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ndforce

Soundforce SOUNDFORCE(SAFO)는 2001년 1월에 설립된 Live Sound & System Engineer를 위한 Live Sound Academy 입니다. "soundforce.

SOUNDFORCE(SAFO) is a specialty arcademy of sound that established at January, 2001 for Live Sound Engineer. SOUNDFORCE's goal is a instruction about having to get a technique and theory as Live Sound Engineer and Worship Sound Engineer through physical acoustic lecture and electric acoustic lecture and practice. SOUNDFORCE's lecturers organized people who choosen by verified his ability about acoustic and Live Sound Engineers in the field.

사운드 시스템 엔지니어가 다루는 1/1000초의 영역에서 2.2ms의 시간 차이가 소리의 해상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1m 이하의 수직 위치에서의 거리 차이가 과연 고민해야 할 만큼 현실적으로 의미가 있을까? ...
19/09/2025

사운드 시스템 엔지니어가 다루는 1/1000초의 영역에서 2.2ms의 시간 차이가 소리의 해상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1m 이하의 수직 위치에서의 거리 차이가 과연 고민해야 할 만큼 현실적으로 의미가 있을까?

페이즈 얼라인먼트가 정확히 맞는 지점에서만 소리가 좋게 들리는 것은 아닐까?

경험과 공부가 깡패다.....SM Program Level 2에서 !

1박 2일 일정의 SM Program Level 2(공주 세미나)수고 많으셨습니다. 참여해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6/09/2025

1박 2일 일정의 SM Program Level 2(공주 세미나)
수고 많으셨습니다. 참여해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미리 들어 본, KOOON(쿤) KL-10준비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28/08/2025

미리 들어 본, KOOON(쿤) KL-10
준비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14/08/2025

Smaart 9.6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Smaart 플랫폼 전반에 걸쳐 기능이 업데이트되었고, 특히 SPL 모듈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이제 Smaart의 데이터 바(Data Bar)는 도킹된 SPL 미터 스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최소 4개부터 시작하며, 화면 공간이 허용하는 한, 추가 미터를 배치할 수 있습니다. SPL 모드에는 SPL 보정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어, 마이크가 설치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의 대표 음압 레벨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SPL 관련 기타 업데이트로는 재설계된 보정 대화 상자와 진행 표시줄, SPL 로그 뷰어 위젯의 텍스트 입력 기능, 로그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하는 새로운 체크섬(Checksum) 메커니즘이 포함됩니다.

플랫폼 전반적으로는 데이터 바 오른쪽 클릭 메뉴가 새롭게 추가되어, ‘복사(Copy)’와 ‘붙여넣기(Paste)’ 기능을 지원해 데이터 관리가 보다 원활해졌습니다. 또한, 실시간 모드(Real Time Mode)의 타이머 기능이 개편되어, 스펙트럼(Spectrum)과 전송 함수(Transfer Function) 측정에 특화된 오버레이와 옵션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06/08/2025

사운드포스 하반기 기금 세미나 안내
" 아이폰을 활용한 음향수학 "
일시 : 8월 26일(화) 오후 8시, Zoom
강사 : " 송덕근 " 음향공학 박사
아이폰 준비해 주세요

James Bullough Lansing(제임스 불로 랜싱) History(4)압축 드라이버(Compression Driver)압축 드라이버(Compression Driver)는 고주파 대역에서 높은 음압과 정밀한 ...
05/08/2025

James Bullough Lansing(제임스 불로 랜싱) History(4)

압축 드라이버(Compression Driver)

압축 드라이버(Compression Driver)는 고주파 대역에서 높은 음압과 정밀한 위상 응답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음향 변환 장치로, 다이어프램과 위상 플러그 사이의 0.1~0.2mm 이하의 극미세 간격, 수 마이크론 단위의 정렬 공차, 고속 진동에 따른 내열성과 피로강도 확보, 그리고 슬롯 구조 내 위상 정렬 유지와 공진 억제를 포함하는 정밀한 기계·음향·재료 설계가 필수이기 때문에 제조 난이도가 매우 높은 장비이다.

