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kool: 기업 분석 쿨하게

Pickool: 기업 분석 쿨하게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 제공하는 국내/외 테크 기업 분석 유료 서비스, P

카카오가 20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카카오는 역대 2분기 중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주요 재무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매출: 2조 283억 원 (YoY +1.2%, QoQ +8.8%)영업이익:...
07/08/2025

카카오가 20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카카오는 역대 2분기 중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재무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 2조 283억 원 (YoY +1.2%, QoQ +8.8%)
영업이익: 1,859억 원 (YoY +38.8%, QoQ +76.4%)
당기순이익: 1,718억 원 (YoY +97.2%, QoQ -14.2%)
* YoY: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 QoQ: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플랫폼 부문 매출은 1조 552억 원(YoY +10.5%, QoQ +6.3%)을 기록했습니다.

세부적으로 매출을 살펴보면 톡 비즈는 5,421억 원(YoY +6.8%, QoQ -2.0%), 포털 비즈는 783억 원(YoY -10.9%, QoQ +5.7%), 플랫폼 기타는 4,348억 원(YoY +20.8%, QoQ +18.9%)를 기록했습니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9,731억 원(YoY -7.3%, QoQ +11.8%)으로 나타났습니다.

뮤직은 5,175억 원(YoY +1.3%, QoQ +18.2%), 스토리는 2,187억 원(YoY +1.4%, QoQ +2.9%), 게임은 1,426억 원(YoY -38.9%, QoQ -1.8%), 미디어는 942억 원(YoY +5.2%, QoQ +25.5%)을 각각 기록했습니다.

본지는 카카오의 공시 자료와 콘퍼런스 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분석했습니다.

1) 2분기 실적 개선세... 톡 비즈·커머스 성장 vs 게임 부진
2) 카카오톡 5개 탭 전면 개편으로 '제2의 성장' 추진
3) 9월 'AI 대전환' 선언... 오픈 AI 협업·온디바이스 서비스 동시 추진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

1. 2분기 실적 개선세... 톡 비즈·커머스 성장 vs 게임 부진

앞서 보았듯, 카카오는 이번 분기 플랫폼 부문과 콘텐츠 부문 모두 성장했습니다. 특히 카카오의 핵심 사업인 톡 비즈 부문에서는 비즈니스 메시지가 성장을 주도했습니다.

톡 비즈 매출은 542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으며, 이 중 광고 매출은 321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비즈니스 메시지 매출의 경우 금융업 분야 광고주의 기여도 확대로 인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 증가하여,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카카오는 현재 다양한 메시지 탬플릿 제공을 통해 광고주들이 보낼 수 있는 메시지의 종류와 활용 범위를 확장 중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카카오 경영진들은 중장기적인 매출 증가 여력이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5월 중순 카카오는 브랜드 메시지 서비스를 출시합니다. 이 서비스는 명확한 발신자 표시와 높은 메시지 도달률로 광고 효율이 높게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수신자 입장에서도 스미싱에 대한 걱정 없이 안심하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인지도를 확대 중이었는데요. 하반기에 브랜드 메시지 서비스 또한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한편 디스플레이 광고 사업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 알리나 테무 등 중국 e 커머스 광고주의 일시적인 마케팅비 급증 기저 효과로 인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매출이 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카카오는 올 9월 개편을 기점으로 피드 형 광고와 동영상 광고를 포함한 신규 상품 라인업을 강화하고, 기존 광고 상품의 효율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입니다.

톡 비즈 내 커머스 분야도 주목할만했습니다.

이번 분기 커머스의 통합 거래액은 2.5조 원을 기록했고, 이 수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6%가량 증가한 수치였습니다.

이중 선물하기 서비스의 성과가 특히 주목할만했습니다. 카카오는 차별화된 “단독 상품 라인업”을 기반으로 스스로 선물하기 지면을 신설했으며, 매일 새로운 한정판 상품과 프로모션을 강화했습니다.

7월에는 선물하기가 역대 최고 트래픽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참고로 자기 구매자, 즉 스스로 선물하기 이용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늘어났습니다. 이들의 거래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가적으로는 전체 거래액 성장률을 견인했다는 것이 카카오 경영진들의 설명이었습니다.

참고로 커머스 매출은 2,211억 원을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늘어났으나, 계절적인 영향으로 직전 분기 대비 17% 하락했습니다.

플랫폼 기타에서는 모빌리티와 페이 서비스가 성장을 주도했습니다.

모빌리티의 경우, 주차와 퀵 서비스의 사업 확장이 전체 매출 증가를 견인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페이의 경우, 금융 및 플랫폼 서비스의 고성장과 비용 효율화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2개 분기 연속 영업 이익 흑자를 달성한 상황입니다.

콘텐츠 부문은 사업 별로 엇갈린 성과가 나왔습니다.

스토리 사업, 이중 카카오 픽코마는 치열한 시장 경쟁 속에서 본연의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연중 가장 성수기인 골든 위크 연휴에도 효율적인 마케팅 집행을 지속한 결과, 역대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카오 엔터테인먼트의 스토리 사업은 시장 전반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익성 중심의 운영 기조를 유지 중이었습니다.

글로벌 사업에서도 운영 전략을 재정비하여 본사 주도의 보다 신속하고 경쟁력 있는 스토리 IP 사업을 만들어 나갈 예정입니다

특히 카카오 경영진들은 그동안 카카오가 추진해 온 IP 경쟁력 강화의 성과가 점진적으로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게임 사업은 반면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었습니다. 매출은 직전 분기 그리고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2%, 39% 감소했습니다. 신작 공백이 지속되고 있었습니다.

카카오톡의 이용자 기반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2분기 국내 월간 활성 이용자는 4929만 8천 명을 기록했으며, 글로벌 월간 활성 이용자는 5427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월간 활성 이용자는 한 달 동안 서비스를 한 번 이상 이용한 순 이용자 수를 의미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참고로 이날 카카오톡의 미래에 대한 정신아 카카오 대표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요.
어떤 미래를 카카오는 그리고 있었을까요?

