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출판 솔로몬

도서출판 솔로몬 솔로몬 출판사의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웨인그루뎀  #조직신학핵심요약본  #신간2024년 9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도서명: 성경핵심교리 -개정증보판저  자: 웨인 그루뎀, 알렉산더 그루뎀발행일: 2024년 9월 1일정  가: 59,000원페이지: 92...
26/09/2024

#웨인그루뎀 #조직신학핵심요약본 #신간

2024년 9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

도서명: 성경핵심교리 -개정증보판
저 자: 웨인 그루뎀, 알렉산더 그루뎀
발행일: 2024년 9월 1일
정 가: 59,000원
페이지: 927p
판 형: 양장(150*220)
ISBN : 978-89-8255-626-5

서문
2판 서문
본서의 초판(1999)이 널리 쓰일 수 있도록 허락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린다. 사람들은 종종 내게 이 책을 읽고 자신의 영적인 삶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더 견고해졌으며, 신앙이 더 깊어졌을 뿐만 아니라, 성경의 가르침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해주었다.
이번 개정판에서 주로 변경된 사항은 필자의 더 긴 책인 『조직신학』 2판(2020)에 추가한 많은 자료들을 요약하여 덧붙인 것이다.
1. 복음주의 개신교 신학과 개신교 신학적 자유주의(2장 추가), 몰몬교(6장 추가), 로마 가톨릭 교회(26장 추가, 1997년판 가톨릭교회 교리문답서에서의 광범위한 인용) 사이의 차이점에 대한 새로운 장
2. 성경의 명료성에 대한 완전히 개정되고 강화된 장(3장)
3. 삼위일체 안에서 성자의 영원한 출생과 성자의 성부에 대한 영원한 복종(6장), 교회에서의 여성의 역할(12장), 성령의 기적적 은사(29장 및 30장)에 관한부분
4. 열린 신론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비판(5장)
5. 창조와 진화에 대한 수정되고 강화된 장. 지적 설계에 대한 최근의 증거, 유신진화론에 대한 더 긴 비판, 그리고 지구의 나이에 대한 최근 증거의 요약(7장)
6. 중간 지식, 또는 몰리니즘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비판(8장)
7. “값 없는 은혜”(Free Grace) 신학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21장)
8. “바울에 대한 새 관점”과 새 관점의 칭의 이해에 대한 비판(22장)
9. 성령의 인도하심에 대한 새로운 논의(29장)
10. 그리스도께서 이미 AD 70년에 재림하셨다는 과거주의 관점에 대한 비판 (31장)
11. 다른 여러 장에서는 지난 40년 동안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20년)와 피닉스 신학교(20년)에서 이 교재를 가르치면서 전 세계 사람들이 보내온 편지와 이메일, 그리고 훌륭하고 통찰력 있는 많은 학생들과의 교류를 통해 생겨난 수많은 작은 수정 사항들.“바뀐 견해가 있나요?” 이 두 번째 판에 대해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이다. 짧게 대답하면, “아주 조금”이다. (1) 필자는 초판 (11장)에서 실수로 고려하지 못했던 “고난 당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하나님의 “무감동성”에 대한 교리를 이제는 긍정한다. (2) 필자는 헬라어 “모노게네스”의 의미를 밝혀주는 상당한 새로운 증거로 인해, 이제 이 단어가 요한복음 3장 16절(및 다른 곳에서도)에서 단순히 “유일한”(only)이 아니라 “독생”(only begotten)으로 번역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따라서 성부에 의한 성자의 영원한 출생 교리를 지지한다(6장). (3) 필자는 이제 오래된 지구(45억 년)와 오래된 우주(138억 년)를 지지하는 과학적 증거가 압도적으로 많아졌다고 생각하며, 그 결과 오래된 지구론을 옹호한다. 그러나 오래된 지구론과 더불어 젊은 지구론 또한 오늘날 기독교 지도자들이 가질 수 있는 타당한 관점이라고 믿는다(7장).
이 두 번째 판을 작업하는 동안 많은 사람들이 나를 위해 기도해 주었다. 그 중에는 필자가 ‘기도의 동역자’라고 부르는 친구들과 지난 10년간 마가렛과 함께 성경 공부와 기도를 위해 모인 소그룹 멤버인 특별한 친구들도 있다. 그들 모두의 기도에 감사한다.
특히 이 책의 두 번째 판을 능숙하게 편집해 준 아들, 알렉산더(Alexander Grudem) 에게 감사한다. 그가 수정한 대부분의 내용은 내가 『조직신학』(2020)에 추가한 새로운 부록 부분이다. 그는 이 새로운 자료의 많은 부분을 정확하게 요약한 다음 본서의 본문에 매끄럽게 반영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그와 함께 일할 수 있었고, 그가 벤쿠버의 리젠트 대학(Regent College)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배운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 물론 알렉산더 그루뎀의 이름이 이 제2판의 편집자로서 표지에 실린 것을 보는 것은 기쁜 일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1999년 이 책의 초판을 제작하면서 1,264페이지 분량의 『조직신학』을 528페이지 분량의 『성경 핵심 교리』(Bible Doctrine)로 능숙하게 요약한, 나의 제자이자 오랜 친구인 제프 퍼스웰(Jeff Purswell)에 대한 나의 큰 고마움이 줄어드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의 이름이 더 이상 표지에는 나오지 않지만, 그의 세심한 작업 덕분에 이 책의 기초는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여러 차례 컴퓨터 문제를 해결해 준 트렌트 폴링(Trent Poling), 트레버 스트로헤커(Trevor Strawhecker), 마이크 슬로민스키(Mike Slominski), 조쉬 터너(Josh Turner)에게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지난 6월 결혼 51주년 기념일을 함께 축하해주고, 정기적으로 나를 위해 기도해주고, 격려해주고, 글을 쓸 때면 서재에 식사를 가져다주고, 그저 내 삶에 기쁨과 웃음을 거듭 가져다 준 놀랍고 멋진 아내 마가렛에게 감사한다.
이 2판을 주님의 손에 맡기며,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의 신앙을 깨우치고, 주님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더욱 깊게 하는 데 사용되기를 간구한다.

