학술지로, 알레르기, 천식, 임상면역학 및 소아 호흡기 질환 분야의 최신 연구를 다룹니다.

특히 우수 개제 논문으로 선정될 경우, 국외 학회 지원 대상으로 선정될 기회가 주어집니다! 📢 연구 성과를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AARD는 국문 및 영문 논문을 모두 접수하며, 오픈 액세스로 무료 제공됩니다.
📌 논문 제출 및 자세한 정보는 👉 https://aard.or.kr

많은 관심과 투고 부탁드립니다! 🙌

AARD April 2024 vol. 12 no. 2bit.ly/45P8lgJ이번호에 게새된 원저 "Approach to children with IgE-mediated food allergy with a focus...
20/06/2024

AARD April 2024 vol. 12 no. 2

bit.ly/45P8lgJ

이번호에 게새된 원저 "Approach to children with IgE-mediated food allergy with a focus on oral allergy syndrome"에서는 1,660 명의 4에서 13세 사이의 소아를 대상으로 구강알레르기 증후군의 유병률과 흔한 증상, 원인 알레르겐 등을 조사하였으며 알레르겐 별 증상의 중증도를 구분할 수 있었다.

The original article published in this issue, "Approach to Children with IgE-Mediated Food Allergy with a Focus on Oral Allergy Syndrome," investigates the prevalence, common symptoms, and causative allergens of oral allergy syndrome in 1,660 children aged 4 to 13. The study also differentiates the severity of symptoms according to specific allergens.

AARD April 2024 vol. 12 no. 2bit.ly/3RDCMk2이번호에 게재된 종설 "후두 기능이상: 정의와 진단법"에서는 천식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후두 기능이상에 대한 개요와 표준 진단 도구인 ...
20/06/2024

AARD April 2024 vol. 12 no. 2

bit.ly/3RDCMk2

이번호에 게재된 종설 "후두 기능이상: 정의와 진단법"에서는 천식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후두 기능이상에 대한 개요와 표준 진단 도구인 유발후두내시경, 치료등에 대해 소개 하여 임상에서 흔히 마주칠 수 있는 난치성 천식이나 난치성 만성 기침 환자의 정확한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정보를 제공함.

The review article published in this issue, "Laryngeal Dysfunction: Definition and Diagnostic Methods," provides an overview of laryngeal dysfunction, which causes symptoms similar to asthma. It introduces provocation laryngoscopy as the standard diagnostic tool and discusses treatment methods. This information is valuable for accurately diagnosing and planning treatment for patients with refractory asthma or chronic cough, commonly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후두기능이상 #만성기침 #기침 #기침원인 #유발후두내시경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AARD April 2024 vol. 12 no. 2bit.ly/45zTIOb이번 호에 게재된 원저인 “한국 소아에서 흰살생선 알레르기: 단일기관 후향적 연구”에서는 최초로 국내 흰살생선 알레르기가 있는 소아에서 원...
20/06/2024

AARD April 2024 vol. 12 no. 2

bit.ly/45zTIOb

이번 호에 게재된 원저인 “한국 소아에서 흰살생선 알레르기: 단일기관 후향적 연구”에서는 최초로 국내 흰살생선 알레르기가 있는 소아에서 원인 생선과 임상적 특징,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특이 IgE 검사의 활용법을 제시하여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실제 진료 환경에서의 흰살생선 알레르기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

The original article published in this issue, "White Fish Allergy in Korean Children: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presents the first findings on the causative fish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fish allergy in Korean children. It also discusses the use of specific IgE tests available in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diagnosing white fish allergy in actual clinical settings.

#생선알레르기 #흰살생선알레르기 #음식알레르기 #음식알레르기검사 #아나필락시스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Address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92 광화문오피시아빌딩 1329호
Seoul
03186

Telephone

+8225632273

Website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AARD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Business

Send a message to AARD:

Share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