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미래&과학

한겨레 미래&과학 한겨레의 미래/과학/기술 뉴스 플랫폼 "미래&과학"의 공식 트위터입니다. 한겨레의 미래/과학/기술/환경의 뉴스와 비평 플랫폼인 "미래&과학"의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입니다. (과학웹진 사이언스온 scienceon.hani.co.kr의 옛 페이스북 페이지를 사용합니다)

미국의 국가 안보 문제를 연구하는 랜드연구소가 인공지능에 의한 인류 멸종 가능성을 진단하는 보고서를 내놨다.
02/07/2025

미국의 국가 안보 문제를 연구하는 랜드연구소가 인공지능에 의한 인류 멸종 가능성을 진단하는 보고서를 내놨다.

영화 ‘터미네이터’는 인공지능이 직접 인류 멸종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인간과의 사투를 담고 있다. 이 영화에서 인공지능 방어 시스템 스카이넷은 핵전쟁을 일으켜 대부분의 인간을 없애버린 뒤, 살아남은 인간마.....

근력을 키우는 데는 세션당 단 2세트만 해도 충분하며, 근육을 키우는 것이 목표라면 세션당 11세트를 할 경우 최고의 효과를 볼 수 있다.
01/07/2025

근력을 키우는 데는 세션당 단 2세트만 해도 충분하며, 근육을 키우는 것이 목표라면 세션당 11세트를 할 경우 최고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운동 초보자들이 피트니스센터에서 근력 운동을 할 때 가장 많이 듣는 조언 중 하나는 하나의 운동마다 3세트씩 하라는 것이다. 1~2세트만으로는 근육을 충분하게 자극하지 못고, 4세트 이상으로 넘어가면 불필요한 피로 누적이....

향후 3~5년 내 사회·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 기술들이다.
30/06/2025

향후 3~5년 내 사회·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 기술들이다.

다보스포럼으로 잘 알려진 국제 민간회의 조직 세계경제포럼(WEF)은 매년 중반 ‘10대 떠오르는 기술’(Emerging Technologies) 보고서를 통해 향후 3~5년 내 사회·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기술을 발표한다. 매년 초 발표되는 MIT 테크놀로...

챗GPT는 ‘생각하는 존재’가 아니라 수많은 글을 학습해 그중에서 가장 자연스럽게 이어질 말을 ‘예측하는 기술’이다.
27/06/2025

챗GPT는 ‘생각하는 존재’가 아니라 수많은 글을 학습해 그중에서 가장 자연스럽게 이어질 말을 ‘예측하는 기술’이다.

인공지능이 일상 속으로 깊숙이 들어왔지만 아직도 낯설어하는 중장년층이 많다. 요즘 디지털 세상에서 벌어지고 있는 급속한 변화의 핵심을 디지털 초심자들도 알기 쉽게 짚어주고 친숙해지도록 안내하는 칼럼을 10여회에 걸....

오스트레일리아가 싱가포르, 미국, 이스라엘에 이어 배양육을 새로운 식품으로 공식 인정한 네번째 나라가 됐다. 오스트레일리아가 승인한 배양육은 메추라기 세포를 배양한 단백질 식품이다.
27/06/2025

오스트레일리아가 싱가포르, 미국, 이스라엘에 이어 배양육을 새로운 식품으로 공식 인정한 네번째 나라가 됐다. 오스트레일리아가 승인한 배양육은 메추라기 세포를 배양한 단백질 식품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식품 당국이 배양육 식품의 시판을 승인했다. 이로써 오스트레일리아는 싱가포르와 미국, 이스라엘에 이어 배양육을 새로운 식품으로 공식 인정한 네번째 나라가 됐다. 배양육이란 동물에서 떼낸 세포를 배양.....

중국에서 새로운 고대 인류로 분류했던 호모 롱기는 알고보니 데니소바인이었다. 치석에서 채취한 DNA가 알려줬다.
25/06/2025

중국에서 새로운 고대 인류로 분류했던 호모 롱기는 알고보니 데니소바인이었다. 치석에서 채취한 DNA가 알려줬다.

네안데르탈인과 함께 현생 인류의 또 다른 사촌으로 꼽히는 데니소바인의 얼굴 특징을 짐작할 수 있는 두개골이 확인됐다. 2008년 시베리아 알타이산맥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손가락뼈 화석이 발견되면서 처음 존재가 드러난 데....

사진을 확대할수록 숨어 있던 별들이 드러난다.
24/06/2025

사진을 확대할수록 숨어 있던 별들이 드러난다.

“사진을 확대해서 볼 때마다 새롭고 흥미로운 것들을 발견하게 된다.” (베라루빈천문대의 아웃리치 담당 클레어 힉스) 32억화소의 지상 최대 카메라를 갖춘 남미 안데스 산맥 기슭의 천체망원경 베라루빈천문대 가 관측 사진....

3일마다 밤하늘 전체를 촬영하면서 앞으로 10년간 우주 타임랩스 영상을 만든다.
23/06/2025

3일마다 밤하늘 전체를 촬영하면서 앞으로 10년간 우주 타임랩스 영상을 만든다.

올해 초 ‘ MIT 테크놀로지 리뷰 ’는 남미 안데스산맥에 설치된 베라루빈천문대를 ‘2025년 10대 혁신 기술’의 하나로 꼽았다. 지난해 말부터 관측 준비를 하고 있는 베라루빈천문대가 마침내 23일 첫번째 관측 사진을 공개한다....

Address

서울특별시
04186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한겨레 미래&과학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