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크매거진 brique.mag

브리크매거진 brique.mag 도시, 공간, 사람을 담습니다. 도시인의 삶을 풍요롭게, 일상에 영감을 주는 공간과 라이프스타일을 콘텐츠로 만들어 나눕니다.

'꽃담집'은 명봉산과 구릉지 사이, 남서쪽으로 탁 트인 풍경을 마주한 대지 위에 자리합니다. 건축가는 건축주가 원한 조용하고 프라이빗한 삶을 위해, 대지의 형태와 주변 환경을 읽으며 배치를 구상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18/08/2025

'꽃담집'은 명봉산과 구릉지 사이, 남서쪽으로 탁 트인 풍경을 마주한 대지 위에 자리합니다. 건축가는 건축주가 원한 조용하고 프라이빗한 삶을 위해, 대지의 형태와 주변 환경을 읽으며 배치를 구상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시선과 소음을 차단하면서도, 내부에서 자연으로의 시각적 확장을 최대한 열어주는 방식에 주목했습니다.

건축물의 곡률을 가진 모서리들은 네 방향에서 만나고 흩어지며, 보는 각도에 따라 산세처럼 완만해졌다가 꽃잎처럼 활짝 열립니다. 건축가는 이를 단순한 조형이 아니라, 주변 풍경의 흐름과 리듬을 건축의 표면에 새긴 결과라 말합니다.

건축가는 이 곡면들의 모음을 통해, 사용자가 집 안 어디서든 시간과 계절의 변화를 온전히 느낄 수 있는 ‘자연 속의 거주 경험’을 제공합니다.

📃 https://magazine.brique.co/project/utaa-company_house-of-flowers/

📐설계. 유타 건축사사무소 UTAA Company
👷건축가. 김창균 Changgyun Kim, 정희종 Heejong Jeong
📸사진. 김용성 mongsang
🏗️시공. (주)대명디앤씨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도이리

에디터. 김태진 글 & 자료. 유타 건축사사무소 UTAA Company 주변 소음과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운 집 대지는 명봉산과 구릉지 사이의 골짜기를 따라 난 도로에 면해 있다. 북동쪽으로는 명봉산 줄기로 둘러싸여 있으며, 남서쪽으로는...

🌱 기획자의 땅 – 특별과정 1회차 🌱공간은 단순한 장소일까요, 아니면 브랜드의 이야기를 전하는 또 하나의 ’미디어‘일까요?기획자의 땅 특별과정 첫 번째 강연에서는 📍 프로젝트렌트 최원석 대표가 을 주제로 공간을 어...
16/08/2025

🌱 기획자의 땅 – 특별과정 1회차 🌱

공간은 단순한 장소일까요,
아니면 브랜드의 이야기를 전하는 또 하나의 ’미디어‘일까요?

기획자의 땅 특별과정 첫 번째 강연에서는
📍 프로젝트렌트 최원석 대표가
을 주제로
공간을 어떻게 하나의 기획 도구로 바꾸는지 들려줍니다.

강연 후에는 직접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실험하는
💡 미니 워크숍도 함께 진행됩니다!

──────────────────
🔵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문화·예술·기획 분야로 진로를 넓히고 싶은 사람
콘텐츠 제작, 커뮤니티, 창업에 관심 있는 사람
아이디어를 직접 실험하고 싶은 사람
──────────────────
📅 일정: 8/23(토) 14:00-16:00
📍 장소: 문화라운지 영 (영등포구 신풍로 28, 비스타동원 2층)
💰 참가비: 무료 / 선착순 40명 마감
📩 문의: 브리크 기획팀 ([email protected])

📌 신청: 포스터 속 QR코드 혹은 하단 링크
👉 https://forms.gle/qzmV3bQqcANGPNLg6

‘놂: 건축입장권’은 직접 만지고 걷고 놀 수 있는 ‘참여형 건축 놀이터’입니다. 서울공예박물관 공예마당에 마련된 이 야외 전시는 여섯 팀의 학생 건축가들이 어린 시절의 첫 건축 경험인 ‘놀이기구’를 각자의 시선으로...
15/08/2025

‘놂: 건축입장권’은 직접 만지고 걷고 놀 수 있는 ‘참여형 건축 놀이터’입니다. 서울공예박물관 공예마당에 마련된 이 야외 전시는 여섯 팀의 학생 건축가들이 어린 시절의 첫 건축 경험인 ‘놀이기구’를 각자의 시선으로 재해석해 만든 작품들로 채워졌습니다.

문고리를 열고 들어서는 입구, 추상화된 미끄럼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 장치 등은 건축이 단순히 눈으로 보는 대상이 아니라, 몸과 감각으로 경험하는 공간임을 알려줍니다.

