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핵신문

탈핵신문 국내와 해외 이슈, 탈핵현장 담아내는 전문지, 월 1회 16면 발행.

탈핵신문 2025년 6월호(133호)가 나왔습니다! ★주요 기사 02면 새 정부 기후에너지부 어떤 정책 펼칠지 주목03면 월성 수명연장 방사선 영향 평가 조작 의혹05면 [사람]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장을 찾아서06면...
09/06/2025

탈핵신문 2025년 6월호(133호)가 나왔습니다!

★주요 기사
02면 새 정부 기후에너지부 어떤 정책 펼칠지 주목
03면 월성 수명연장 방사선 영향 평가 조작 의혹
05면 [사람]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장을 찾아서
06면 [연재]죽음의 땅 ‘아일릉귀나’사람들
08면 2025반핵아시아포럼 in대만
10면 두 모녀의 핵 없는 세상을 향한 열정
14면 세계 핵 사고사 (3) _SL-1로 출력 폭주 사고

★ 탈핵신문은 독자님들의 소중한 구독료로 만들고 있습니다.
★ 구독 + 후원으로 월 1만원 구독 CMS 신청을 해주시면 감사겠습니다^^
☞ http://bit.ly/418fTr6

* 문의 : 02-742-0311 탈핵신문미디어협동조합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사고의 책임을 도쿄전력 (구)경영진에게 묻는 도쿄전력 주주 대표 소송에서 6월 6일 도쿄 고등법원은 1심 판결을 뒤집어 배상책임을 부정하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세계 최대 핵발전소 사고에 대한 책...
07/06/2025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사고의 책임을 도쿄전력 (구)경영진에게 묻는 도쿄전력 주주 대표 소송에서 6월 6일 도쿄 고등법원은 1심 판결을 뒤집어 배상책임을 부정하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세계 최대 핵발전소 사고에 대한 책임을 아무도 지지 않는다면, 그 교훈을 살릴 길이 없습니다. 또 하나의 우려스러운 판결이 나왔습니다.

소송 쟁점은 1)거대 쓰나미를 예견할 수 있었는지(예견 가능성)와 2)대책을 했다면 사고를 막을 수 있었는지(결과 회피 가능성)입니다. 그 동안 주요 재판에서 법원이 어떤 결정을 내렸는지 정리했습니다.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사고를 둘러싸고 도쿄전력 주주들이 (주)경영진에게 손해배상을 요구한 재판에서 6월 6일 도쿄 고등법원은 1심 판결을 뒤집어 배상책임을 부정하는 판결을 내렸다.이 재판은 도쿄전력 주주...

지난 5월 16일부터 20일까지 대만에서 개최된 2025년 반핵아시아포럼(이하 NNAF, No Nukes Asia Forum)에 대한 참가 보고회가 5월 29일(목) 오전 10시 명동 가톨릭회관에서 열렸습니다. 대만...
30/05/2025

지난 5월 16일부터 20일까지 대만에서 개최된 2025년 반핵아시아포럼(이하 NNAF, No Nukes Asia Forum)에 대한 참가 보고회가 5월 29일(목) 오전 10시 명동 가톨릭회관에서 열렸습니다. 대만 탈핵의 현재 상황과 쟁점, 아시아 각국의 핵발전 현황, 한국 탈핵운동의 과제 등에 대한 발제가 이어졌고 탈핵신문이 그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2025년 5월 16일부터 20일까지 대만에서 2025년 반핵아시아포럼(이하 NNAF, No Nukes Asia Forum)이 진행되었다. 포럼과 집회를 참여하고, 핵발전소 현장, 그리고 재생에너지 관련 지역을 둘러보는 4박 5일의 일...