하이-드라이버의 역사적 기원은 1926년 Bell Labs가 Western Electric 555를 통해 상업용으로 최초 설계한 멀티패스 위상 플러그 구조에서 시작되며, 이후 James B. Lansing이 개발한 801/284 드라이버로 계승되며 극장 음향의 산업 표준이 되었다.

JBL 창립 이후에는 175, 375, 2440, 2450 등의 고성능 드라이버가 개발되며, 알루미늄에서 티타늄, 베릴륨으로 이어지는 재료 혁신과 더불어 혼 결합의 일체화 설계가 이어졌고, 현대에는 TAD, BMS, B&C 등의 제조사들이 50kHz~ 대역까지 도달하는 드라이버를 FEM 해석 기반으로 제작하면서 정밀도와 감도 모두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밀 설계의 이론적 기반은 1950년대 초 Bob H. Smith가 JASA나 AES에서 “모드 억제(Modal Suppression)” 개념을 발표하면서 확립되었고, 그는 원형 위상 플러그(Annular Phase Plug)의 슬롯 수, 반지름, 거리차를 정량적으로 설계하여 공진 억제를 도모하는 공식을 제안했으며, 이는 1978년 Fancher Murray에 의해 상용 제작 현장으로 널리 확산되었다.

이후 2007년 Mark Dodd & Jack Oclee Brown(Celestion)은 해당 기준을 FEM(유한요소해석) 기반의 음향 시뮬레이션 설계법으로 확장하여, Radial(다이어프램의 중앙에서 바깥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뻗는 슬롯 구조) 및 Annular(다이어프램 가장자리를 따라 만든 동심원형 고리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 슬롯 구조 슬롯 구조의 정밀 위치 계산과 모드 억제 성능을 향상시키는 설계 기법을 공식화했고, 이는 이후 현대 고급 압축 드라이버의 핵심 설계 기준으로 채택되었다.

Finite Element Method (FEM, 유한 요소 해석)는 변형, 진동, 열 전달, 음향 방사 같은 복잡한 물리 현상을 정밀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치 해석 기법으로, 스피커 드라이버 설계에서는 진동판, 페이징 플러그 슬롯, 혼 내부 기하 등 구조를 미세한 요소로 분할하고 음압·위상·진동·열전달 법칙을 적용해 전체 시스템 성능을 정확히 예측하고 최적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반복 시제품 제작이나 단순 경험 없이도 고역 응답, 위상 정렬, 지향성 제어, 열 안정성을 동시에 설계 단계에서 개선할 수 있게 해주며, 실제로 Celestion, TAD, JBL과 같은 고성능 드라이버 제조사들은 FEM 기반 시뮬레이션을 응용해 슬롯 공진 억제, 음향 임피던스 매칭 최적화, 위상 정합, 방열 구조 설계 등을 사전 모델링하고 구현하고 있다.

결국, 압축 드라이버란 단순한 고음용 장치가 아니라, 정밀 기계공학, 재료공학, 열역학, 음향해석이 복합적으로 통합된 고난이도 장비로서, 그 설계는 수십 년에 걸쳐 진화해 왔으며, 그 중심에는 Western Electric, Lansing, Smith, Dodd 등 선구적 인물들이 제시한 이론적 토대와 산업적 실현이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다.

James Bullough Lansing(제임스 불로 랜싱) History(3)‘압축 드라이버(Compression Driver)’압축 드라이버(Compression Driver)는 20세기 초 미국의 Bell Te...
04/08/2025

James Bullough Lansing(제임스 불로 랜싱) History(3)

‘압축 드라이버(Compression Driver)’