“여호와여 영광을 우리에게 돌리지 마옵소서 우리에게 돌리지 마옵소서 오직 주는 인자하시고 진실하시므로 주의 이름에만 영광을 돌리소서”(시 115:1).

웨인 그루뎀
피닉스 신학교, 2021

옮긴이 글

어떤 책이든 ‘개정판’(revised edition)은 늘 우리에게 필요하며 늘 소중하다. 그 이유는 기록된 계시인 성경 진리 외에는 늘 부족함이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늘 수정과 교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능숙한 조직신학자 웨인 그루뎀(Wayne Grudem)의 『성경 핵심 교리』(Bible Doctrine)도 마찬가지이다. 약 6년 전 『성경 핵심 교리』 초판을 번역하면서 두 가지 감정이 교차했었다. 첫째는 ‘경탄스러움’이었는데 그 경탄스러움의 근원은 그루뎀의 가독성 높은 필치였다. 그루뎀은 아무리 복잡하고 어려운 교리라도 쉽게 풀어쓰는 능력을 특출하게 갖추었는데 더 놀라운 점은 가독성 높게 풀어 쓰면서도 교리 그 자체의 핵심 본질은 희석시키지 않은 채 풀어 쓴다는 점이었다. 참으로 놀라운 능력이 아닐 수 없다. 둘째, 이런 경탄스러움과 더불어 살짝 ‘아쉬운 점’도 존재했었는데 이 아쉬운 점의 근원은 『성경 핵심 교리』의 초판 출간년도가 1999년도라는 점에 근거한다. 『성경 핵심 교리』 초판은 지금으로부터 25년 전에 출판된 조직신학 교본이므로 현대적 논의가 충실하게 반영되지 않은 점이 살짝 아쉬움으로 반영되었던 기억이 있다.이제 이 아쉬움은 완전하게 해소되고 해갈되었다. 그 이유는 『성경 핵심 교리』 개정판은 초판 출판년도인 1999년과 현재 사이에서 일어난 대부분의 관련 핵심 교리 발전상을 충실하게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복음주의 개신교 신학과 개신교 신학적 자유주의의 차이점, 몰몬교에 대한 상세한 비판,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구체적인 비판, 삼위일체 하나님 내에서 성자 그리스도의 영원 출생과 위격적 복종의 의미, 열린 신론에 대한 비판, 일련의 창조론 논쟁, 즉 지적 설계·유신 진화론·지구의 나이 등에 대한 논의 첨가, 중간지식과 몰리니즘에 대한 새로운 논의, 무상 은혜에 대한 논의, 바울에 대한 새관점(NPP) 논의,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과거사적 관점에 대한 비판 등을 충실하게 담아내고 있다.최근 출간된 그루뎀의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 개정판과 함께 본서를 상보적으로 읽는다면 성경적 조직신학의 숲과 나무를 거시적·미시적 관점으로 좀 더 포괄적으로 이해 가능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성경 핵심 교리』 개정판 출간을 위해 함께 작업에 동참해 주신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직신학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이현명 목사님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를 표한다. 뿐만 아니라 양서들을 출간하기 위해 늘 물심양면의 노고를 아끼지 않는 솔로몬 출판사 관계자들에게도 큰 감사를 표한다. 본서의 부제, 즉 ‘기독교 신앙의 필수 가르침’이라는 부제가 잘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신자라면 응당 자신이 믿는 바가 무엇인지를 반드시 정확히 알고 믿어야 한다. 이 일을 위해 『성경 핵심 교리』 개정판이 귀하게, 그리고 선하게 사용될 줄 믿는다. 진리의 보존 주체이신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이 책을 영광스럽고도 귀하게 사용해 주시길 위해 간절히 기도한다.