올해로 32번째 ‘반핵아시아포럼’이 지난 5월 16일부터 20일까지 아시아 최초로 탈핵국가가 된 대만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은 탈핵운동의 역량 강화와 세대간 소통을 도모하기 위해 청년 세대들의 참여에 주력했다. 일본...
29/05/2025

올해로 32번째 ‘반핵아시아포럼’이 지난 5월 16일부터 20일까지 아시아 최초로 탈핵국가가 된 대만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은 탈핵운동의 역량 강화와 세대간 소통을 도모하기 위해 청년 세대들의 참여에 주력했다. 일본에서 청년 활동가로 참여한 소네 슌타로(20세) 씨는 6살 때 후쿠시마 핵사고를 경험하고 일가족 모두 피난길에 나선 후쿠시마 피난민이다. 후쿠시마 핵사고 당시 어린아이였던 그는 현재 후쿠시마를 어떻게 바라볼까? 이번 행사를 통해 그는 무엇을 느꼈을까? 탈핵신문이 그를 인터뷰했다.

[탈핵신문=대만 반핵아시아포럼] 1993년에 시작해 올해로 32번째를 맞이하는 ‘반핵아시아포럼’이 5월 16일부터 20일까지 대만에서 열렸다. 5월 17일 대만은 제3핵발전소 2호기가 수명을 다해 문을 닫음으로써 ...

"대만 탈핵에서 한국 탈핵으로"- 2025년 대만 반핵아시아포럼 참가보고회올해 32년째를 맞는 아시아 전체의 반핵운동 연대 행사 반핵아시아포럼(NNAF)이 지난 5월 16-20일 일정으로 대만에서 열렸습니다. 올해 ...
28/05/2025

"대만 탈핵에서 한국 탈핵으로"
- 2025년 대만 반핵아시아포럼 참가보고회

올해 32년째를 맞는 아시아 전체의 반핵운동 연대 행사 반핵아시아포럼(NNAF)이 지난 5월 16-20일 일정으로 대만에서 열렸습니다. 올해 행사는 가동되던 마지막 핵발전소가 멈추고 '탈핵국가'를 실현한 대만의 역사적인 순간과 함께 해서 더욱 뜻 깊었습니다. 이번 NNAF에 참가한 한국 탈핵활동가들에게 행사의 주요 내용과 성과 및 과제를 공유하는 참가보고회를 아래와 같이 가질 예정이니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시간: 2025년 5월 29일 (목) 오전 10-12시
장소: 서울 명동성당 가톨릭회관 205-2호

- 사회: 최태량 (종교환경회의 운영위원)
- 2025 NNAF 활동 영상 시청 / 녹색연합 홍보팀
- 발표1. 2025 대만 NNAF 진행 보고 / 임준형 (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
- 발표2. 대만 탈핵의 현재 상황과 쟁점 /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정책위원)
- 발표3. 아시아 탈핵운동의 현황과 교훈 / 김현우 (탈성장과 대안 연구소 소장)
- 발표4. 아시아 청년들의 탈핵 교류 / 유에스더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 활동가)
- 발표5. 한국 탈핵운동의 과제 / 박수홍 (녹색연합 기후에너지팀 활동가)

주최: 대만 NNAF 한국 참가단
후원: 탈핵신문

*당일 행사는 유튜브 송출 예정입니다. 링크 https://youtu.be/ZWu5Pi1SJ54
*문의: 박수홍 (070-7438-8510), 김현우 (010-2698-5927)

탈핵신문 읽기모임을 소개합니다! 가까운 곳에서 열리고 있는 읽기모임에 참여해 보세요. 사시는 곳에 탈핵신문 읽기모임이 없다면 만들어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탈핵신문 사무국에서 1회에 한해 5만원 지원 드리고 있습니다...
28/05/2025

탈핵신문 읽기모임을 소개합니다!
가까운 곳에서 열리고 있는 읽기모임에 참여해 보세요. 사시는 곳에 탈핵신문 읽기모임이 없다면 만들어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탈핵신문 사무국에서 1회에 한해 5만원 지원 드리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탈핵신문은 독자님들의 소중한 구독료로 만들고 있습니다.
★ 구독 + 후원으로 월 1만원 구독 CMS 신청을 해주시면 감사겠습니다.
★문의 : 탈핵신문미디어협동조합 02-742-0311, 010-8356-7568(오하라)

탈핵 그림판(5월호)
26/05/2025

탈핵 그림판(5월호)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밴드 콜드플레이. 그들은 2016년~2017년 2년간 자신들의 월드 투어 과정에서 배출된 탄소의 양이 250만 톤에 달한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고, 탄소배출을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
10/05/2025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밴드 콜드플레이. 그들은 2016년~2017년 2년간 자신들의 월드 투어 과정에서 배출된 탄소의 양이 250만 톤에 달한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고, 탄소배출을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이 마련될 때까지 월드투어를 중단한 바 있습니다. 그 후 몇 년에 걸친 준비 끝에 재개한 그들의 공연은?