2. 카카오톡 5개 탭 전면 개편으로 '제2의 성장' 추진

카카오 정신아 대표는 이날 모두 발언에서 카카오톡을 단순한 메신저에서 종합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대규모 개편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현재 카카오는 내부적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이용자 행동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9-5-2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807123358757cu

카카오가 20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카카오는 역대 2분기 중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재무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 2조 283억 원 (YoY +1.2%, QoQ +8.8%) 영업이익: 1,859억 원 (YoY +38.8%, Q

국내 주요 e 커머스 사업자 쿠팡(티커: CPNG)이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쿠팡이 2025년 2분기 실적에서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라는 이정표를 달성했습니다.이번 2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은 85...
06/08/2025

국내 주요 e 커머스 사업자 쿠팡(티커: CPNG)이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쿠팡이 2025년 2분기 실적에서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라는 이정표를 달성했습니다.

이번 2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은 85.2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수익성 개선이었습니다.

영업이익은 1.49억 달러를 달성해 전년 동기 0.25억 달러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으며, 당기순이익도 0.32억 달러로 전년 동기 0.77억 달러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습니다. 주당 순이익은 0.02달러였습니다.

시장 예상 전망치는 엇갈렸습니다.

매출은 시장 예상치를 1.72% 상회했지만, 주당 순이익(0.02달러)은 컨센서스를 58.6% 하회했습니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핵심 사업인 Product Commerce는 매출 73.34억 달러(+14%), 조정 EBITDA 6.63억 달러(+25%)로 수익성이 개선되었습니다.

반면 쿠팡 플레이 등 신사업 중심의 Developing Offerings는 매출 11.90억 달러(+33%)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지만, 조정 EBITDA -2.35억 달러로 손실폭이 확대되었습니다.

본지는 쿠팡의 공시자료와 실적 발표 콜을 종합 분석해, 아래와 같이 정리했는데요.

1) 쿠팡, 한국 물류 강화·대만 폭발 성장으로 '아시아 커머스' 입지 확대
2) 'AI 퍼스트' 전환 본격화…생성형 AI로 코드 작성 50% 달성
3) '장기 성장' 전략 구체화…혁신 문화로 신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이를 토대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

1. 쿠팡, 한국 물류 강화·대만 폭발 성장으로 '아시아 커머스' 입지 확대​​

이번 분기 쿠팡의 실적 발표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로켓 배송’ 중심의 ‘물류서비스 혁신’이었습니다.

지난 분기 쿠팡이 추가한 로켓 배송 상품은 50만 개, 여기에 대해 당일 배송과 새벽 배송 물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 개선을 통해 배송 속도에 대한 고객 기대치를 새롭게 설정하고 있습니다

고객 기대치가 높아짐은 쿠팡의 주력 사업 부문인 Product Commerce 지표로 나타났습니다.

쿠팡 경영진들은 활성 고객 수 증가가 가속화되었으며, 활성 고객당 매출도 상당한 증가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고객 성장률은 10%에 달하며 전체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쿠팡은 고객을 여러 코호트(고객 집단)으로 나눠 분석하고 관리하는데요. 대한민국 내 모든 고객 집단에서 지속적으로 강한 성장세가 나타났습니다.

가장 오래된 고객군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참고로 신규로 가입한 고객 집단이 기존 성숙한 고객 집단의 성장 패턴을 따라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시 말해 그만큼 성장 잠재력이 큰 상황이었습니다. 이번 매출 증가 대부분은 기존 고객이 주도했습니다.

쿠팡이 힘쓰고 있는 신선 식품 부문, 로켓 프레시 상품도 이번 분기 고정 환율 기준 25% 매출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쿠팡 측은 농산물을 비롯, 육류 및 수산물 등 해당 분야의 상품 구색을 확대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신선 식품을 이용하는 고객 숫자와 총 지출이 모두 증가했습니다.

물류 인프라라는 기반으로 하는 쿠팡 풀필먼트와 물류서비스 성적도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었습니다.

물량, 상품 선택권, 판매자 수 등 전체 지표가 Product Commerce 부문 성장률보다 몇 배 빠르게 늘고 있다는 것이 쿠팡 측의 설명이었습니다.

제3자 물류서비스 FLC는 수만 명의 중소상공인 판매자 성장을 지원 중이었습니다. 이 중 70% 이상이 서울 외 지역에서 운영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국내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 구도에 들어섰지만, 시장에서 주목한 것은 바로 대만 사업이었습니다.

대만 사업은 당초 예상보다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로 이어집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coupang-2-6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806121042648gp

국내 주요 e 커머스 사업자 쿠팡(티커: CPNG)이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쿠팡(티커: CPNG)이 2025년 2분기 실적에서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라는 이정표를 달성했습니다. 이번 2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은 85.24억 달러로 ....

Coupang Inc.- CEO 김범석- CFO 가우라브 아난드애널리스트- JP Morgan 스탠리 양- 골드만삭스 에릭 차- 모건스탠리 박세연- 바클레이즈 지옹 샤오- 미즈호 웬 팡1. 수익성 및 마진 개선상품커머...
06/08/2025


Coupang Inc.
- CEO 김범석
- CFO 가우라브 아난드

애널리스트
- JP Morgan 스탠리 양
- 골드만삭스 에릭 차
- 모건스탠리 박세연
- 바클레이즈 지옹 샤오
- 미즈호 웬 팡



1. 수익성 및 마진 개선

상품커머스 EBITDA 마진이 9%로 확대되면서 하반기 추가 개선 가능성
특히 시장에서 예상하는 클라우드 지출 감소가 하반기 마진 개선의 동력이 될 것인지
상품커머스 총이익률의 전년 동기 대비 230베이시스
포인트 확대에 대한 구체적 동력 분석 요청
고마진 매출 비중의 빠른 증가 여부와 자사 직매입 상품의 개선 정도에 대한 설명요청

2. AI 및 기술 투자 전략
쿠팡의 향후 주요 AI 전략과 비즈니스 변화 방향에 대한 질문
정부의 GPU 프로젝트 입찰 참여 관련 데이터센터나 GPU 관리 사업 참여가 차세대 성장 기회인지 여부

3. 대만 사업 현황 및 투자
대만 사업의 총이익률이나 단위 경제성이 현재 플러스인지 마이너스인지,
마이너스라면 언제 플러스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
대만에서의 구체적 투자 영역과 라스트마일 배송 시범 운영의 진행 단계에 대한 세부 설명요청
지난 분기 급성장한 상품 선택권 확대 흐름이 이번 분기에도 계속 유지되는지에 대한 질문