박재은 총신대학교 신학과, 조직신학 교수

추천사
이번에 박재은 박사와 이현명 목사의 번역 작업을 통해 출간되는 웨인 그루뎀(Wayne Grudem, 1948- )의 『성경 핵심 교리』(Bible Doctrine)는 2020년에 개정 출간한 『조직신학』의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을 그루뎀과 그의 아들 알렉산더 그루뎀이 협업하여 축약하여 낸 책이다(2022년 출간). 그루뎀의 『조직신학』은 지난 30여년 동안 영어권에서 75만권 이상 보급되어질 정도로 뜨거운 환영을 받았으며, 시카고 트리니티신학교나 탈봇신학교와 같은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교재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초판은 1996년에 은성에 의해 출간되어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제2판 개정본 역시도 최근에 복있는사람에 의해서 역간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의 여러 신학교에서도 그의 책은 참고 교재들 중 하나로 추천되어지곤 한다. 2013년에 소천한 미국 PCA교단 소속의 장로교 신학자 로버트 레이먼드(Robert L. Reymond)는 그루뎀의 책에 대해 “개혁주의와 침례교의 관점에서 저술했으며, 매우 읽을 만하고 정보가 풍성하다.”는 평가를 한 적이 있는데, 실제로 그루뎀의 교본을 일별해 본 독자들이라면 레이먼드의 평가가 빈말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의 교본은 성경신학적인 기초가 탄탄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문체도 읽기에 수월하다는 점도 특징이며, 교회를 위한 신학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각 장에서 신학적인 논의 뿐 아니라 신앙고백서들이나 찬송가들도 소개해 주고, 주요 참고문헌들도 장별로 소개해 주는 것도 독자들에게 유익한 봉사가 된다.이렇게 많은 장점을 가진 그의 『조직신학』이지만 분량이 너무나 많기 때문에(최근 역간된 2판의 경우 2천페이지가 넘는다) 신학에 입문하는 이들에게는 독서 부담이 과중하게 느껴질 수 있고, 특히 기독교 교리를 공부해 보고자 하는 일반 신자들에게는 기피 대상이 되기가 쉽상일 것이다. 이러한 사정을 충분히 헤아린 저자 그루뎀과 그의 아들 알렉산더는 절반 분량으로 줄여주는 수고를 이번에도 기꺼이 치루었다. 그런 수고를 통해 그뎀의 주요한 신학적 기여들은 다 남기되 기독교 교리 공부를 소원하는 일반 독자들도 즐거이 읽을 수 있는 학습서가 되도록 만들어 주었다. 어떤 기준에 의하여 요약 편집하였으며, 그의 신학적 입장이 무엇인지는 이어지는 그루뎀의 초판 저자 서문을 보고, 2판에서 그의 신학적인 해설이 어떻게 달라졌는지에 대해서는 2판 서문을 읽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추천의 말을 하게 되었으니 간략히 저자 소개도 해보려고 한다. 그루뎀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필라델피아 소재 웨스트민스터신학교에서 목회학석사 과정을 이수하였다. 재학하는 동안 그는 에드먼드 클라우니, 리처드 개핀, 존 프레임, 노만 세퍼드, 번 포이트레스 등 여러 교수들에게 수업을 들었다. 그후에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신약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1981년부터 시카고 소재 트리니티신학교(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에서 성경신학과 조직신학교수로 20년간 가르친 후에, 2001년 아내의 연약해진 건강 회복을 돕기 위해 아리조나주에 소재한 피닉스신학교(Phoenix Seminary)로 옮겨가서 현재까지 신학과 성경신학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루뎀은 대외적으로는 복음주의신학회나 성경적 남성됨과 여성됨에 관한 위원회 회장 등을 역임했을 뿐 아니라 현재 복음주의 권에서 대중적으로 읽히고 있는 ESV 번역 감독 위원과 「ESV 스터디 바이블』의 편집 위원장도 역임했다. 