압축 드라이버(Compression Driver)는 20세기 초 미국의 Bell Telephone Laboratories(벨 연구소)와 산하 제조 부문인 Western Electric(웨스턴 일렉트릭)에 의해 처음으로 이론이 정립되고 상업적으로 구현된 고감도 고음용 하이-드라이버 이다. 이 기술의 목적은 1920년대 후반, 무성 영화에서 유성 영화로 전환되는 영화 산업의 요구에 대응하여 넓은 극장 공간을 높은 명료도와 출력으로 음향 커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 아래, Bell Labs는 1926년경 최초의 상업용 압축 드라이버인 Western Electric 555W 드라이버를 개발하였고, 이는 이후 수십 년 간 극장 음향의 표준으로 군림하게 된다. 이 장치는 1인치 보이스 코일과 슬롯형 위상 플러그(Phase Plug)를 갖춘 진동판 구조로 압축 드라이버(Compression Driver)는 작은 진동판(다이어프램)이 생성한 고음을 좁은 개구(Slotted Exit)를 통해 고압으로 방출하고, 이를 혼(Horn) 구조와 결합시켜 공기와의 임피던스를 매칭함으로써 매우 높은 감도(110dB 이상)와 장거리 투사력을 실현하는 고효율 음향 방사 장치이다.

내부 구조는 보이스 코일, 다이어프램, 압축 챔버, 위상 플러그, 혼으로 이루어지며, 진동판에서 발생한 음압이 위상 플러그를 통과하며 위상 정렬을 거친 후 혼을 통해 점진적으로 확산되어 음향 왜곡 없이 청중에게 전달된다.

이는 콘 스피커보다 훨씬 높은 효율과 지향성 제어 능력을 제공하여 기존의 직접 방사형 스피커는 넓은 극장 공간에서 음을 멀리 투사하거나 고역 대역의 해상도를 유지하는 데 한계가 있었기에, 압축 드라이버는 음향 증폭 효율과 음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는 단순한 스피커 기술의 발전을 넘어, 영화 산업의 음향 기술 패러다임 자체를 바꾼 사건으로 평가된다.

압축 드라이버의 개발은 Bell Labs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1922년에 콘덴서 마이크(Model 394-W)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음향 임피던스와 음향 전송 경로에 대한 이해가 555 드라이버의 개발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압축 드라이버 기술은 Western Electric과 Bell Labs라는 조직적 연구 체계의 산물이며, 이는 단순한 드라이버 개발을 넘어, 혼 로딩 설계, 임피던스 정합, 위상 플러그 기술, 고출력 대응 구조 등 현대 고성능 스피커 설계의 모든 기반을 최초로 정립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그러나 Western Electric 555는, 진동판에서 발생한 음파를 혼(Horn)으로 전달할 때 발생하는 위상 간섭을 줄이기 위해 동심원형 슬롯 위상 플러그를 적용한 구조였지만, 제작상의 정밀도 한계, 고주파 간섭, 열 분산 문제 등 구조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Lansing은 압축 드라이버(Compression Driver) 기술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슬롯형 위상 플러그(Phase Plug) 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고주파 재생의 정밀성과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린 방사형 슬롯(Radial Slot) 위상 플러그를 도입하여 고성능 드라이버인 Model 284 및 801 드라이버를 개발한다. 이 설계는 보다 많은 슬롯을 사용해 고주파 대역의 위상 정렬을 개선하고, 음향 에너지의 혼 입구 전달을 최적화하였으며, 동시에 열 방출 구조도 향상되어 고출력 운용에 적합한 구조로 인정받는다.

Lansing의 위상 플러그 구조는 기존 Western Electric 555보다 우수한 고주파 응답 평탄도와 지향성 유지력을 갖췄고, 이로 인해 1930년대 후반 RCA, Altec, ERPI 등 경쟁 기업들이 해당 설계를 적극 참고하거나 직접 수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Altec Lansing으로의 합병과 JBL 창립을 거치며, 그는 Slot 구조뿐 아니라 동심형 링 타입(Ring-Type Phase Plug)까지 설계의 폭을 넓혔고, 이는 JBL 375, 2440, 2441 등 대표적인 대형 드라이버에서 산업 표준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결국 Lansing은 위상 플러그라는 하나의 부품을 넘어서, 혼 결합용 드라이버 설계의 핵심 사운드 전달 경로를 재정의한 선구자로 평가되며, 그의 설계는 오늘날까지도 극장, 방송, 투어링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James Bullough Lansing(제임스 불로 랜싱) History(2)20세기 초, 미국의 전화 산업은 AT&T(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의 주도로 빠르게 확...
03/08/2025

James Bullough Lansing(제임스 불로 랜싱) History(2)

20세기 초, 미국의 전화 산업은 AT&T(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의 주도로 빠르게 확장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AT&T는 통신 장비의 제조를 전담하는 자회사 Western Electric과 연구 개발을 담당하는 Bell Telephone Laboratories(벨 연구소)를 통해 강력한 삼각 체제를 구축하였다.

