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주간 생활정보

호주 주간 생활정보 Sydney Korean Magazine(Since1987)
"Advertising Services"
-Print Magazine
-Digital Magazine

올해로 창간35주년을 맞아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주간 생활정보는
호주 내 뉴스와 교민 내 소식을 중심으로 문화와 교육, 연예와 오락을 다루는 대중들을 위한 문화지로 자리잡았습니다.
주간 생활정보는 독자 여러분의 관심과 사랑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항상 친절하며 열려있는 주간생활정보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주간 생활정보

[버스 운전기사 모집]Marrickville,메릭빌에 위치한 버스운영업체에서 캐주얼 버스/코치 운전기사를 모딥합니다.문의: 0404 252 585 #시드니운전  #시드니버스  #시드니픽업  #시드니일자리
14/08/2025

[버스 운전기사 모집]
Marrickville,메릭빌에 위치한 버스운영업체에서 캐주얼 버스/코치 운전기사를 모딥합니다.
문의: 0404 252 585
#시드니운전 #시드니버스 #시드니픽업 #시드니일자리

[1577 공항픽업]: 믿고맡기는 시드니 공항 픽업 서비스예약: 0403 441 577카톡 ID: 1577 call #시드니공항  #시드니공항픽업  #시드니여행  #시드니대리운전  #시드니관광  #시드니픽업
14/08/2025

[1577 공항픽업]: 믿고맡기는 시드니 공항 픽업 서비스
예약: 0403 441 577
카톡 ID: 1577 call
#시드니공항 #시드니공항픽업 #시드니여행 #시드니대리운전 #시드니관광 #시드니픽업

해외여행을 떠나기 전, 호주 정부의 공식 여행 정보 서비스 Smartraveller를 꼭 확인하세요!📌 방문 국가의 위험 수준📌 현지 법, 문화, 건강 정보📌 이중국적자 주의사항📌 긴급 상황 대응 요령까지!여권, 비...
01/07/2025

해외여행을 떠나기 전, 호주 정부의 공식 여행 정보 서비스 Smartraveller를 꼭 확인하세요!

📌 방문 국가의 위험 수준
📌 현지 법, 문화, 건강 정보
📌 이중국적자 주의사항
📌 긴급 상황 대응 요령까지!

여권, 비자, 보험 준비는 물론
예상치 못한 상황에도 대비할 수 있는
스마트한 여행자의 필수 파트너 Smartraveller!

📍 이 기사는 2025년 6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호주 정부 Smartraveller와의 콘텐츠 파트너십을 통해 제공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매거진 또는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
https://www.smartraveller.gov.au/before-you-go/the-basics

#호주정부 #해외여행준비 #여행정보 #여행안전 #스마트트래블러 #여행팁 #이중국적자주의 #호주여행자

✈️ 겨울철 해외여행 안전하게 준비하세요! ❄️🌏– 호주 외교통상부 Smartraveller의 여행 안전 가이드겨울이 찾아오며 동남아, 유럽 등 따뜻한 곳으로 여행을 떠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호주 외교통상부...
30/06/2025

✈️ 겨울철 해외여행 안전하게 준비하세요! ❄️🌏
– 호주 외교통상부 Smartraveller의 여행 안전 가이드

겨울이 찾아오며 동남아, 유럽 등 따뜻한 곳으로 여행을 떠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호주 외교통상부의 Smartraveller에서는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을 위한 실용적인 조언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 여행 전 꼭 확인하세요!

여권, 비자 등 여행 서류 준비

포괄적인 여행자 보험 가입

예방접종 등 건강 관련 준비

소지품 안전하게 지키기

안전하게 파티 즐기기

응급 상황 시 대처 방법 알아두기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Smartraveller 겨울 여행 안전 정보 보기

🌐 여러 언어로도 제공되며, 여행 전에는 반드시 Smartraveller에 구독 신청해 최신 정보를 받아보세요.

문의: [email protected]

#호주여행안전 #겨울여행준비 #여행자보험 #해외여행팁 #여행전체크리스트 #안전한여행

[코리아 페스티벌] with Smart traveller한국 문화의 아름다움을 함꼐 나누다.
05/06/2025

[코리아 페스티벌] with Smart traveller

한국 문화의 아름다움을 함꼐 나누다.