우리가 그루뎀의 책들을 통해 많은 유익을 얻을 수 있는데, 적어도 두 가지 점에 있어서는 경계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는 침례교의 관점에 서서 유아세례를 인정하지 않는 점(27장)과 예언의 은사를 두 가지로 나누고 오류 가능성이 있는 2등급의 예언은사가 현재도 존재한다라고 인정하는 점이다(30장). 예언에 대한 이러한 입장은 그의 박사논문(The Gift of Prophecy in 1 Corinthians)으로부터 시작해서 포괄적이고 대중적으로 쓴 『예언의 은사』(솔로몬)와 주저 『조직신학』 등에서 분명하게 공표되어졌으며, 이러한 그의 입장은 빈야드 운동이나 제3의 물결 등을 지지해주는 바가 있다. 그루뎀의 생애 이력 속에는 존 윔버의 빈야드운동을 지지했던 시절도 있었다는 점을 그는 솔직히 밝힌 적도 있다. 본서에서는 그의 예언의 은사론에 대한 간략하고 매우 조심스러운 견해가 표명되어 있다. “예언의 은사가 존재하긴 하나 성경의 권위하에 있다.”라고 하는 식으로 그는 말한다. 그러나 역사적 개혁주의 입장에서 보자면 그루뎀의 유아세례 반대론이나 그의 예언은사론은 받아들여서는 안된다는 점을 분명히 말해 두고 싶다. 그의 견해에 대해 웨스트민스터 은사들(개핀, 클라우니)이나 싱클레어 퍼거슨과 팔머 로벗슨 같은 신학자들이 비판의 글을 이미 공표한 바도 있다. 그러나 본서는 여러 가지 면에서 유익을 끼치는 양서이기 때문에 많은 독자들의 손에 들려서 잘 읽혀지기를 소망한다. 저자가 서문에서 “하나님의 은혜로 언젠가는 모든 교회가 성경이 말하는 교리적 가르침을 서로 논의하고, 적용하고, 살아내는 날이 올 것이라 믿는다.”고 염원한대로,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이 성경적 진리 혹은 교리를 공부하고 토론하는데 본서가 유익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기를 소망해 본다. 아울러 본서를 번역한 박재은 교수를 잠시 소개하는 것이 본서의 번역본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박 교수는 총신대학교와 신학대학원에 서 신학을 공부한 후에, 미국 칼빈신학교에서 조직신학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나서 존 볼트교수의 지도하에 칭의와 성화의 관계에 관한 박사논문을 쓴 소위 소장파 개혁신학자이다. 그의 학위논문은 2018년에 독일에서 출간되었으며(Driven by God: Active Justification and Definitive Sanctification in the Soteriology of Bavinck, Comrie, Witsius, and Kuyper, Göttingen: Vandenhoek und Ruprecht), 귀국한 후 5년 동안 모교인 총신대학교에서 조직신학 강의를 하면서 『칭의, 균형있게 이해하기』와 『성화, 균형있게 이해하기』(부흥과개혁사) 등을 저술 출간하였고, 2019년 가을에 조직신학 교수로 임용이 되었다. 그가 쓴 박사논문과 여러 논저들을 읽어본 적이 있는 추천자로서는 그가 이 책의 번역을 맡기에 적임자라고 생각해서 출판사에 추천을 했었고, 번역 원고를 살펴 보면서 기대가 어긋나지 않았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번 개정판 번역에는 총신대학교 박사과정에서 조직신학을 전공중인 이현명 목사도 협업하여 완성이 되었다. 독자들 역시도 쉽고 평이한 문체로 그루뎀이 썼던 본서가 역자들의 정확한 번역으로 소개되기에 가독성 있는 독서체험을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박박사의 수고에 경하를 표하며, 어려운 시기에 본서를 간행하기로 한 솔로몬출판사 박영호장로님과 담당직원들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이상웅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웨인 그루뎀은 논의된 여러 교리들이 성경 본문이라는 근원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잘 설명한다. 이 책은 명확성과 접근성이 눈에 띄게 돋보일 뿐만 아니라 책 전반에 흐르는 목회적인 어조 또한 발군이다.
토마스 R. 슈라이너, 서던 뱁티스트 신학교
제임스 뷰캐넌 해리슨 신약 해석학 및 성경 신학 교수.