Western Electric은 1869년 설립된 독립 제조업체였으나, 1881년 AT&T에 인수된 후 전화 교환기, 수화기, 케이블, 리피터 등 미국 통신 인프라의 거의 전부를 독점 공급하게 되었고, 1920년대 후반에는 Bell Labs와 협력하여 극장용 음향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미국 영화산업의 음향 규격까지 장악하게 된다.

이러한 극장 음향 시스템은 정기적인 유지보수와 기술 지원이 필수적이었고, 이에 따라 Western Electric은 미국 전역에 Service Station이라 불리는 출장 기술자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1934년 미국 정부가 AT&T의 독점 체제를 문제 삼아 반독점법(Clayton Act)에 따라 강제 해체 명령을 내리면서, Western Electric은 극장 음향 시스템 부문에서의 제조 및 서비스 독점권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Western Electric의 음향 시스템을 유지,보수하던 기술자 약 50명이 1937년 독립하여 설립한 회사가 바로 Altec Service Corporation이었다. Altec은 제조 공장이 없는 순수 서비스 기업으로 출범하였으며, 초기에는 Western Electric 장비의 정비와 설치, A/S만을 담당했으나, 영화 산업의 성장과 기술 경쟁의 격화 속에서 점차 자체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확보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이 무렵, Altec의 눈에 띄게 된 것이 바로 James B. Lansing이 1927년 Ken Decker와 공동 창립한 Lansing Manufacturing Company였다. 이 회사는 비록 10명~15명 정도의 직원을 둔 소규모였고 자금 사정도 열악했지만, 랜싱이 개발한 801, 284와 같은 고출력 압축 드라이버, 그리고 1937년 발표된 세계 최초의 LF/HF 분리형 시스템인 Iconic System 등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었다.

Lansing의 제품은 Western Electric이 이전에 만든 시스템들보다도 더 정밀하고 강력한 음향 재생 능력을 보유하고 있었고, 특히 헐리우드 스튜디오들과 상업 극장들에서 극찬을 받았다.

그러나 1930년대 대공황의 여파로 인해 Lansing Manufacturing은 심각한 경영난에 처해 있었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공동 창업자 Ken Decker가 1939년 경비행기 사고로 사망하면서, 회사는 자금 조달과 영업 전선에서 치명적인 공백을 맞는다. Decker는 당시 경영 전반과 영업, 재무를 책임지던 핵심 인물이었기에, 그의 부재는 곧 회사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사태로 이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Altec은 Lansing Manufacturing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고, 이를 계기로 1941년 Lansing Manufacturing Company를 공식 인수하여, 새로운 제조 기업인 Altec Lansing Corporation을 출범시키게 된다. 이 합병을 통해 Altec은 기존의 단순 유지보수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전문 음향 장비 제조 기업으로 도약하게 되었으며, James B. Lansing은 기술 이사(Vice President of Engineering)로서 회사에 남아 Altec Lansing의 핵심 제품 개발을 주도하게 된다.

James Bullough Lansing(제임스 불로 랜싱) History(1)제임스 B. 랜싱(James B. Lansing)은 1902년 1월 14일, 미국 일리노이주 맥카우핀 카운티 그린필드(Greenfield...
03/08/2025

James Bullough Lansing(제임스 불로 랜싱) History(1)

제임스 B. 랜싱(James B. Lansing)은 1902년 1월 14일, 미국 일리노이주 맥카우핀 카운티 그린필드(Greenfield) 근처에서 제임스 마르티니(James Martini)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으며, 14남매 중 아홉째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그의 아버지는 철도 관련 일을 하던 기술자였고, 가족은 지역을 자주 옮겨 다니며 생활하였다. 친부가 사망한 이후 어머니가 재혼하면서, 제임스는 의붓아버지의 성을 따르게 되었고, James Bullough Lansing(제임스 불로 랜싱)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다. 이 “랜싱”이라는 이름은 훗날 세계 음향 산업의 아이콘이 되는 JBL의 상징으로 남게 된다.