이번 전시는 ‘건축 문화 만들기’라는 목표 아래, 대중과 건축 사이의 거리를 좁히고 누구나 건축 속으로 자유롭게 들어올 수 있는 문을 엽니다. 작품과 상호작용하는 순간, 우리는 건축의 새로운 얼굴과 마주하게 됩니다. 이는 건축을 일상 속 놀이로 끌어들이고, 도시의 공공 공간을 활짝 여는 실험이자 제안입니다.

📃 https://magazine.brique.co/brq-news/architen10_exhibition/

📍 전시 정보�08.14.목 – 08.18.월 10:00 – 18:00�서울공예박물관 공예마당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 전시 일정
작가 도슨트 : 2025.08.15 ~ 08.17. 14:00 / 15:00
전시 해설 : 2025.08.15 ~ 08.17. 16:00
폐회 : 2025.08.18. 14:00

📐기획. 아키텐 architen10

에디터. 김태진 자료. 아키텐 architen10   2025년 8월 14일부터 18일까지 서울공예박물관 공예마당에서 학생건축연합동아리 아키텐 32기 프로젝트 ‘놂: 건축입장권’ 전시가 열린다. 아키텐은 2009년 설립된 서울 소재 대학생 건축 .....

인천 청라지구의 '청라동 단독주택'은 외국의 쿨데삭(cul-de-sac) 개념을 차용한 골목 중심의 커뮤니티 모델이 도입되었습니다. 앞마당과 골목에서 이웃과 마주치는 관계를 상상하며 조성된 이 구조는, 한국의 도시 ...
15/08/2025

인천 청라지구의 '청라동 단독주택'은 외국의 쿨데삭(cul-de-sac) 개념을 차용한 골목 중심의 커뮤니티 모델이 도입되었습니다. 앞마당과 골목에서 이웃과 마주치는 관계를 상상하며 조성된 이 구조는, 한국의 도시 생활과 사적 영역에 대한 선호 속에서 새로운 형태로 해석되었습니다. 건축주는 외부로 열린 구조보다는 사적인 시선을 우선시하였고, 이는 주거 공간의 위계를 뒤집는 설계 전략으로 이어졌습니다. 공용 공간은 오히려 골목에서 멀어진 2층으로 올라가며, 거실과 식당은 조망과 빛을 중심으로 재배치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절이 아닌, 관계를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골목과 직접 연결된 1층은 침실 등 사적인 프로그램이 배치되어 외부 시선을 차단하며 단단한 기단의 인상을 주고, 2층은 커튼월을 통해 풍경을 끌어들입니다. 이 집은 골목과 마당, 그리고 집의 내부 공간이 기존의 위계와 역할을 넘어서 새롭게 엮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집과 골목의 관계를 재해석하며, 이 프로젝트는 한국식 쿨데삭이 지닌 가능성과 한계 모두에 건축적 상상력으로 응답하고 있습니다.

📃 https://magazine.brique.co/project/05studio_cheongna-41-3/

📐설계. 공오스튜디오 05STUDIO
👷건축가. 정경오 Gyeongoh Chung, 이태진 Taejin Lee
📸사진. 노경 Kyung Roh
🏗️시공. (주)이든하임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한내로173번길

에디터. 김태진 글 & 자료. 공오스튜디오 05STUDIO   한국식 쿨데삭의 현실과 해석 인천 청라지구의 단독주택용지는 8세대 안팎의 소규모 필지가 모여 하나의 커뮤니티를 이루는 방식으로 조성되었다. 이는 외국의 쿨데삭(cul-de-sac)...

🌱 기획자의 땅 – 특별과정 🌱문화예술로 나만의 길을 만들고 싶나요? 에서는 현장에서 활약 중인 문화기획자·창업가들과 함께 강연과 실습 워크숍을 통해 당신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드는 과정을 경험합니다.────────...
15/08/2025

🌱 기획자의 땅 – 특별과정 🌱

문화예술로 나만의 길을 만들고 싶나요?
에서는
현장에서 활약 중인 문화기획자·창업가들과 함께
강연과 실습 워크숍을 통해
당신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드는 과정을 경험합니다.

──────────────────
🔵 대상
문화·예술·기획 분야로 진로를 넓히고 싶은 사람
콘텐츠 제작, 커뮤니티, 창업에 관심 있는 사람
아이디어를 직접 실험하고 싶은 사람

🔵 회차별 안내
1회차 8/23(토)
프로젝트렌트 최원석 대표


2회차 8/30(토)
도시탐험가 황다은


3회차 9/20(토)
넷플연가 전희재 대표


4회차 9/27(목)
보틀팩토리 정다운 대표


🔵 프로그램 구성
14:00-14:10 OT
14:10-15:10 강연
15:10-15:50 미니 워크숍(아이디어 구상 및 실습)
15:50-16:00 마무리