웨인 그루뎀의 성경 핵심 교리는 성경론, 신론, 구원론을 비롯한 주요 신학적 쟁점에서 폭넓은 개혁주의 신학 전통의 입장에 확고하게 서 있다. 그는 복잡하고 어려운 신학 용어를 사용하기 보다는 가급적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단어와 문장으로 풀어 설명함으로써, 다양한 배경과 수준을 가진 많은 그리스도인 독자들이 성경적 교리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게 하며, 그들이 더욱 힘 있는 신앙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번 포이트레스,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신약학, 성경 해석학, 조직신학 석좌 교수.

저자소개
지은이 웨인 그루뎀

웨인 그루뎀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B.A.),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서 석사(M.Div.),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신약학 전공으로 “고린도전서에서 나타난 예언의 은사 연구”로 박사(Ph. D.)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침례교 목사이며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에서 성서학과 조직신학 학과의 학과장 겸 교수로 일했으며, 현재 피닉스 신학대학원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웨인 그루뎀의 조직신학』, 『예언의 은사』, 『남성과 여성을 위한 50가지 핵심 질문-존 파이퍼와 공저』 등이 있다.

편집인 알렉산더 그루뎀
알렉산더 그루뎀(MA, 기독교 연구, 리젠트 칼리지)은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있는 베리타스 아카데미에서 가르치고 있다

옮긴이 박재은

총신대학교(B.A. 신학과)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하고, 미국 칼빈 신학교에서 조직신학으로 신학석사(기독론, Th. M.)와 박사(구원론, Ph.D.) 학위를 취득했다. 『칭의, 균형 있게 이해하기』, 『성화, 균형 있게 이해하기』, 『삼위일체가 알고 싶다』, 『질문하는 성도, 대답하는 신학자』 등을 집필했고, 헤르만 바빙크의 『계시 철학』과 『찬송의 제사』, 제임스 에글린턴의 『바빙크』, 존 볼트의 『성도다운 성도』 등을 번역했다. 국내외 학술지에 다양한 신학적 주제로 소논문들을 게재했으며, https:// calvinseminary.academia.edu/JaeEunPark에서 전문을 읽을 수 있다. 현재는 총신대학교 신학과 교수(조직신학)로서 교목실장을 겸하며 학교와 학생을 섬기고 있다.

옮긴이 이현명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Div.)를,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조직신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Th.M.)를 받았다. 현재는 동대학원에서 조직신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Ph.D.) 과정을 밟고 있다.

목차
| 차 례 |
차례
추천의 글 / 옮긴이의 글
2판 서문 / 초판 서문
1장 | 조직신학 개론 … 025
● 조직신학이란 무엇인가? ●그리스도인이 조직신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조직신학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1부 하나님 말씀의 교리
2장 | 성경의 권위와 무오성 … 050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성경에는 오류가 있는가?
3장 | 성경의 명료성, 필요성, 그리고 충분성 … 087
●성경학자들만 성경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가? ●성경은 어떤 목적에서 필요한가?
●성경만으로 우리의 생각과 행동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알기에 충분한가?

2부 신론
4장 | 하나님의 성품: “비공유적” 속성 … 118
●하나님께서 존재하신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우리는 정말로 하나님을 알 수 있는가?
●하나님께서는 우리와 어떻게 다르신가?
5장 | 하나님의 “공유적” 속성 … 148
●하나님께서는 우리와 어떻게 같으신가?
6장 | 삼위일체 … 182
●하나님께서는 어떻게 세 위격되심에도 불구하고 한 하나님이실 수 있는가?
7장 | 창조 … 226
●하나님께서는 왜, 어떻게, 언제 우주를 창조하셨는가?
8장 | 하나님의 섭리 … 272
●하나님께서는 어디까지 피조물을 통제하시는가?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통제하신다고 한다면, 우리의 행동은 과연 어떤 의미가 있는가?
9장 | 기도 … 305
●하나님께서는 왜 우리가 기도하기를 원하시는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기도할 수 있을까?
10장 | 천사, 사탄, 그리고 귀신 … 325
●천사란 어떤 존재인가? ●하나님께서 천사들을 창조하신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사탄과 귀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3부 인간론
11장 | 인간의 창조 … 354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신 이유는 무엇인가?
●하나님께서 인간을 하나님과 같이 창조하셨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성경이 말하는 “혼”(soul)과 “영”(spirit)의 의미는 무엇인가?
12장 | 남자와 여자로서의 인간 … 373
●하나님께서 인간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신 이유는 무엇일까?
●남자와 여자는 평등하면서도 서로 다른 역할을 할 수 있을까?
13장 | 죄 … 391
● 죄란 무엇인가? ●죄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아담으로부터 죄의 본성을 물려받았는가?

4부기독론
14장 | 그리스도의 인격 … 420
●예수님께서는 어떻게 완전한 하나님이시자 완전한 사람이시면서도 한 인격이실 수 있는가?
15장 | 속죄 … 452
●그리스도께서는 죽으셔야만 했는가? ●속죄에서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그리스도께서는 정말로 지옥으로 내려가셨는가?
16장 | 부활과 승천 … 475
●그리스도의 부활체는 어떤 모습이었는가? ●부활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그리스도께서 승천하셨을 때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5부 구원의 적용 교리
17장 | 일반 은혜 … 492
●하나님께서 신자든 불신자든 모든 사람에게 주시는 과분한 축복은 무엇인가?
18장 | 선택 … 506
●하나님께서는 언제 우리를 선택하셨으며, 우리를 선택하신 이유는 무엇인가?
●선택받지 못한 사람도 있을까?
19장 | 복음의 부르심 … 530
●복음의 내용은 무엇인가? ●어떻게 복음이 효과적일 수 있을까?
20장 | 중생 … 538
●거듭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21장 | 회심(믿음과 회개) … 549
●진정한 회개란 무엇인가? ●구원하는 믿음이란 무엇인가?
●예수님을 주님이 아닌 구원자로만 영접할 수도 있을까?
22장 | 칭의와 양자됨 … 568
●하나님 앞에서 법적으로 의롭다 함을 받는 것은 언제,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하나님의 자녀가 되면 어떤 유익이 있을까?
23장 | 성화(그리스도를 닮는 성장) … 594
● 그리스도인의 성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그리스도인의 성장에 따르는 축복은 무엇인가?
24장. 성도의 견인(그리스도인으로 남는 것) … 611
●참된 그리스도인이라 할지라도 구원을 잃어버릴 수 있는가?
●우리가 진정으로 거듭났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25장 | 죽음, 중간 상태, 그리고 영화 … 632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죽음의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가 죽으면 우리의 몸과 영혼은 어떻게 되는가?
●부활체는 언제 받게 되는가? ●부활체는 어떤 모습일까?

