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미래&과학

한겨레 미래&과학 한겨레의 미래/과학/기술 뉴스 플랫폼 "미래&과학"의 공식 트위터입니다. 한겨레의 미래/과학/기술/환경의 뉴스와 비평 플랫폼인 "미래&과학"의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입니다. (과학웹진 사이언스온 scienceon.hani.co.kr의 옛 페이스북 페이지를 사용합니다)

창턱에서 발견된 이 쌀바구미는 날개를 펼친 자세로 죽는 바람에,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곤충 표본이 됐다. 아마도 바깥 세상으로 나가려던 마지막 순간에 무슨 이유에서인가 좌절된 것으로 보인다.
18/10/2025

창턱에서 발견된 이 쌀바구미는 날개를 펼친 자세로 죽는 바람에,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곤충 표본이 됐다. 아마도 바깥 세상으로 나가려던 마지막 순간에 무슨 이유에서인가 좌절된 것으로 보인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시세계의 경이로운 모습을 함께 나누는 현미경 사진 공모전 ‘니콘 스몰월드’ 올해의 수상작이 발표됐다. 대상인 1위는 쌀바구미가 날개를 활짝 펼친 채 쌀알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을 포착한 사진이 차지했....

수명이 다한 스타링크 위성들이 매일 1~2기씩 지구 대기권으로 추락하고 있다.
17/10/2025

수명이 다한 스타링크 위성들이 매일 1~2기씩 지구 대기권으로 추락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저궤도 군집위성 발사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다. 하늘에서 별 대신 위성을 보는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천문학자들은 위성들이 밤하늘에서 만드는 밝은 줄무늬가 천체 관측을 방해하고 있다...

한·중·일 동아시아 3국 중에선 한국인의 정서 건강이 가장 나쁜 상태로 나타났다.
16/10/2025

한·중·일 동아시아 3국 중에선 한국인의 정서 건강이 가장 나쁜 상태로 나타났다.

전 세계 성인 10명 중 4명은 걱정과 스트레스 속에 하루의 대부분을 보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갤럽이 세계보건정상회의(World Health Summit)와 공동으로 발표한 ‘세계 정서 건강 현황(State of the World’s Emotional Hea

뇌가 커졌다고 인간이 단숨에 포식자가 된 건 아니다.
15/10/2025

뇌가 커졌다고 인간이 단숨에 포식자가 된 건 아니다.

인류 진화 역사에서 250만년 전에 등장한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 손재주 있는 사람이란 뜻)는 ‘사람’을 뜻하는 '호모(Homo)'라는 이름을 가진 첫번째 인류 집단이다. 과학자들은 이들이 인간의 고유한 특징인 복잡한 사고와 도...

떠돌이 행성이 느릴수록 지구의 공전궤도는 더 많이 변한다. 느리게 지나가면 더 오랫동안 떠돌이 행성의 중력이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14/10/2025

떠돌이 행성이 느릴수록 지구의 공전궤도는 더 많이 변한다. 느리게 지나가면 더 오랫동안 떠돌이 행성의 중력이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성간천체 3I/애틀라스(3I/ATLAS)가 7월1일 관측돼 큰 주목을 받았다. 1I/오우무아무아와 2I/보리소프에 이어 세번째로 관측된 태양계를 지나가는 성간천체였다. 관측 당시 3I/애틀라스는 태양에 점점 가까이 다가가고 있는 중이고, 태...

화성 여행을 목표로 하는 일론 머스크의 차세대 로켓 스타십이 준궤도 왕복비행에 연속 성공했다.
14/10/2025

화성 여행을 목표로 하는 일론 머스크의 차세대 로켓 스타십이 준궤도 왕복비행에 연속 성공했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의 우주기업 스페이스엑스가 개발 중인 역대 최대, 최강 로켓 스타십이 연속 두번에 걸쳐 준궤도 왕복비행에 성공했다. 스페이스엑스는 13일 오후 6시24분(한국시각 14일 오전 8시24분) 텍사스 보카치카 ...

살아 있는 사람에게 돼지 간을 이식하는 실험이 처음으로 성공했다. 돼지 신장 이식에 이어 간에 대해서도 이종 장기이식이 현실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3/10/2025

살아 있는 사람에게 돼지 간을 이식하는 실험이 처음으로 성공했다. 돼지 신장 이식에 이어 간에 대해서도 이종 장기이식이 현실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살아 있는 사람에게 돼지 간을 이식하는 실험이 처음으로 성공했다. 몇몇 임상시험 사례가 등장한 돼지 신장 이식에 이어 간에 대해서도 이종 장기이식이 현실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종 장기이식이란 부족한 장기 공급 문....

가을 하늘에 4개의 혜성이 나타났다. 외계에서 온 것도 있고, 난생 처음 태양에 근접하는 것도 있다.
10/10/2025

가을 하늘에 4개의 혜성이 나타났다. 외계에서 온 것도 있고, 난생 처음 태양에 근접하는 것도 있다.

이번 가을은 혜성과 조우하는 계절이 될 듯하다. 청명한 가을 하늘에 태양계의 끝에서 날아온 혜성 3개와 태양계 너머 외계에서 온 성간 혜성 1개가 잇따라 오고 있다. 성간 혜성을 포함한 여러 혜성이 동시에 접근하는 것은 매.....

최근까지도 달에 지질학적 활동이 있었다는 증거가 발견됐다.
05/10/2025

최근까지도 달에 지질학적 활동이 있었다는 증거가 발견됐다.

천문학에서는 생명체 존재가 아닌 지질학적 활동성을 기준으로 ‘살아 있는 천체’와 ‘죽은 천체’를 구분한다. 지질학적 활동성을 판단하는 지표는 크게 에너지원으로서의 천체 내부 열, 화산이나 얼음 분출 등의 지질 활동,...

우주의약 개발 신생기업 스페이스린텍(Space LiinTech)은 2일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진행한 국내 첫 우주의약 연구 모듈 ‘BEE-PC1’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02/10/2025

우주의약 개발 신생기업 스페이스린텍(Space LiinTech)은 2일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진행한 국내 첫 우주의약 연구 모듈 ‘BEE-PC1’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우주의약 개발 신생기업 스페이스린텍 (Space LiinTech)은 2일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진행한 국내 첫 우주의약 연구 모듈 ‘BEE-PC1’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 8월 말부터 한 달간 진행한 실험에서 폐....

오는 6일 한가위에 뜨는 보름달은 올해 첫 슈퍼문이다.
02/10/2025

오는 6일 한가위에 뜨는 보름달은 올해 첫 슈퍼문이다.

오는 6일 한가위에 뜨는 보름달은 올해 첫 슈퍼문이다. 하지만 한가위 때까지 비가 오거나 흐린 날 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보름달을 보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슈퍼문이란 평소보다 더 크고 밝은 보름달을 가리키는 말이다. ...

산소가 없는 달에서도 녹이 슨다. 지구에서 날아온 산소 입자가 범인으로 보인다.
01/10/2025

산소가 없는 달에서도 녹이 슨다. 지구에서 날아온 산소 입자가 범인으로 보인다.

2020년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와 하와이대 연구진은 인도 달 탐사선 찬드라얀 1호의 ‘달 광물 지도작성기(M3)’가 2009년에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달의 극지 근처에서 적철석을 발견했다. 적철석은 철이 풍.....

Address

Seoul
04186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한겨레 미래&과학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