4. 신규 사업 투자 규모
신규 사업 투자 가이던스 상향 조정이 올해 최고점에 도달할 것인지,
아니면 대만 사업에 의해 주도되어 가까운 미래에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
2분기에 손실이 상당한 폭으로 증가한 배경과 관련하여 투자의 구성과 향후 전망에 대한 설명이 요청

5. 국내 소비 환경 및 서비스 개선
새 정부와 추가경정예산, 그리고 정부가 소비를 정상 궤도로 되돌리기 위해 시행하는 조치 관련
하반기 국내 소비자 측면에서 성장 재가속화 추세가 나타날지에 대한 질문
국내 음식 배달 서비스에 픽업 주문을 도입한 이후의 마진 변화 추이에 대한 질문



CEO 김범석
오늘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먼저 이번 분기의 주요 성과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연초의 강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우수한 2분기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연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 성장했으며, 고정환율 기준으로는 19% 성장하여 85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성장과 함께 또 한 분기 마진 개선을 이뤄냈으며, 이는 상품커머스 부문에서 특히 두드러졌습니다. 총이익률이 230베이시스포인트 가까이 개선되어 32.6%를 기록했고, 조정 EBITDA 마진은 80베이시스포인트 개선되어 9%를 넘어섰습니다. 연결 기준으로는 4억 2,800만 달러의 조정 EBITDA를 창출하며 마진을 50베이시스포인트 이상 개선했고, 동시에 미래를 위한 적극적인 투자도 지속했습니다.

이번 실적에서는 두 가지 핵심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첫째,

(이후 세부 전문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coupang-q2-2025-korean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806131059137gt

Coupang Inc. CEO 김범석 CFO 가우라브 아난드 애널리스트 JP Morgan 스탠리 양 골드만삭스 에릭 차 모건스탠리 박세연 바클레이즈 지옹 샤오 미즈호 웬 팡 1. 수익성 및 마진 개선 상품커머스 EBITDA 마진이 9%

팔란티어(티커: PLTR)가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주요 재무성과는 아래와 같았습니다.매출은 10.4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8%, 전분기 대비 14%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6...
05/08/2025

팔란티어(티커: PLTR)가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재무성과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매출은 10.4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8%, 전분기 대비 14%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6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6%, 전분기 대비 53% 늘어났으며 당기순이익은 3.2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4%, 전분기 대비 53% 증가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조정 주당 순이익은 0.16달러였습니다.

이러한 실적은 시장의 전망치를 웃도는 수준이었습니다. 매출은 예상치 대비 6.82%, 주당 순이익은 15.57% 상회했습니다.

사업 부문별 성과를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미국 시장 전체 매출은 7.3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8%, 전분기 대비 17% 증가했습니다

이 중 상업 부문이 3.0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3%, 전분기 대비 20% 성장했으며, 정부 부문은 4.2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3%, 전분기 대비 14% 증가했습니다.

미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사업 부문 매출을 살펴보겠습니다.

전체 매출은 2.71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중 상업 부문은 1.4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했으나 전분기 대비 2% 증가했습니다. 글로벌 정부부문은 1.2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7%, 전분기 대비 11% 성장했습니다.

본지는 CEO 주주서한과 공시자료, 실적 발표 콘퍼런스 콜 내용을 종합해 아래와 같이 정리/분석했습니다.

1) 20년 축적된 온톨로지 기술로 AI 시장 주도권 확보
2) 시티뱅크·패니메이 등 주요 고객사 업무 효율성 획기적 개선
3) 독특한 조직 문화로 '5년간 10배 매출' 성장 목표 제시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

1. 20년 축적된 온톨로지 기술로 AI 시장 주도권 확보

현재 팔란티어의 급속한 성장세는 20년간 쌓아온 독창적인 기술 플랫폼이 근간이 되고 있었습니다.

샴 산카르 CTO는 이날 실적 발표에서

" 20년간의 노력이 경쟁사가 따라올 수 없는 기술적 우위를 만들었다. 우리 제품은 지금 이 순간을 위해 준비되었고, 실적이 이를 증명한다"

라면서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팔란티어가 자신감을 보이는 부분은 바로 온톨리지 기술이었습니다.

여기서 온톨리지란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20-ai-palantir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805160711550ru

팔란티어(티커: PLTR)가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재무성과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매출은 10.4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8%, 전분기 대비 1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6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6%, .....

반도체 설계 IP 전문 기업 Arm(티커: ARM)이 지난 30일 2026 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4월부터 6월까지 집계된 이번 실적에서 라이선스와 로열티 부문 간 뚜렷한 성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습...
04/08/2025

반도체 설계 IP 전문 기업 Arm(티커: ARM)이 지난 30일 2026 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4월부터 6월까지 집계된 이번 실적에서 라이선스와 로열티 부문 간 뚜렷한 성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우선 재무실적을 살펴보면, 총매출은 10억 5,300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4억 1,200만 달러로 8%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3억 7,400만 달러로 11% 줄어들었습니다.

시장 예상 전망치와 비교하면 매출은 0.77%, 주당 순이익은 0.31% 밑도는 결과치였습니다.

사업 부문별 성과에서는 명확한 대조를 보였습니다.

로열티 매출이 5억 8,500만 달러로 25% 성장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한 반면, 라이선스 및 기타 매출은 4억 6,800만 달러로 1% 감소했습니다.

회사는 라이선스 매출 감소에 대해 대형 계약의 시기적 변동성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단 로열티 매출은 분기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상황입니다.

라이선스 확산 지표에서는 긍정적인 신호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프리미엄 제품인 Arm Total Access 라이선스는 45개로 전년 동기 33개에서 증가했으며, 상위 30개 고객 중 절반 이상이 해당 라이선스를 보유 중이었습니다.

Arm Flexible Access 라이선스는 313개로 전년 동기 241개 대비 큰 폭으로 늘어났습니다.

특히 주목할 지표는 연간 계약가치(Annual Contract Value, ACV)가 15억 2,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8% 급증했다는 점입니다.

본지는 주주서한과 공시자료, 콘퍼런스 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는데요.

1) AI 워크 로드 급증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2) 차세대 CSS 플랫폼으로 업계 최고 로열티율 기록
3) 애플·구글·테슬라와 협력 확대로 전방위 생태계 구축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

1. AI 워크 로드 급증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Arm은 AI 시장이 성장하면서 핵심 수혜자로 부상 중이었습니다.

사실 최근 테크 업계 트렌드는 데이터센터부터 AI 슈퍼컴퓨터까지 AI를 구동하는 워크 로드 배포의 확산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AI 워크 로드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상황. 하지만 전력 소모는 물리적 한계가 존재하는 현실적 제약이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고성능과 에너지 효율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컴퓨팅 설루션에 대한 수요가 전례 없는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Arm 경영진들은 이러한 변화에 가장 잘 대응할 수 있다고 이날 여러 차례 강조했는데요.