6부 교회론
26장 | 교회의 본질 … 652
●진정한 교회는 어떻게 알아볼 수 있는가? ●교회의 목적은 무엇인가?
●교회는 무엇을 통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는가?
27장 | 세례 … 685
●세례는 누가 받아야 하는가? ●세례는 어떻게 받아야 하는가? ●세례의 의미는 무엇인가?
28장 | 성찬 … 702
●성찬의 의미는 무엇인가? ●성찬은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
29장 | 성령의 은사(I): 일반적인 질문 … 716
● 영적 은사란 무엇인가? ●영적 은사는 얼마나 많이 있는가? ●어떤 은사는 중단되었는가?
●영적 은사는 어떻게 찾을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가?
30장 | 성령의 은사(II): 특별한 은사 … 739
●우리는 특별한 영적 은사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해야 하는가?

7부 종말론
31장. 그리스도의 재림: 언제 그리고 어떻게? … 774
● 그리스도께서는 언제 어떻게 재림하실까?
●그리스도께서는 언제든 다시 오실 수 있으실까?

32장. 천년왕국 … 795
● 천년왕국이란 무엇인가? ●천년왕국은 언제 이루어지는가?
●그리스도인들은 대환난을 겪게 될까?
33장. 최후의 심판과 영원한 형벌 … 819
●누가 심판을 받게 되는가? ●지옥은 무엇인가?
34장. 새 하늘과 새 땅 … 838
●천국이란 무엇인가? ●천국은 장소인가? ●땅은 어떻게 새로워질까?
●새 하늘과 새 땅에 사는 것은 어떤 모습일까?

부록 I. 역사적 신앙 고백들 850
부록 II. 용어사전 860
부록 III. 복음주의 조직신학에 대한 설명이 달린 참고 문헌 888
색인 904

 #이희성교수님  #신간  #이사야 2024년 9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도서명: 종들의 기업- 이사야 40-66장에 나타난 저  자: 이희성발행일: 2024년 8월 22일정  가: 21,000원페이지: 311판  형...
25/09/2024

#이희성교수님 #신간 #이사야

2024년 9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

도서명: 종들의 기업- 이사야 40-66장에 나타난
저 자: 이희성
발행일: 2024년 8월 22일
정 가: 21,000원
페이지: 311
판 형: 160*240(양장)
ISBN : 978-89-8255-625-8

도서소개
지난 30년 동안 이사야서 연구는 이사야서의 통일성을 중심으로 논의되어왔다. 학자들은 이사야서 각 부분의 문예적 연관성을 무시한 채 독립적으로 읽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왔다. 하지만 이사야서를 전체적으로 읽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나 ‘어떻게’ 그리고 ‘왜’ 이사야서의 서로 다른 부분을 전체로 읽어야 하는지는 학자들마다 다양한 방법론적 입장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사야서 40-66장을 전체로 읽기 위해 이사야 40-66장에 나타난 종들과 기업의 주제 전개와 그 문예적이며 신학적 의미를 연구한다. 넓은 문맥 안에 나타난 종들과 기업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우리는 본문의 연결성을 강조하는 텍스트학 이론을 사용할 것이다

본문소개
본서는 텍스트 언어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이사야 40-66장에 나타난 종들의 기업이란 주제를 탐구한다. 서두에서는 이사야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동안 이사야서 연구에서 지배적이었던 비평주의 학자들의 견해를 평가하고 문학적이며 정경적인 이사야서 이해의 방향을 제시한다. 다음에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론을 기술한다. 이 부분에서는 기호 언어에서 의미론으로 전환의 중요성,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언어, 언어의 은유적 측면, 텍스트학의 독특한 특징들, 본문의 신학적 이해, 정경적-언어학적 접근 등을 살핀다. 다음으로는 이사야서의 종과 기업의 주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 개의 중심 본문(54:11-17; 58:1-14; 65:8-16)을 선택하고 넓은 문맥인 40-66장 안에서 다룬다. 이사야 54:11-17은 기업, 고난, 보상, 그리고 하나님 백성들의 회복, 이사야 58:1-14은 기업과 백성들의 반응, 이사야 65:8-16은 기업의 상실, 기도, 하나님의 응답, 그리고 기업의 확증이란 주제를 다룬다. 이사야서에 나타난 종과 그리고 기업이란 주제는 이사야서의 핵심적인 신학을 잘 드러내고 있다. 본서가 소개하는 이사야 40-66장의 종들의 기업이란 주제는 독자들에게 이사야서 신학 이해의 지평을 심화, 확장시켜 줄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이희성인하대학교 전기공학과(B.S)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졸업미국 Reformed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M.Div) 졸업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Th.M) 1학기 수학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Ph.D, 구약학) 박사학위 논문으로 『The Inheritance of the Servants of the Lord in Isaiah 40-66: Textlinguistic Approach』 외에 다수의 소논문이 있다. 번역서로는 『성경평행법의 역동성』, 『교회와 함께 읽는 성경』 저서로는 『교회와 함께 읽는 신명기』, 『왕의 명령』, 『성경 히브리어 문법』, 『쉽게 배우는 구약 수업』이 있다. 현재는 두란노 생명의 삶 구약 집필자로 새에덴 신학아카데미 원장과 총신대학교 구약학 부교수로 섬기고 있다.