화해란 무엇인가? 호주에서 화해(reconciliation)란 모든 호주인들의 이익을 위해 호주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제도 원주민과 비원주민 간의 관계 강화를 의미합니다. 호주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제도 원주민들에...
29/05/2025

화해란 무엇인가?

호주에서 화해(reconciliation)란 모든 호주인들의 이익을 위해 호주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제도 원주민과 비원주민 간의 관계 강화를 의미합니다.

호주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제도 원주민들에게 있어 호주의 식민지 역사는 토지 강탈, 폭력, 인종 차별로 특징 지어지는 참상입니다.

그러나 지난 반 세기 동안, 화해를 위한 여러 중대한 진전들이 이루어져 왔습니다.

그러나 화해는 계속되는 여정입니다. 호주인들은 여러 세대에 걸쳐 의미 있는 변화를 도출하기 위해 분투해 왔으나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는 더 많이는아니더라도 적어도 그 정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는 점을 상기시키고 있습니다.

국가 화해 주간

국가 화해 주간(National Reconciliation Week)은 우리가 공유하는 역사, 문화, 업적에 관해 배우고, 우리 개개인이 호주에서 화해를 이루기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는 시간입니다.

국가 화해 주간은 매년 5월 27일부터 6월 3일까지 진행됩니다.

5월 27일은 호주인들이 호주 헌법에서 호주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제도 원주민을 차별하는 법/규정을 삭제하기로 결정한 1967년 국민투표 기념일입니다.

6월 3일은 영국의 식민지화에도 불구하고 호주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제도 원주민의 땅에 대한 권리가 유지되어 왔음을 인정한 1992년 마보 고등법원판결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매년 국가 화해 주간에는 수천 개의 직장, 학교, 어린이 보육 시설, 대학교, 지방 자치 단체, 지역 공동체 및 개인들이 자체적으로 공개 또는 비공개 행사를 진행합니다.

2025 국가 화해 주간

2025 국가 화해 주간(NRW)의 주제, ‘지금을 다음으로 잇기(Bridging Now to Next)’는 과거와 현재, 미래의 지속적인 연결을 반영합니다.

화해의 여정에서 호주가 불확실성에 직면한 시기에 이 주제는 모든 호주인에게 함께 앞으로 나아가기를 촉구합니다.

‘지금을 다음으로 잇기(Bridging Now to Next)’는 우리 모두가 과거의 교훈이 이끄는 대로 앞을 내다보고 계속 전진할 것을 촉구합니다.

칼카둔 여성, 브리 버텐쇼(Bree Buttenshaw)가 제작한 테마 작품 속 토종 식물들은 화재 후에 재생하고 역경을 이겨내는 것으로 알려진 것들로, 우리의 집단적 힘과 재생 가능성을 상징합니다. 지금은 성장과 성찰, 그리고 함께 걸어 나아가겠다는 약속의 시간입니다.

호주 화해의 역사는 쭉 이어져 온 것이 아닙니다. 큰 진전을 이루기도 하고 실망스러운 퇴보를 경험하기도 했습니다.

25년 전, 코로보리 2000에서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도서민, 비원주민 지도자들이 모여 역사적인 화해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우리는 2025년에도 그 과업을 계속하며 모든 호주인을 ‘지금을 다음으로 잇기(Bridging Now to Next)’에 초대하여 더욱 단합되고 존중받는 국가를 건설하고자 합니다.

출저:
https://www.reconciliation.org.au/our-work/national-reconciliation-week/translated-resources/

2025 국가 화해 주간지금을 다음으로 잇기Bridging Now to Next  2025년 5월27일-6월 3일화해란 무엇인가? 호주에서 화해(reconciliation)란 모든 호주인들의 이익을 위해 호주 원주민...
21/05/2025

2025 국가 화해 주간
지금을 다음으로 잇기
Bridging Now to Next
2025년 5월27일-6월 3일

화해란 무엇인가?

호주에서 화해(reconciliation)란 모든 호주인들의 이익을 위해 호주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제도 원주민과 비원주민 간의 관계 강화를 의미합니다.