Arm이 밀리와트에서 메가와트까지 전체 전력 스펙트럼에서 AI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컴퓨팅 플랫폼을 보유기업이라는 것입니다. 경영진들은 시장 점유율을 근거로 들면서 주장을 뒷받침했습니다.

하이퍼 스케일러 시장을 기준으로 Arm Neoverse 기반 칩 점유율이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1850-arm-ai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804132118431yb

반도체 설계 IP 전문 기업 Arm(티커: ARM)이 지난 30일 2026 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4월부터 6월까지 집계된 이번 실적에서 라이선스와 로열티 부문 간 뚜렷한 성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우선 재무실적을 살펴....

아마존(티커: AMZN)이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에서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도는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주당 순이익이 컨센서스 대비 27.66% 초과 달성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확인했습니다.전체 사업 실적을 살펴보...
02/08/2025

아마존(티커: AMZN)이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에서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도는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주당 순이익이 컨센서스 대비 27.66% 초과 달성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확인했습니다.

전체 사업 실적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분기 매출은 1,67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를 3.45% 웃돌았습니다.

수익성 지표 역시 개선되어 영업이익은 지난 해보다 31% 늘어난 192억 달러, 당기순이익은 지난 해보다 35% 늘어난 182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주당 순이익은 1.68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아마존은 실적을 북미, 국제, AWS 등 3개 주요 사업부문으로 구분하여 공시합니다.

북미 사업 부문은 매출 1,001억 달러(YoY +11%)를 달성했으며, 영업이익은 75억 달러로 전년 동기 51억 달러 대비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국제 사업 부문은 매출 368억 달러(YoY +16%)를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15억 달러로 전년 동기 3억 달러에서 대폭 증가했습니다.

AWS는 매출 309억 달러(YoY +18%), 영업이익 102억 달러(전년 동기 93억 달러)를 달성하며 높은 수익성을 유지했습니다.

세부 사업 부문별 매출 실적을 살펴보겠습니다

온라인 스토어가 614.9억 달러(YoY +1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서드파티 셀러 서비스는 403.5억 달러(YoY +11%)를 기록했으며, 이는 FBA, 수수료, 배송비 등을 포함한 수치입니다.

광고 서비스 매출은 156.9억 달러(YoY +23%)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구독 서비스는 122.1억 달러(YoY +12%)를 달성했습니다. 구독 서비스에는 Prime 멤버십, 디지털 비디오, 오디오북, 음악 등을 집계한 수치입니다.

AWS는 308.7억 달러(YoY +17%)를 기록했고, 오프라인 매장은 56억 달러(YoY +7%), 기타 사업은 15억 달러(YoY +19%)를 달성했습니다. 기타 사업에는 배송 서비스, 헬스케어, 라이선싱 등을 포함한 수치입니다.

본지는 아마존의 공시 자료와 실적 발표 콘퍼런스 콜 내용을 정리하고 아래와 같이 분석했습니다.

1) Prime Day 최대 실적·제3자 판매자 비중 62% 신기록
2) 아마존, 지역 네트워크 재설계로 2분기 배송 효율 대폭 끌어올려
3) AWS의 AI 혁신 가속: Trainium2와 Bedrock으로 용량 제약 돌파
4) 디지털 광고· AI 어시스턴트·위성 인터넷으로 미래 성장 가속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

1. Prime Day 최대 실적·제3자 판매자 비중 62% 신기록

아마존의 리테일 부문은 이번 분기 여러모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우선 올해 Prime Day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는데요.

판매량과 판매 아이템 수가 역대급 기록을 세웠으며, Prime Day 기간 동안 가입자 수도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습니다.

대부분 중소형 서드파티 벤더들도 역대 Prime Day 중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성과가 나올 수 있었던 배경에는 상품 종류 확대가 있었습니다.

나이키가 아마존 리테일 스토어에 입점한 것이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였습니다.

프리미엄 브랜드 라인업도 강화되었다는 것이 아마존 경영진들의 설명이었습니다. Away, Aveda, Marc Jacobs Fragrances, Milk Makeup, Origins 등이 새로 입점했습니다.

SAK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Dolce&Gabbana, Etro, Stella McCartney, Rosetta Getty, La Prairie 등 럭셔리 브랜드도 아마존에 입점하게 됩니다.

신선식품 분야도 눈에 띌만한 성과를 내고 있었습니다. 아마존 경영진들은 이날 Perishables Pilot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이 서비스는 고객이 당일 배송 상품을 주문할 때 신선 식품을 함께 구매할 수 있께 하는 서비스입니다. 이용한 고객 중 75%는 아마존에서 신선 식품을 처음 구매하는 고객이었고, 이 중 20%는 첫 달 내에 여러 번 재구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마존으로써는 새로운 매출원 확보, 그리고 그만큼 확장의 가능성을 보인 셈입니다.

이러한 상품 라인업 및 신선 식품 사업 확장에도 아마존은 기본에 더 충실하고 있었습니다.

아마존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일상 필수품 판매가 전체 판매량의 1/3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e 커머스 생태계 관점에서도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 세계 마켓 플레이스에는 200만 명 이상의 판매자가 활동하고 있으며 이번 분기 서드파티 셀러의 비중은 6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상황입니다. 참고로 이 수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 p(100bp) 증가한 수치입니다.

물론 이러한 호실적에도 아마존의 고민은 늘 내재되어 있었습니다.

바로 트럼프 행정부가 적극적으로 드라이브하고 있는 “관세”이슈인데요. 아마존 경영진들은 관세와 관련하여

(세부 내용은 링크에서 이어집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amazon-ai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802164254167zi

아마존(티커: AMZN)이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에서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도는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주당 순이익이 컨센서스 대비 27.66% 초과 달성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확인했습니다. 전체 사업 실적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분기...