목차
차 례
감사의 글•4
약어 목록•10

1. 서론•13
이사야서 연구 최근 동향•13
종은 누구인가?•27
연구 개관 결과•33
연구 목적 및 범위•34
본문 선택•35

2. 방법론•39
언어의 기본 개념•39
텍스트학의 주요 특징들•57
본문의 신학적 이해•69
결론•81

3. 기업, 고난, 보상, 그리고 하나님의 백성들의 회복
(이사야 49-55장 안에서의 이사야 54:11-17)•85
담화 구획•86
주제 전개•93
본문의 의사 소통 기능•122
신학적 의미들•131
결론•135

4. 기업 그리고 백성들의 응답
(이사야 56:1-63:6 안에서의 이사야 58:1-14)•137
담화 구획•138
주제 전개•150
본문의 의사 소통 기능•187
신학적 의미들•196
결론•205

5. 기업의 상실, 기도, 하나님의 응답, 그리고 기업의 확증
(이사야 63:7-66:24안에서의 이사야 65:8-16)•207
담화 구획•208
주제 전개•215
본문의 의사 소통 기능•244
신학적 의미들•251
결론•256
6. 결론•261
참고 문헌•271

 #임요섭교수님  #6월신간  #칼빈2024년 6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도서명: 칼빈의 종교개혁- 칼빈의 변증서와 논쟁서 연구저  자: 임요섭발행일: 2024년 5월 30일정  가: 35,000원페이지: 484p판 ...
24/09/2024

#임요섭교수님 #6월신간 #칼빈
2024년 6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

도서명: 칼빈의 종교개혁- 칼빈의 변증서와 논쟁서 연구
저 자: 임요섭
발행일: 2024년 5월 30일
정 가: 35,000원
페이지: 484p
판 형: 양장(150*220)
ISBN : 978-89-8255-624-1

책소개
이 책은 종교개혁자로서의 칼빈에게 주목한다. 종교개혁은 기독교의 가장 근본적인 진리와 신앙의 체계 전체를 성경의 가르침과 그 가르침에 충실했던 초대교회의 모범을 따라 다시 회복하려 했던 신앙 운동이었다. 칼빈은 평생 논쟁했다. 그는 삶과 사역, 그리고 자신의 저술 전체에 걸쳐 당대의 로마 가톨릭과 다양한 급진세력에 맞서 끊임없이 논쟁하면서 참된 기독교 신앙을 변증했다. 그러나 칼빈의 논쟁적 저술들은 모두 종교개혁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즉 그는 언제나 하나님의 말씀의 기준에 따라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온전히 드러내기 위해 기독교 신앙을 왜곡하고 타락시킨 잘못 된 주장들과 행태들을 비판하고 극복하려 했다. 이 책의 목적은 칼빈의 대표적인 변증서와 논쟁서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종교개혁자로서의 칼빈의 면모를 재확인하고, 그가 일관되게 강조했던 종교개혁의 개념과 원칙, 그리고 목적을 재조명하는 데 있다

추천사

칼빈의 변증서와 논쟁서들은 현실과 괴리된 이론들이 아니라 그가 시련 가운데 쏟아낸 신앙고백적 결과물이었다. 로마 가톨릭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찍이 프랑스를 떠나 타국에서 생애 전부를 보낸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제네바에서 추방당했다가 복귀한 후 말년에 리베르탱파의 저항을 무찌르기까지 칼빈의 제네바 목회 기간의 거의 3분의 2가 시련기였다. 본서의 내용은 칼빈이 겪었던 시련 그리고 어려움과 직결된 것이기에 오늘날 유사한 시련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에게 지침과 위로를 준다.
임원택 교수(한국복음주의신학회 회장)

오늘날 기독교 역사를 “현실”의 역사 정도로 여기는 인본주의적 역사 비평 방법이 기독교 역사학계는 물론 조직신학 학계에도 팽배하다. 이를 감안할 때, 칼빈이 그의 시대 교회와 성도의 신앙과 삶에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첨예한 교리적 대립을 보였던 주요한 주제들을 다룬 글들을 원문에 충실하게 ‘신학적’으로 분석하여 ‘성경하다 할 것이다.
문병호 교수(개혁신학회 회장)