랜싱은 어릴 적부터 기계와 전기 분야에 큰 흥미를 보였고, 라디오 수신기나 간단한 전자 장비를 스스로 조립해내는 등 남다른 기술적 감각을 드러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수도 배관공, 자동차 정비공, 무선 기술자, 항공기 엔진 정비사 등 다양한 기술직에 종사하면서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특히 항공기 정비 경험은 훗날 정밀한 스피커 드라이버 설계에 있어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이후 랜싱은 시카고에 위치한 무선학교(Chicago Radio Laboratory School)에서 무선 통신과 전자공학을 정식으로 수학하며 기술자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게 되었고, 당시 미국은 1920년대 초반으로 라디오 방송이 급속히 퍼지며 무선통신 산업이 황금기를 맞이하던 시기였다. 랜싱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뛰어들며 기술자로서 빠르게 성장해 나갔다.

랜싱은 더 넓은 기회를 찾고자 1920년대 중반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한 후, 이 지역에서 회로 설계와 부품 조달 등의 기술 협업 과정에서 켄 데킨슨(Ken Decker)을 만나게 된다. 둘은 무선통신과 음향 기술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이해를 공유하며 빠르게 의기투합했고, 공동 프로젝트를 거치며 사업 파트너로 발전하면서 1927년, 두 사람은 Lansing Manufacturing Company(랜싱 매뉴팩처링 컴퍼니)를 공동 설립하게 된다.

이때 랜싱은 스피커 드라이버와 유닛 설계 및 제조를 전담했고, 데킨슨은 사업 운영, 자금 조달, 고객 응대 등 기업 경영 전반을 맡았다. 이 파트너십은 초기 영화 음향 시스템의 진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며, JBL이라는 이름이 탄생하기 전부터 이미 세계 음향 기술의 기반을 닦는 중요한 출발점이 되었다.

Low-Pass Filter1st, Samsung FilterCutoff Frequency : 300Hz
01/08/2025

Low-Pass Filter
1st, Samsung Filter
Cutoff Frequency : 300Hz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DSP 마다 왜? 파라메터의 반응이 다를까? (Ending)" 이하의 내용은 Smaart Data Modeler를 공연 현장에서 사용 중인, ‘부산 매직음향 박성수 이사’의 사용 후기이다 "...
21/07/2025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DSP 마다 왜? 파라메터의 반응이 다를까? (Ending)

" 이하의 내용은 Smaart Data Modeler를 공연 현장에서 사용 중인, ‘부산 매직음향 박성수 이사’의 사용 후기이다 "

" Smaart Data Modeler 사용기 : 레퍼런스 신호 없는 사운드 튜닝의 가능성 "

2. 효율성

첫째,
Smaart Data Modeler는 초기 측정값 한 번만 캡처하면 이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레퍼런스 신호 방출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시스템 튜닝 시, 테스트 신호를 실시간으로 방출하면서 EQing, 얼라인먼트를 진행해야 했지만, 이제는 모든 작업을 노트북 상에서 조용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스템 튜닝에 관심 없는 스텝들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지니어는 보다 창의적이고 과감한 시도도 마음 편히 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둘째,
핵심은 시뮬레이션이 실제 결과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입니다. 측정된 주파수 응답과 위상 응답 데이터를 바탕으로 필터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예측하며, 실제 시스템에 반영했을 때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Rational Acoustics사가 다양한 DSP 제조사의 알고리즘을 분석해, 필터 동작을 실제와 유사하게 모델링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Q 값이나 Gain이라도 DSP 제조사마다 실제 반응 곡선이 달라, 과거에는 엔지니어의 경험과 감으로 예상할 수밖에 없었지만, Smaart Data Modeler는 BSS, QSC, Powersoft, Lake 등 여러 프로세서의 필터 모델을 지원하고 있어 정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모델은 지금도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있어, 실제 결과와의 일치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저 역시 초반에는 Generic 필터만을 사용해서 시뮬레이션했지만, 실제 결과와 미세한 차이가 있었고, 약간의 보정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이후 BSS 모델이 추가되면서, JBL VTX + BSS Omnidrive + Crown HD12000을 사용하고 있는 저희 시스템 환경에서 보다 정확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졌습니다.