01/08/2025

애플이 발표한 2025 회계연도 3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견조한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3월 30일부터 6월 28일까지의 실적 기간 동안 애플은 전 부문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분기 애플의 핵심 지표들은 모두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습니다.
매출은 940억 36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82억 200만 달러를 기록하여 11.2%의 성장률을 달성했으며,
당기순이익은 234억 3400만 달러로 9.3% 증가했습니다.
희석 주당 순이익은 1.57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시장 전망치와의 비교에서 애플은 매출 부문에서 5.47%, 주당순이익 부문에서 9.48%, 각각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제품군별로는
핵심 수익원인 아이폰이 445억 8200만 달러 매출로 13.5%의 강력한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서비스 부문 역시 274억 2300만 달러로 13.3% 증가하며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컴퓨팅 제품군에서는 맥이 80억 4600만 달러로 14.8%의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일부 제품군에서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웨어러블, 홈 및 액세서리 부문은 74억 400만 달러로 8.6% 감소했으며,
아이패드는 65억 8100만 달러로 8.1% 하락했습니다.

지역별 성과에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특히 주목할 만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이 지역은 76억 7300만 달러의 매출로 20.1%의 최고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아메리카 지역이 411억 9800만 달러로 9.3% 성장하며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했고,
유럽 지역은 240억 1400만 달러로 9.7% 증가했습니다.
범중화권은 153억 6900만 달러로 4.4%의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을 보였으나,
일본 지역은 57억 8200만 달러로 13.4%의 견조한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본지는 실적 발표 공시 자료와 콘퍼런스 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분석했습니다.

1) Apple Intelligence로 전 제품군 AI 통합 전략 가속
2) 서비스 매출 274억 달러 돌파... 전 제품군 사용자 수도 최고치
3) 관세 대응 위해 미국에 5천억 달러 투자…12개 주 24개 공장 운영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

1. Apple Intelligence로 전 제품군 AI 통합 전략 가속

팀 쿡 애플 CEO는 이날 실적 발표에서 AI를 애플이라는 기업의 ‘생애 주기’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로 규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애플은 AI를 애플이 판매하는 모든 기기와 플랫폼에 내장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었습니다. Apple Intelligence를 통해 개인화된 AI 기능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다른 경쟁 사업자와 다르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차별화에 나서며, 플랫폼 전반에 AI 기능을 자연스럽게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었습니다.

애플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와 달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사업자로서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특히 애플은 "Apple Silicon"이라고 불리는 자체 반도체를 보유하고 있어, 팀 쿡 애플 CEO가 밝힌 바와 같이 Apple Intelligence의 고급 기능을 맥 등 기기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는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별화된 전략을 바탕으로 애플은 실적 발표일 기준으로 비주얼 인텔리전스, 클린업, 작성 도구를 포함한 20개 이상의 Apple Intelligence 기능을 출시한 상황입니다.

사용자에 따라 개인화된 Siri 개발 작업도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관련 기능은 내년에 출시될 계획입니다.

개발자 생태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OS 26, macOS 26, iPadOS 26은 지금까지 가장 인기 있는 개발자 베타를 기록했으며, WWDC에서는 수백만 명이 온라인으로 참여하고 1,000명이 넘는 개발자들이 Apple 파크에 직접 참석한 바 있습니다.

이날 애플 경영진들이 밝힌 내용에 따르면 올해 후반기에는 실시간 번역과 운동 버디를 포함한 추가 기능들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여러 언어에 대한 새로운 지원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AI와는 별개로 올가을에는 세계 사용자들이 Liquid Glass라고 명명된 소재로 제작된 신제품을 시장에 론칭할 계획입니다.

애플은 새로운 제품 출시와 함께 Apple Intelligence의 핵심 기술인 온 디바이스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자들에게 개방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개발자들은 완전히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애플은 모든 플랫폼에서 활용 가능한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제공 중이었습니다.

특히 Vision Pro의 경우, 애플이 주력하고 있는 공간 컴퓨팅 시장을 겨냥하여 visionOS 26을 통해 혁신적인 기능들을 선보였습니다. 새로 도입된 공간 위젯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은 더욱 생동감 있는 아바타와 함께 디지털 공간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꾸밀 수 있게 되었는데요.

여기서 주목할 점은 기업 고객을 위한 새로운 엔터프라이즈 API를 출시했으며, 이를 통해 각 기업은 고유한 공간 경험을 직접 구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미래를 현실화시키기 위해 애플은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apple-3-96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801175622772oi

마이크로소프트가 2025 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참고로 마이크로소프트의 2025 회계연도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였습니다.이번 분기 주요 사업 실적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매출: 764.41억 ...
01/08/2025

마이크로소프트가 2025 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참고로 마이크로소프트의 2025 회계연도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였습니다.

이번 분기 주요 사업 실적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 매출: 764.41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8%)
- 영업이익: 343.23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3%)
- 당기순이익: 272.33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4%)
- 주당 순이익(희석): 3.65달러

시장의 예상 전망치와 비교하면 매출은 3.52% 웃돌았으며 주당 순이익은 8.09% 웃돌았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별 매출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 Productivity and Business Processes: 331.12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6%)
- Intelligent Cloud: 298.78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6%)
- More Personal Computing: 134.51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9%)

그럼 사업 부문별 세부 매출 증감률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Productivity and Business Processes 부문은 마이크로소프트 365 Commercial 제품 및 클라우드 서비스가 16% 성정했습니다. 이 중 마이크로소프트 365 Commercial 클라우드 매출은 18% 증가하며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Consumer 제품 및 클라우드 서비스는 21% 성장을 기록했고, Consumer 클라우드 매출은 20% 증가했습니다.

LinkedIn 매출은 9% 성장했으며, Dynamics 제품 및 클라우드 서비스는 18% 증가했습니다. 특히 Dynamics 365는 23%의 강력한 성장을 보였습니다.

둘째, Intelligent Cloud 부문입니다.

Server 제품 및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이 27% 증가했으며, 이는 주로 Azure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의 39% 성장으로 인한 효과 때문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More Personal Computing 부문을 살펴보겠습니다.

Windows OEM 및 디바이스 매출은 3% 증가했고, Xbox 콘텐츠 및 서비스 매출은 13% 성장했습니다.