호주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제도 원주민들에게 있어 호주의 식민지 역사는 토지 강탈, 폭력, 인종 차별로 특징 지어지는 참상입니다.

그러나 지난 반 세기 동안, 화해를 위한 여러 중대한 진전들이 이루어져 왔습니다.

그러나 화해는 계속되는 여정입니다. 호주인들은 여러 세대에 걸쳐 의미 있는 변화를 도출하기 위해 분투해 왔으나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는 더 많이는아니더라도 적어도 그 정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는 점을 상기시키고 있습니다.

국가 화해 주간

국가 화해 주간(National Reconciliation Week)은 우리가 공유하는 역사, 문화, 업적에 관해 배우고, 우리 개개인이 호주에서 화해를 이루기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는 시간입니다.

국가 화해 주간은 매년 5월 27일부터 6월 3일까지 진행됩니다.

5월 27일은 호주인들이 호주 헌법에서 호주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제도 원주민을 차별하는 법/규정을 삭제하기로 결정한 1967년 국민투표 기념일입니다.

6월 3일은 영국의 식민지화에도 불구하고 호주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제도 원주민의 땅에 대한 권리가 유지되어 왔음을 인정한 1992년 마보 고등법원판결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매년 국가 화해 주간에는 수천 개의 직장, 학교, 어린이 보육 시설, 대학교, 지방 자치 단체, 지역 공동체 및 개인들이 자체적으로 공개 또는 비공개 행사를 진행합니다.

2025 국가 화해 주간

2025 국가 화해 주간(NRW)의 주제, ‘지금을 다음으로 잇기(Bridging Now to Next)’는 과거와 현재, 미래의 지속적인 연결을 반영합니다.

화해의 여정에서 호주가 불확실성에 직면한 시기에 이 주제는 모든 호주인에게 함께 앞으로 나아가기를 촉구합니다.

‘지금을 다음으로 잇기(Bridging Now to Next)’는 우리 모두가 과거의 교훈이 이끄는 대로 앞을 내다보고 계속 전진할 것을 촉구합니다.

칼카둔 여성, 브리 버텐쇼(Bree Buttenshaw)가 제작한 테마 작품 속 토종 식물들은 화재 후에 재생하고 역경을 이겨내는 것으로 알려진 것들로, 우리의 집단적 힘과 재생 가능성을 상징합니다. 지금은 성장과 성찰, 그리고 함께 걸어 나아가겠다는 약속의 시간입니다.

호주 화해의 역사는 쭉 이어져 온 것이 아닙니다. 큰 진전을 이루기도 하고 실망스러운 퇴보를 경험하기도 했습니다.

25년 전, 코로보리 2000에서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도서민, 비원주민 지도자들이 모여 역사적인 화해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우리는 2025년에도 그 과업을 계속하며 모든 호주인을 ‘지금을 다음으로 잇기(Bridging Now to Next)’에 초대하여 더욱 단합되고 존중받는 국가를 건설하고자 합니다.

www.reconciliation.org.au

교민최초 시드니 한인 공유 사무실 오픈!!183-187 Harris St, Pyrmont NSW 2009"새로운 창업을 원하시는분, 개인 업무용 공간이 필요하신분들께 최고로 적합한 장소입니다"문의: 0402 133 ...
20/05/2025

교민최초 시드니 한인 공유 사무실 오픈!!

183-187 Harris St, Pyrmont NSW 2009

"새로운 창업을 원하시는분, 개인 업무용 공간이 필요하신분들께 최고로 적합한 장소입니다"

문의: 0402 133 333

물놀이 안전 수칙 – 해외 여행 시 꼭 확인하세요! 🌊✈️호주 사람들은 어디를 가든 바다나 수영장을 사랑하죠! 하지만 수영에 익숙하고 수영을 잘하더라도, 물에서는 언제든지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
15/05/2025

물놀이 안전 수칙 – 해외 여행 시 꼭 확인하세요! 🌊✈️

호주 사람들은 어디를 가든 바다나 수영장을 사랑하죠! 하지만 수영에 익숙하고 수영을 잘하더라도, 물에서는 언제든지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여행 전 준비하기
출발 전에 반드시 여행지의 수영 및 수상 스포츠 관련 위험 요소를 확인하세요. 다른 여행자들의 경험담을 참고하고, 정부의 여행 안전 정보를 꼭 읽어보세요.