아직은 다양한 설계 포인트에서의 테스트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도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꾸준히 반복하여 연구해야 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새로운 워크플로우를 통한 예측 가능하고 빠른 튜닝 프로세스, 그리고 현장과의 마찰을 줄이는 소음 최소화 접근법은, 시스템 엔지니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큰 진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의 업데이트와 Rational Acoustics의 개발 방향성에도 큰 기대를 걸고 있으며, 현장의 현실과 기술 사이의 간극을 줄여줄 소중한 도구로 자리잡기를 바랍니다.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DSP 마다 왜? 파라메터의 반응이 다를까? (6)" 이하의 내용은 Smaart Data Modeler를 공연 현장에서 사용 중인, ‘부산 매직음향 박성수 이사’의 사용 후기이다 "Smaar...
20/07/2025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DSP 마다 왜? 파라메터의 반응이 다를까? (6)

" 이하의 내용은 Smaart Data Modeler를 공연 현장에서 사용 중인, ‘부산 매직음향 박성수 이사’의 사용 후기이다 "

Smaart Data Modeler 사용기 : 레퍼런스 신호 없는 사운드 튜닝의 가능성

1. 필요성

공연이나 페스티벌 현장에서 효율적인 라이브 사운드 시스템을 구성하고, 안정적인 볼륨과 톤 밸런스를 구축하는 것은 모든 시스템 사운드 엔지니어의 궁극적인 목표일 것입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누구도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이를 위해 시스템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도구로 전 세계의 많은 엔지니어들이 가장 널리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바로 Rational Acoustics사의 Smaart입니다. 그러나 스피커 시스템의 특성을 측정하고 개선점을 도출해 나가는 과정에서는 Pink Noise, M-Noise, Sweep Signal과 같은 레퍼런스 신호의 방출이 불가피합니다.

이러한 높은 음압의 테스트 신호는 현장의 다른 시스템 스태프나 관계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보이지 않는 부담과 불만의 원인이 되곤 합니다. 시스템 엔지니어 입장에서는 이러한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바람이 존재합니다.

실제로 한 연출감독은 장비 반입 전부터 측정 노이즈 사용을 ‘금지’하는 지침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그렇다고 레퍼런스 음악 몇 곡만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면, 엔지니어로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려는 입장에서는 턱없이 부족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대형 라인어레이 시스템처럼 리깅 높이만 해도 사람 키의 몇 배에 이르는 경우, 레퍼런스 신호의 방출 자체가 큰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측정을 하지 않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마음 놓고 할 수도 없는 현실 속에서 늘 아쉬움이 남곤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Rational Acoustics사에서 출시한 Smaart Data Modeler는 매우 반가운 솔루션이었습니다.

Address

Anyang

Opening Hours

Monday 11:00 - 17:00
Tuesday 11:00 - 17:00
Wednesday 11:00 - 17:00
Thursday 11:00 - 17:00
Friday 11:00 - 17:00

Telephone

01094529699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Soundforce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Business

Send a message to Soundforce:

Share

Our Story

SOUNDFORCE(SAFO) is a specialty arcademy of sound that established at January, 2001 for Live Sound Engineer. SOUNDFORCE's goal is a instruction about having to get a technique and theory as Live Sound Engineer and Worship Sound Engineer through physical acoustic lecture and electric acoustic lecture and practice. SOUNDFORCE's lecturers organized people who choosen by verified his ability about acoustic and Live Sound Engineers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