검색 및 뉴스 광고 매출은 트래픽 획득 비용(검색 결과 제공을 위해 구글 등에 지불하는 비용)을 제외하고 21% 증가하여 강력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본지는 이날 실적 발표 공시 자료와 콘퍼런스 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1) AI 시대 클라우드 승부수... 전 지역 'AI 우선' 전환하며 23% 성장
2) 마이그레이션·AI 워크 로드·네이티브 앱 확장이 견인
3) AI 생태계 완성... Copilot 사용자 1억·보안 고객 150만 동시 달성
4) 소비자 플랫폼 생태계 확장... 게임 사용자 5억· LinkedIn 회원 12억 동시 달성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

1. AI 시대 클라우드 승부수... 전 지역 'AI 우선' 전환하며 23% 성장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사업이 강력한 성장세를 보인 한 해였습니다. AI 인프라 경쟁이 숫자로 나타난 것이었습니다. 2025 회계연도 전체로 보면 클라우드 사업은 1,68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23% 성장했습니다.

이중 핵심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Azure는 연간 매출 750억 달러를 기록, 2024 회계연도와 비교할 때 34% 성장세를 나타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경영진들은 매 분기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microsoft-ai-first-ai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801120300263pb

마이크로소프트가 2025 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참고로 마이크로소프트의 2025 회계연도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였습니다. 이번 분기 주요 사업 실적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매출: 764.41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메타 (티커: META)가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며 플랫폼 비즈니스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우선 주요 사업 실적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매출: 475...
31/07/2025

메타 (티커: META)가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며 플랫폼 비즈니스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우선 주요 사업 실적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 매출: 475.16억 달러 (YoY +22%)
- 영업이익: 204.41억 달러 (YoY +38%)
- 당기순이익: 183.37억 달러 (YoY +36%)
- 주당 순이익(희석): 7.14달러

시장의 예상 전망치와 비교하면
- 매출은 5.98% 웃돌았으며,
- 주당 순이익은 21.82% 웃돌았습니다.

상품 성격에 따른 매출을 보면 광고 매출이 전체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광고 부문에서는 465억 6천3백만 달러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21% 성장했습니다. 기타 매출 부문은 5억 8천3백만 달러로 50%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제품군별로 보면 Family of Apps 매출이 471억 4천6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으며, 신사업 부문인 Reality Labs는 3억 7천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5% 성장에 그쳤습니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매출입니다. 모든 주요 지역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203억 7천1백만 달러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21% 증가했습니다.
유럽 지역은 115억 3천2백만 달러로 24% 성장하여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 매출은 93억 6천6백만 달러로 19% 증가했으며,
기타 지역에서는 62억 4천7백만 달러를 기록하여 24% 성장했습니다.

본지는 메타가 공시한 내용과 이날 실적 발표 콘퍼런스 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는데요.

1) 초지능 개발 위해 720억 달러 투자... 개인 AI 시대 선점 나서
2) 광고 수익 지역별 최대 24% 성장... AI 기반 타기팅 기술 효과 입증
3) AI 글라스로 '일상 초지능' 비전 제시... 스레드·와츠 앱 광고 수익화 착수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

1. 초지능 개발 위해 720억 달러 투자... 개인 AI 시대 선점 나서

이날 메타는 초지능 개발을 향한 명확한 전략을 발표합니다. 마크 저커버그 CEO는 이날 "모든 면에서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AI"를 초지능으로 정의했는데요 그는 초지능 개발이 이제 가시권에 들어왔다고 밝혔습니다.

모든 사람에게 개인 초지능을 제공한다는 비전도 함께 제시했습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메타는 조직 재편에 착수한 상황입니다. '메타 슈퍼 인텔리전스 랩'을 새롭게 설립했는데요. 이 조직에는 기존 파운데이션 팀, 제품 팀, FAIR 팀이 함께 통합된 상황입니다.

차세대 모델 개발 연구소도 함께 운영된다고 메타 측은 밝혔습니다. 조직 구성에서는 “메타 AI 드림팀”이 만들어졌다는 것이 경영진들의 설명입니다.

최근 인수한 스케일 AI의 알렉산드르 왕이 전체 팀을 이끌 예정이고요. 나트 프리드먼이 AI 제품 및 응용 연구를 담당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셩지아 자오가 수석 과학자로 합류했다고 이날 메타는 밝혔습니다.

마크 저커버그는 최첨단 초지능 연구에는 시스템 전체를 이해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그룹이 가장 적합하다고 부연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업계 최고 인재 영입에 집중하고 있다고 확인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은 AI 모델 개발과 관련 제품의 이니셔티브를 가속화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조직을 갖추면서 메타는 기술 개발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었습니다. 우선 라마 4.1 및 4.2 모델이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 경영진들의 설명이었습니다. 이와 함께 자기 개선 능력을 갖춘 AI 시스템이 출현할 것이라고 예고했는데요. 현재는 속도가 느리지만 확실한 개선이 관찰되고 있다고 이날 소개했습니다.

자체적으로 라마를 활용하면서 메타의 내부 프로세스도 개선되고 있었습니다. 메타는 백엔드 프로세스에서 라마를 활용하고 있는데요. 버그 리포트 처리를 개선하면서 10개월간 건수가 30%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AI 성과와 함께 마크 저커버그는

AI를 활용한 5가지 핵심 비즈니스 기회 방안을 모두 발언에서 소개했습니다.

첫째는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meta-36-720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731134342188jb

메타 (티커: META)가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며 플랫폼 비즈니스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우선 주요 사업 실적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매출: 475.16억 달러 (YoY +22%) 영.....

미국 현지 시각 기준 7월 30일, 연준 FOMC 위원회 기자회견이 열렸습니다연준은 금리를 동결했습니다.안녕하십니까.저와 동료 워원들은 미국 시민을 위한 최대고용과 물가안정이라는 두 가지 의무 목표 달성에 지속적으로...
31/07/2025

미국 현지 시각 기준 7월 30일, 연준 FOMC 위원회 기자회견이 열렸습니다

연준은 금리를 동결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저와 동료 워원들은 미국 시민을 위한 최대고용과 물가안정이라는 두 가지 의무 목표 달성에 지속적으로 집중하고 있습니다. 불확실성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경제는 견고한 상태에 있습니다.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노동시장은 최대고용 수준에 있거나 그에 근접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우리의 장기 목표인 2퍼센트를 다소 웃돌고 있습니다. 우리의 목표를 뒷받침하고자
오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정책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재의 통화정책 기조로 잠재적인 경제 변화에 적시에 대응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경제 동향을 간략히 검토한 후 통화정책에 대해 더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최근 지표들은 경제활동 성장이 둔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국내총생산(GDP)은 상반기에 1.2퍼센트 성장했으며, 이는 작년의 2.5퍼센트보다 낮은 수치입니다. 2분기 증가율이 3퍼센트로 더 강했지만, 상반기에 초점을 맞춰보면 순수출의 이례적인 변동으로 인한 분기별 수치의 변동성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성장 둔화는 주로 소비지출 감소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반면 장비 및 무형자산에 대한 기업투자는 작년 대비 증가했습니다. 주택 부문 활동은 여전히 부진합니다.

