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7/2025
🇰🇷 해방 80주년, 아직도 이루지 못한 자주적 국가의 꿈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 독보적인 한국 현대사 연구자 정병준 교수의 필생의 노작勞作
📚 『김규식과 그의 시대』 알라딘 북펀드 오픈
📍 참여하기 : https://zrr.kr/CXx7Yx
📘 책소개
📍 해방 80년, 들리지 않았던 역사의 목소리에서 미래를 조망하기 위해
📍정병준 교수가 세계를 떠돌며 완성한 김규식이라는 모자이크
“정치적 성패로 따지자면 성공하지 못한 사람의 역사이지만 그 삶 속에 담겨 있던 진정성과 불꽃같은 열정의 순간들이 마음을 사로잡았다.”
1919년의 에서 단기필마 1인 외교로 한국통신국을 설립하고 운영함으로써 3·1운동의 하나의 기폭제가 되었던 김규식은 한국근현대사 속 ‘외교’의 빛나는 순간을 남겼다.
그는 극단으로 기우는 법 없이 좌우합작과 민족단합을 통해 자주독립과 해방을 꿈꾼 동시에 동양과 서양,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미국과 중국과 러시아(소련)를 넘나들었던 진정한 세계인이었다. 그러나 그의 독립운동가로서의 삶에 관한 이야기들은 많은 부분 제대로 알려지지 못했다.
그 알려지지 않은 기억을 되살리는 것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김규식과 그의 시대』는 역사를 승리한 자의 기록이나 성공과 실패, 승리와 패배 등 단순한 이분법적 이해하려는 것에는 진정한 역사적 교훈을 찾을 수 없다고 말하며, 다양한 발현 가능성을 지녔던 역사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길 희망한다. 자주독립에 성공하지 못했으나, 자주독립을 꿈꾼 이들의 이야기가 소중한 것처럼 말이다.
이를 위해 정병준 교수는 ‘인간 김규식의 모든 것’을 담았다고 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하게 새로운 자료들을 발굴하여 공개하고, ‘그의 시대’에 관해서도 종합적으로 정리함으로써, ‘그’와 ‘그의 시대’의 성취와 한계, 명과 암을 가감 없이 드러내고 온전한 역사의 진실을 채워내고 있다. 인간 김규식에 관한 기록 평전이자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에 관한 거대한 역사 논픽션인 것이다.
📍 해방 80년, 지금 왜 김규식인가?
📍 신냉전 시대, 이념과 열강에 의해 규정되었던 과거의 역사가 이 땅에 되풀이되어야 할까?
제국주의, 파시즘,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 민족해방운동이 교차했던 2차 세계대전의 향방 속에서 우리 민족의 독립도 위치 지어졌다. 하지만 불과 수개월 전의 내란·외환 쿠데타가 보여주듯, 미완의 해방은 전쟁과 사대, 독재의 이름으로 긴 시간 여전히 우리를 옥죄어 왔다. 그리고 2025년, 미국 일극체제의 종말과 다극화라는 전후 80년 질서의 변동 양상은 또다시 우리를 거대한 시험대에 올리고 있다.
‘새로운 세상’에 대한 전망이 그 어느 때보다 절박한 시기, 지금까지 한국의 정치-역사 현실에서 충분히 조망받지 못하고 배제되거나 무시당했던 김규식의 헌신적이면서도 합리적이고, 모든 진영에 개방적으로 합작을 도모했으며, 세계정세의 흐름 속에서 독립운동의 위치를 연결 지어 고민했던 독특한 행보는 대내외적으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양한 발현 가능성을 지녔던 역사의 교훈에 귀를 기울일 때, 들리지 않았던 목소리는 비로소 커다란 울림이 되고, 미래를 조망하는 지도로서 새로운 상상력의 출발점이 된다.
👤 저자 소개 | 정병준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다. 한국 현대사 자료를 찾아 세계를 횡단하며, 새로운 자료에 기초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는 데 긍지를 가지고 있다. 인물들을 통해 시대와 역사를 긴 호흡으로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다. 『한국전쟁』, 『독도 1947』,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 『몽양 여운형 평전』, 『우남 이승만 연구』 등의 책을 썼으며, 50여 권의 한국 현대사 자료집을 기획・해제했다.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저술상(2006, 2015), 독도학술상(2010), 월봉저작상(2011) 등을 수상했다.
#김규식과그의시대 #정병준 #돌베개 #해방80주년 #광복절 #김규식 #독립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