──────────────────
📍 장소: 문화라운지 영
(서울 영등포구 신풍로 28 비스타동원 2층)
💰 참가비: 무료
📩 문의: 브리크 기획팀([email protected])

📌 신청: 포스터 속 QR코드 혹은 하단 링크
https://forms.gle/qzmV3bQqcANGPNLg6

도시 속 건축물은 마치 정글 속 생명체처럼 생존을 위해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CIID의 '타를쓴'은 예산 초과와 비효율적인 기존 설계를 개선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골조 구조의 비효율·과도한 장식·외장재 비용...
12/08/2025

도시 속 건축물은 마치 정글 속 생명체처럼 생존을 위해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CIID의 '타를쓴'은 예산 초과와 비효율적인 기존 설계를 개선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골조 구조의 비효율·과도한 장식·외장재 비용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체 계획을 간결화했죠. 대지 형상에 맞춘 코어 배치와 주차장, 선큰 재구성을 통해 채광·환기 효율을 높이고, 지하층의 독립적 임차인 수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했습니다.

건폐율·용적률 제한 속에서도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건축물에 ‘탈(가면)’을 씌우는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떠있는 벽돌로 구성된 탈은 전면 주차장의 단점을 가리고, 내부로 자연광과 녹음을 끌어들이며, 상업지로 변모하는 환경 속에서 주거지의 흔적을 숨깁니다. 이 ‘탈’은 변화의 바람에 적응하는 건축물의 보호막이자 새로운 도시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장치가 되었습니다.

📃 https://magazine.brique.co/project/tarrelsen_ciid/

📐설계. CIID
👷건축가. 주익현 Ikhyeon Ju
📸사진. 배지훈 Jihun Bae
🏗️시공. (주)라우종합건설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에디터. 김리오 글 & 자료. CIID   오늘날의 도시는 야생의 환경과 닮았다. 도시에 자리 잡은 다양한 규모와 스케일의 건축물들은 열대우림 속 정글과 같아 빽빽한 수풀들 사이에서 생존하기 위해선 나름의 수단을 가지고 있어야 ...

스페인 마드리드의 한 로터리 한복판에, 자동차가 아닌 사람을 위한 공간이 등장했습니다. ‘둥근 욕조 Round About Baths’는 격렬한 도시 교통의 흐름 속에 방치된 원형 로터리를 주민들을 위한 공용 목욕 공...
08/08/2025

스페인 마드리드의 한 로터리 한복판에, 자동차가 아닌 사람을 위한 공간이 등장했습니다. ‘둥근 욕조 Round About Baths’는 격렬한 도시 교통의 흐름 속에 방치된 원형 로터리를 주민들을 위한 공용 목욕 공간으로 전환한 임시 공공 건축물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접근조차 어려운 분수와 차량 중심의 도시 구조를 되돌아보며, 그 속에 감춰진 가능성을 끌어냅니다. 탈의실, 스팀룸, 냉수 분수대가 갖춰진 이 목욕 시설은 높은 목재 벽으로 구성되어, 도심 속에서도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며 시민들이 함께 머물고 교류할 수 있는 친밀한 장소가 됩니다.

19세기 공중 위생 운동의 상징이었던 목욕탕이 점차 사라지고 개인화된 웰니스 시설이 그 자리를 대체한 오늘날, 이 공간은 다시금 ‘공공의 몸’을 위한 장소를 제안합니다. 축제가 끝난 후 건축 요소는 재사용되지만, 그 자리에 남는 것은 기억과 새로운 도시 공간에 대한 상상입니다.

📃 https://magazine.brique.co/project/leopold-banchini-architects_round-about-baths/

📐설계. 레오폴드 반치니 아키텍츠 Leopold Banchini Architects
👷건축가. 레오폴드 반치니 Leopold Banchini
📸사진. 그레고리 치베라 Gregori Civera
📍Plaza Salón, Gran Via Juan Carlos I, Logroño, Spain

에디터. 김태진 글 & 자료. 레오폴드 반치니 건축사사무소 Leopold Banchini Architects   자동차들이 끝없이 원을 그리며 돌고 또 돌며, 도심 곳곳에 접근 불가능한 원형 공간들을 만들어낸다. 그 안에서 의미를 찾고자 한다. Cars dancing e...

Address

Gangnam District

Opening Hours

Monday 09:30 - 18:30
Tuesday 09:30 - 18:30
Wednesday 09:30 - 18:30
Thursday 09:30 - 18:30
Friday 09:30 - 18:30

Telephone

+8225650153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브리크매거진 brique.mag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Business

Send a message to 브리크매거진 brique.mag:

Share

about

브리크매거진brique.mag은 도시인의 삶을 풍요롭고 행복하게 만드는 창의적인 공간을 기록하고, 공간에 가치를 더하는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담는 미디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