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0/2025
[신동형 인사이트] The Bible of 「물리적AI(Physical AI;PAI」
안녕하십니까? 신동형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계신 「물리적 AI(Physical AI, PAI)」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보고서 다운로드(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jack0604/224038906841
① 물리적 AI(PAI)란 무엇인가? 물리적 AI(PAI)는 물리 세계의 자연 유기체와 같이 움직이는 로봇을 위한 AI 시스템입니다. 한마디로 '(범용) 로봇을 위한 AI'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② PAI의 3단계 진화 PAI는 자연 속 지능형 유기체의 진화 과정을 따라 3단계로 발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1단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로봇
2단계: 스스로 적응하고 성장하는 로봇
3단계: 스스로 복구하고 치유하는 로봇
현재 기술 수준은 기존 언어 모델을 넘어, 물리 세계의 법칙을 이해하는 1단계에 접근하거나 안정화되는 단계에 있습니다.
③ PAI의 핵심, 월드 모델(World Model) 챗GPT가 연 GenAI 시대의 중심에 언어 모델(LM)이 있었다면, 물리적 AI의 핵심에는 **월드 모델(World Model, WM)**이 있습니다. WM은 V-M-C 또는 V-L-A 모델을 기반으로, 시각(Vision)을 통해 물리적 환경을 인지하고, 사고(Model/Language)하며, 행동(Action/Control)하는 모델입니다.
환경을 인식하고 추론·예측하는 1단계에서는 시뮬레이션을 위한 디지털 트윈이 필수적입니다. 지능형 유기체의 진화 관점에서 볼 때, PAI는 시각을 넘어 오감(五感)을 활용하는 단계로, 더 나아가 스스로 복구·치유하는 단계로 진화할 것입니다.
④ PAI가 열어갈 미래 물리적 AI는 실제 세계에서 살아가는 인간 수준의 '범용인공지능(AGI)'으로 가는 여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입니다. PAI의 발전에 따라 우리의 일상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증강될 것입니다. 또한 경제는 노동의 종말과 함께 '2요소(자본·기술) 경제' 시대로, 사회는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형태로 나아갈 것입니다.
PAI에 대한 정책적 제언
PAI 보고서를 작성하며, 우리나라의 AI 접근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느꼈습니다. 특히 PAI 정책은 글로벌 경쟁력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즉,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 제조업이 성장을 이끌고, AI와 소프트웨어(SW)가 이를 뒷받침하는 형태가 되어야 합니다.
물론 지금은 AI가 SW를 넘어 하드웨어(HW)까지 아우르는(Eating) 시대입니다. 하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국내 AI·SW 기업은 소수이며, 대다수는 글로벌 1% 수준인 국내 시장에 안주하고 있습니다. 반면, 우리에게는 반도체, 스마트폰, 조선, 자동차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업 기반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정책적으로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산업이 주도하고 SW와 AI가 이를 지원하는 방향이 바람직합니다. 국내 시장에만 머물러 있는 SW와 AI가 제조업을 이끈다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 , ,
The Bible of 「물리적AI(Physical AI;PAI」 [새로운 전세계적 혁신 등장 : 사고(생각)에서 행동으로] (2025.10.13) [신동형 인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