노동시장 상황은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지난 3개월간 비농업 부문 일자리는 월평균 15만 개 증가했습니다. 실업률은 4.1퍼센트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1년간 좁은 범위 내에서 머물러 있습니다. 임금 상승률은 계속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인플레이션을 웃돌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각종 지표들은 노동시장 상황이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최대고용과 일치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2022년 중반 고점 대비 상당히 완화되었지만 우리의 장기 목표인 2퍼센트 대비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및 기타 데이터에 기반한 추정치에 따르면, 6월까지 12개월간 전체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2.5퍼센트 상승했으며,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본 PCE 물가지수는 2.7퍼센트 상승했습니다. 이 수치는 연초와 거의 변화가 없지만, 물가 변동의 기본 양상은 변화했습니다. 서비스 인플레이션은 계속 완화되고 있는 반면, 관세 인상으로 일부 상품군의 가격이 상승중입니다.

단기 인플레이션 기대는 올해 관세 관련 소식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상승했으며, 이는 시장 기반 및 설문 기반 지표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1년 정도를 넘어서는 대부분의 장기 기대 지표들은 우리의 2퍼센트 인플레이션 목표와 일치하는 수준을 유지중입니다.

연준의 통화정책 조치는 미국 시민을 위한 최대고용과 물가안정 촉진이라는 두 가지 사명에 의해 결정됩니다.

오늘 회의에서 위원회는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4.25~4.5퍼센트로 유지하고 대차대조표 규모를 계속 축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새로 들어오는 데이터, 변화하는 전망과 위험의 균형을 바탕으로 적절한 통화정책 기조를 계속 결정할 것입니다.

정부 정책 변화는 계속 진화하고 있으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높은 관세는 일부 상품 가격에 더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경제활동과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전반적인 효과는 아직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합리적인 기준 시나리오는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단기적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가격 수준의 일회성 변화를 반영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효과가 대신 더 지속적일 가능성도 있으며, 이는 평가하고 관리해야 할 위험요인입니다. 우리의 의무는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가격 수준의 일회성 증가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문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당분간 연준은 정책 기조를 조정하기에 앞서 경제의 향후 방향과 진화하는 위험의 균형에 대해 더 많이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습니다. 현재의 정책 기조가 인플레이션 위험을 방어하는 데 적절하다고 봅니다.

또한 고용 관련 위험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몇 달간 위험 균형과 연방기금금리 적정 수준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상당한 데이터를 확보하게 될 것입니다.

이번 회의에서 위원회는 통화정책 체계에 대한 5년 주기 점검의 일환으로 논의를 계속했습니다. 장기 목표 및 통화정책 전략 성명서 개정안에 초점을 맞췄으며, 늦여름까지 모든 수정 작업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연준은 통화정책에서 최대고용과 물가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추구합니다. 최대고용 지원, 인플레이션의 지속적인 2퍼센트 목표 달성, 그리고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의 안정적 고정에 계속 전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목표 달성 성공 여부는 모든 미국인에게 중요합니다. 연준의 정책이 전국 지역사회와 가정, 기업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저희가 하는 모든 일은 공공의 사명을 위한 것입니다. 연준은 최대고용과 물가안정 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이제 질문을 받겠습니다.



1. 통화정책 및 금리 전망 관련 질문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시장과 행정부의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현실적인지, 9월 회의 전 고용·인플레이션 데이터 2회 발표가 충분한 판단 근거가 될지에 대한 질문

금리 인하 조건: 금리 인하를 준비하기 전 검토해야 할 경제 데이터의 구체적 기준, 인플레이션이 목표 수준 도달 여부와 고용시장 약화 확인 필요성

정책 기조의 제한성: 현재 통화정책이 과도하게 제한적인지, 완만한 긴축 정책 하에서 금리 인하 폭이 제한적일 것인지에 대한 질문

2. 인플레이션 및 관세 영향 관련 질문

관세의 가격 전가 과정: 관세 발표부터 상품 가격 반영까지 시차와 전반적 인플레이션 영향 평가에 필요한 기간

관세 효과의 지속성: 관세로 인한 상품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지 지속적인지, 서비스 부문으로의 확산 가능성

인플레이션 하락 추세 정체: 지난 6개월간 뚜렷한 인플레이션 하락이 나타나지 않는 상황에서 연준의 신중한 접근이 기업들의 가격 인상 구실을 제공하는지에 대한 우려

3. 경제 지표 및 데이터 관련 질문

GDP 및 소비지출 둔화: 최종 민간 내수 둔화와 금리 민감 부문 약세가 과도한 정책 제한을 시사하는지

노동시장 상황: 민간 부문 일자리 창출 감소와 노동시장 균형 유지를 위한 적정 일자리 증가 수치

소비자 재정 상황: 소비지출 둔화와 고소득층 연체율 상승이 향후 경제에 미칠 위험 요소

데이터 품질 문제: 소비자물가지수 추정 데이터 비중 증가와 대안적 데이터 측정 방법 검토 필요성

4. 연준 독립성 및 정치적 압박 관련 질문

대통령의 개인적 압박: 트럼프 대통령의 직접적 압박이 연준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

정부 이자 비용 고려: 장기간 고금리 유지가 정부 이자 비용에 미치는 부담을 연준이 고려하는지

임기 연장 관련: 재무장관의 임기 연장 시 시장 혼란 우려 발언에 대한 입장

5. 기타 정책 및 운영 관련 질문

반대 의견: 두 명 위원의 금리 인하 주장과 위원회 내 금리 인하 논의 과정

재정 정책 영향: 주요 법안의 2026년 경제 부양 효과 전망

연준 건물 리모델링: 행정부의 연준 본부 건물 리모델링 재검토와 대통령 압박의 연관성

달러화 가치: 올해 달러 하락이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미치는 복잡성

노동통계청 예산: 행정부 제안 인력 감축이 연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Q1. Reuters, 하워드 슈나이더

파월 의장님, 시장에서는 물론이고 행정부에서도 9월 금리 인하에 대한 강한 기대감이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이러한 기대가 비현실적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후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2025-7-fomc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731092152388uz

2022년 9월부터 Pickool은 연준의 FOMC 기자 회견 전문을 게재해왔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tag=FOMC 정책에 따라 테크 시장도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 (티커: GOOGL)이 2025년 2분기 실적에서 매출과 주당순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과를 발표했습니다.알파벳은 이번 분기 매출 964억 2,8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
24/07/2025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 (티커: GOOGL)이 2025년 2분기 실적에서 매출과 주당순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알파벳은 이번 분기 매출 964억 2,8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를 2.54% 상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312억 7,1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 성장했고, 당기순이익은 281억 9,600만 달러로 19% 증가했습니다.