✅ 꼭 알아야 할 물놀이 안전 수칙:
🌊 바다, 강, 호수에서의 수영

익숙하지 않은 자연 수역에서는 항상 더욱 주의하세요.

혼자 수영하지 마세요. 자신의 수영 실력을 과신하지 마세요.

잔잔해 보이는 물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해류, 조류를 확인하고, 지역 주민에게 안전한 장소와 시간대를 문의하세요.

다른 사람이 수영하지 않는 장소라면 이유를 먼저 알아보세요.

경고 표지판과 구조 요원이 있는 지역을 이용하세요.

폭우나 악천후 후에는 절대 수영하지 마세요. 물이 흐리거나 장애물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수영장 안전

호주에는 엄격한 수영장 안전법이 있지만, 해외는 다를 수 있습니다.

호텔, 리조트, 개인 숙소의 수영장은 안전 울타리가 없을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라면 수영장 근처에서는 항상 눈을 떼지 마세요.

일부 숙소는 임시 수영장 울타리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니 예약 시 확인하세요.

🚤 보트, 다이빙, 수상 스포츠

보트, 제트스키, 스노클링, 다이빙 등을 계획 중이라면, 반드시 평판이 좋은 업체를 이용하세요.

안전 기준을 준수하고 자격증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다른 이용자의 리뷰를 참고하세요.

장비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불편하면 교환 또는 환불을 요청하세요.

날씨 예보를 확인하고, 악천후 시에는 활동을 미루세요.

보트나 제트스키를 탈 때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하세요.

🍻 음주와 물놀이

술을 마신 상태에서는 수영하거나 보트 타지 마세요.

알코올은 판단력, 균형 감각, 반응 속도를 떨어뜨립니다.

술을 마신 상태로 물 근처에 가면 미끄러져 다칠 위험도 큽니다.

운전을 못할 정도로 술을 마셨다면, 수영도 금물입니다.

아이를 돌보는 중에는 절대 음주하지 마세요.

🐊 야생동물 주의

호주처럼 해외에서도 물 근처에는 위험한 야생동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태평양 지역에서는 악어와 하마 등 수중 동물이 위험할 수 있어요.

여행 전 현지 야생동물 정보를 확인하고, 여행 중에는 경고 표지판과 지역 안내를 따르세요.

표지판이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현지인에게 위험 지역을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 더 알아보기
더 많은 물놀이 안전 정보를 원하시면 Royal Life Saving Society Australia의 웹사이트를 참고하세요.

#해외여행 #물놀이안전 #여행준비 #수영주의 #안전수칙 #호주여행자안전

가정의 달을 맞아 해외여행을 계획 중이신가요?여행 전, Smartraveller 웹사이트에서 목적지에 대한 최신 여행 정보를 확인하고, 업데이트 알림도 꼭 신청하세요!예전에 가본 곳이라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안전한 ...
22/04/2025

가정의 달을 맞아 해외여행을 계획 중이신가요?
여행 전, Smartraveller 웹사이트에서 목적지에 대한 최신 여행 정보를 확인하고, 업데이트 알림도 꼭 신청하세요!
예전에 가본 곳이라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안전한 여행의 시작입니다.
모두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 되세요!

Travelling overseas for Family Month? Remember to plan ahead! Check Smartraveller’s advice for your destination and subscribe for updates - even if you’ve travelled there before. Wishing you safe travels!
✈️🎉✨

Address

Suite 409, Eastwood Centre Office Tower, 160 Rowe Street
Eastwood, NSW
2122

Opening Hours

Monday 9am - 5:30pm
Tuesday 9am - 5:30pm
Wednesday 9am - 5:30pm
Thursday 9am - 5:30pm
Friday 10am - 4pm

Telephone

+61298585877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호주 주간 생활정보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Business

Send a message to 호주 주간 생활정보: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