지난 4월, 세계 정상의 밴드 콜드플레이가 내한 공연을 했다. 고양종합운동장에서 6일 동안 진행된 이 공연에는 연인원 약 30만 명의 엄청난 관객이 몰려들었다. 관객들이 하나씩 차고 있는 LED 팔찌를 통해 만들...

후쿠시마 핵사고를 경험하고 나서도 일본은 왜 핵발전을 멈추지 않을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일본의 저명한 신문기자 아오키 미키 씨가 직접 몸으로 뛰며 취재와 인터뷰를 한 것을 바탕으로 책을 써냈습니다. 2023년...
10/05/2025

후쿠시마 핵사고를 경험하고 나서도 일본은 왜 핵발전을 멈추지 않을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일본의 저명한 신문기자 아오키 미키 씨가 직접 몸으로 뛰며 취재와 인터뷰를 한 것을 바탕으로 책을 써냈습니다. 2023년 말 일본에서 출판되어 주목받은 이 책이 이번에 한국어로 번역되었습니다.

후쿠시마 핵사고가 일어난 지 14년이 지났다. 핵사고의 아픔을 몸소 겪은 일본은 여전히 핵발전소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은 왜 원전을 멈추지 않는가?』라는 책은 이 질문에서 시작한다. 저자인 아오키 미키는 ...

신형 핵발전소 설계는 핵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해 독일 연구기관이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합니다. 보고서는 “대안 원자로 유형에는 여전히 ‘상당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며, 적절한 규모로 ...
10/05/2025

신형 핵발전소 설계는 핵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해 독일 연구기관이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합니다. 보고서는 “대안 원자로 유형에는 여전히 ‘상당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며, 적절한 규모로 실용화되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습니다.

최근 독일 연방핵폐기물안전청(이하 BASE)이 의뢰하여 응용생태학연구소, 베를린 공과대학, 브레멘 물리연구소가 수행한 연구(소위 신형 원자로 개념의 개발 현황, 안전 및 규제 프레임워크 분석 및 평가)는 신형...

오염수 해양투기 헌법소원 청구인으로 참여하고 있는 남현영 노무사를 탈핵신문이 인터뷰했습니다. 노동자 인권을 위해 활동하는 남현영 노무사님. 영덕이 고향이라 바다 오염 문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투기 문제가 남의 일...
10/05/2025

오염수 해양투기 헌법소원 청구인으로 참여하고 있는 남현영 노무사를 탈핵신문이 인터뷰했습니다. 노동자 인권을 위해 활동하는 남현영 노무사님. 영덕이 고향이라 바다 오염 문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투기 문제가 남의 일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일시적인 분노를 넘어 목소리를 계속 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대통령 탄핵으로 정부의 역할과 과제가 중요해진 가운데 도쿄전력이 4월 30일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오염수 12차 방류를 완료했다. 같은 날, 국무조정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방류량과 방사성물질의 농도가 기준치 ...

지난 2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UN 핵무기금지조약(TPNW) 3차 당사국 총회에 참여하기 위해 한국 원폭 피해자들을 포함한 ‘방미증언단’이 미국을 방문한 기록을 5회에 갈쳐 탈핵신문에 연재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
10/05/2025

지난 2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UN 핵무기금지조약(TPNW) 3차 당사국 총회에 참여하기 위해 한국 원폭 피해자들을 포함한 ‘방미증언단’이 미국을 방문한 기록을 5회에 갈쳐 탈핵신문에 연재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일행이 인류 최초이 핵실험이 이루어진 뉴멕시코주 ‘트리니티 사이트’를 방문한 이야기입니다.

올해는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폭탄을 투하한 지 80년이 되는 해다. 피폭으로 인한 피해는 대를 이어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 원폭 피해자 1세와 2세, 비핵평화시민연대 회원 등 10명이 ‘방미 증...

Address

Seoul
03157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탈핵신문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