주당 순이익은 2.31달러로 시장 예상을 4.99% 웃돌았습니다.

사업 부문별 성과를 살펴보면, 핵심 수익원인 구글 서비스가 825억 4,3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12% 성장했습니다.

구글 검색 및 기타 부문은 541억 9,000만 달러로 12% 증가했고,
유튜브 광고는 97억 9,600만 달러로 13% 성장했습니다.
구글 네트워크는 73억 5,400만 달러로 1% 감소한 반면,
구글 구독·플랫폼·기기 부문은 112억 300만 달러로 20% 증가했습니다.

구글 클라우드는 136억 2,400만 달러의 매출로
전년 동기 대비 32%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신사업 부문인 Other Bets는 3억 7,300만 달러로 2% 증가에 그쳤습니다.

지역별 매출을 살펴보면
미국이 460억 6,300만 달러로 12% 성장했고,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이 282억 6,200만 달러로 15%,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164억 8,000만 달러로 19%,
기타 아메리카 지역이 57억 3,500만 달러로 16% 각각 증가했습니다.

본지는 알파벳의 공시 자료와 이날 진행된 실적 발표 콘퍼런스 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분석했습니다.

1) 제미나이 2.5 모델 계열 성과와 AI 기술 혁신 동력
2) 자본지출 850억 달러 확대, AI 인프라 투자 가속화
3) AI 오버뷰 20억 사용자 달성, 검색 사업 혁신 가속
4) 클라우드·유튜브· Waymo 중심 AI 신사업 확산 성과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

1. 제미나이 2.5 모델 계열 성과와 AI 기술 혁신 동력

구글의 AI 분야에서 추진해 온 포괄적인 투자 전략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었습니다.

그동안 구글은 AI 인프라 구축부터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AI 모델과 도구의 개발, 전 세계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제품과 플랫폼 출시까지 장기적으로 투자를 지속해왔습니다.

주목할 만한 성과는 구글의 AI, 제미나이 2.5 하이브리드 플래시 추론 모델 계열의 지속적인 확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모델은 주요 벤치마크에서 업계를 선도하는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구글은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플래시를 개선하는 것과 함께 속도가 빠른 플래시 라이트 버전을 출시했습니다.

한편 고급 버전의 제미나이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 수준의 성능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글은 여기서 쓰인 고급 기능인 딥씽킹 기능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날 알파벳 경영진들은 현재 약 900만 명의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google-ai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724191814397lp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 (티커: GOOGL)이 2025년 2분기 실적에서 매출과 주당순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알파벳은 이번 분기 매출 964억 2,8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

전기차 업계 선두주자 테슬라 (티커: TSLA)가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이번 분기 테슬라는 매출 224.96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16.3%...
24/07/2025

전기차 업계 선두주자 테슬라 (티커: TSLA)가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분기 테슬라는 매출 224.96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16.3% 증가한 수치입니다.

영업이익은 9억 2천3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2% 줄었으나 전분기 대비로는 131.3% 급증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11억 7천2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186.6% 늘어났습니다. 주당 순이익은 0.33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시장 전망치와 비교하면 매출은 예상치를 1.67% 웃돌았으나 주당 순이익은 1.11% 하회했습니다.

사업 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핵심 자동차 부문이 166억 6천1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19.3% 증가한 것입니다.

좀 더 자동차 관련 매출을 구분해서 살펴보면
- 자동차 부문 매출은 차량 판매로 157억 8천700만 달러,
- 규제 크레디트로 4억 3천900만 달러,
- 자동차 리스로 4억 3천5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규제 크레디트는 전기차 생산 업체가 친환경 규제를 충족하지 못한 다른 자동차 제조사에 판매하는 탄소배출권을 의미합니다.

이와 함께 에너지 발전 및 저장 사업은 27억 8천9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했으나 전분기 대비로는 2.2% 증가했습니다.

서비스 및 기타 부문은 30억 4천6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하며 전분기 대비로도 15.5% 늘어나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본지는 이날 실적 발표 공시 자료와 콘퍼런스 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분석했습니다.

1) 2분기 기점 AI 기업 전환... 개인차량 로보 택시 참여 계획도 공개
2) 로보 택시 서비스 확산으로 AI 기업 전환 본격화... 내년 말 재무 영향 전망
3) 에너지 저장 장치 사상 최고 수익... AI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 수혜

이 내용을 중심으로 오늘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

1. 2분기 기점 AI 기업 전환... 개인차량 로보 택시 참여 계획도 공개

테슬라는 이번 분기를 기점으로 회사의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인 전환을 선언했습니다.

현재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중심의 기업에서 AI 및 로보틱스, 자율 주행 서비스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입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는 이러한 변화를 담은 새로운 마스터플랜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전환에 대한 경영진의 확신은 여러 발언 통해 상당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론 머스크 CEO는

"완벽한 실행이 전제되어야 하지만, 성공한다면 테슬라는 압도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회사가 될 것이다"

라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AI 기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테슬라는 형제기업인 xAI와의 역할 분담 체계를 구축한 상황입니다.

xAI는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Substack: https://www.thepickool.kr/p/tesla-2-ai-elon-musk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ickool/pickooltech/contents/250724125553125rf

전기차 업계 선두주자 테슬라 (티커: TSLA)가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분기 테슬라는 매출 224.96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16.3% 증가한 수치입니다. 영업이익은...

Address

뚝섬로 1나길 5 Heyground
Seongdong District
11077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Pickool: 기업 분석 쿨하게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Business

Send a message to Pickool: 기업 분석 쿨하게: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