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07/2025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DSP 마다 왜? 파라메터의 반응이 다를까? (Ending)
" 이하의 내용은 Smaart Data Modeler를 공연 현장에서 사용 중인, ‘부산 매직음향 박성수 이사’의 사용 후기이다 "
" Smaart Data Modeler 사용기 : 레퍼런스 신호 없는 사운드 튜닝의 가능성 "
2. 효율성
첫째,
Smaart Data Modeler는 초기 측정값 한 번만 캡처하면 이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레퍼런스 신호 방출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시스템 튜닝 시, 테스트 신호를 실시간으로 방출하면서 EQing, 얼라인먼트를 진행해야 했지만, 이제는 모든 작업을 노트북 상에서 조용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스템 튜닝에 관심 없는 스텝들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지니어는 보다 창의적이고 과감한 시도도 마음 편히 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둘째,
핵심은 시뮬레이션이 실제 결과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입니다. 측정된 주파수 응답과 위상 응답 데이터를 바탕으로 필터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예측하며, 실제 시스템에 반영했을 때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Rational Acoustics사가 다양한 DSP 제조사의 알고리즘을 분석해, 필터 동작을 실제와 유사하게 모델링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Q 값이나 Gain이라도 DSP 제조사마다 실제 반응 곡선이 달라, 과거에는 엔지니어의 경험과 감으로 예상할 수밖에 없었지만, Smaart Data Modeler는 BSS, QSC, Powersoft, Lake 등 여러 프로세서의 필터 모델을 지원하고 있어 정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모델은 지금도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있어, 실제 결과와의 일치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저 역시 초반에는 Generic 필터만을 사용해서 시뮬레이션했지만, 실제 결과와 미세한 차이가 있었고, 약간의 보정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이후 BSS 모델이 추가되면서, JBL VTX + BSS Omnidrive + Crown HD12000을 사용하고 있는 저희 시스템 환경에서 보다 정확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졌습니다.
아직은 다양한 설계 포인트에서의 테스트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도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꾸준히 반복하여 연구해야 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새로운 워크플로우를 통한 예측 가능하고 빠른 튜닝 프로세스, 그리고 현장과의 마찰을 줄이는 소음 최소화 접근법은, 시스템 엔지니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큰 진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의 업데이트와 Rational Acoustics의 개발 방향성에도 큰 기대를 걸고 있으며, 현장의 현실과 기술 사이의 간극을 줄여줄 소중한 도구로 자리잡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