칼빈은 뛰어난 성경 주석가였고, 탁월한 교회법 학자였고, 신실한 설교가였고, 헌신적인 목회자이기도 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그는 예리한 변증가이기도 하였다. 종교개혁 2세대에 속하는 칼빈은 당연히 변증가의 삶을 살 수밖에 없었다. 그가 어느 정도, 얼마나, 어떻게 구체적으로 변증가로서 삶을 살았는지 알기 위해서는 이 책을 읽어야 할 것이다.
이성호 교수(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회장)

저자소개
지은이 김요섭

서울대학교 철학과 (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M.Div.)
미국 예일대학교 신학대학원 (S.T.M.)
영국 에딘버러대학교 신학부 (M.Th.)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신학부 (Ph.D.)
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부교수
현 개혁신학회 부회장
현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부회장
주요 저술
『존 녹스: 하나님과 역사 앞에 살았던 진리의 나팔수』
(익투스, 2019)
『종교를 개혁하다: 16세기 유럽 기독교 종교개혁의
본질 재조명』 (솔로몬, 2021)
외 종교개혁과 칼빈신학에 대한 다수의 연구논문

목차

차 례
추천사•4
약어표•13
저자 서문•14

제1장 종교개혁자 칼빈•21
1. 칼빈의 생애 개관•21
1.1. 유년기와 대학 시절•21
1.2. 종교개혁으로 회심•25
1.3. 목회 훈련•28
1.4. 제네바의 개혁을 위한 사역•32
1.5. 개혁의 정착과 확산•37
1.6. 칼빈의 유산•40
2. 칼빈의 종교개혁 신학•42
2.1. 칼빈에 대한 평가•42
2.2. 종교개혁을 위한 변증과 논쟁•47

제2장 『기독교강요』 서문(1536)•55
1. 배경: 참된 종교에 대한 변호와 선언•55
1.1. 『기독교강요』의 증보와 저술 목적•55
1.2. 참된 종교•60
1.3. 근본적인 문제들•64
1.4. 바른 가르침•66
2. 참된 종교의 교리•69
2.1. 인간론•69
2.2. 구원론•73
2.3. 교회론•77
2.4. 국가론•83
3. 종교개혁의 방법•88
3.1. 올바른 성경해석: 구속사적 언약신학적 해석•89
3.2. 올바른 교회 역사 해석: 그리스도의 역사 주권•96
3.3. 올바른 신앙적 삶: 종말론적 소망•100

제3장 사돌레토에게 주는 답신(1539)•105
1. 배경: 칼빈 추방 이후 위기에 처한 제네바•105
2. 종교개혁의 정당성•109
2.1. 목회직분 정당성의 근거•109
2.2. 참된 사역자의 증거: 희생과 헌신•115
3. 종교개혁의 과제•120
3.1. 참된 예배의 회복•120
3.2. 참된 교회의 수립•123
3.3. 참된 교리의 확립•128
4. 진정한 교회의 일치•137
4.1. 교회의 직분에 대한 바른 이해•137
4.2. 일치의 기준과 조건•141
5. 종교개혁을 위해 합당한 자세•145

제4장 니고데모파에게 주는 해명(1544)•149
1. 배경: 믿음과 삶의 불일치•149
2. 종교개혁을 위한 삶의 고백•155
2.1. 외적 고백의 중요성•155
2.2. 핑계와 해명•163
2.3. 네 종류의 니고데모파•167
3. 종교개혁의 기준•174
3.1. 성경의 명확한 진리•174
3.2. 진정한 예배•183
4. 망명: 종교개혁을 위한 선택•188

제5장 재세례파 논박(1544)•193
1. 배경: 재세례파의 위험성•193
2. 역사적 배경•197
2.1. 재세례파에 대한 칼빈의 반박 과정•197
2.2. 재세례파와의 접촉•200
2.3. 저술 과정•204
3. 성경: 바른 종교의 최종 기준•208
3.1. 성경의 권위에 대한 바른 이해•208
3.2. 성경해석의 바른 방법•210
3.3. 성경해석의 바른 적용•215
4. 교회: 종교개혁의 현장•218
4.1. 교회 정체성의 토대•218
4.2. 교회 일치의 기준•222
4.3. 교회 권세의 한계•226
5. 세속 사회: 종교개혁의 범위•229
5.1. 소명으로서의 위정자 직분•229
5.2. 세속 법정 사용 가능성•233
5.3. 세속 정부 참여 가능성•236
6. 종교개혁의 개념과 그 의의•240

제6장 리베르탱파 논박(1545)•245
1. 배경: 기독교 신앙에 대한 가장 큰 위협•245
1.1. 리베르탱파의 정체•245
1.2. 저술 동기•248
2. 비판의 방식•254
2.1. 역사적 비판: 종교개혁의 역사적 정당성•254
2.2. 성경적 비판•260
2.3. 종교개혁을 위한 성경해석의 원칙•264
3. 리베르탱파의 교리 비판•270
3.1. 신론•270
3.2. 섭리론•275
3.3. 기독론과 구원론•283
3.4.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경건한 삶•288
3.5. 종말론•296
4. 성경의 진리에 충실한 그리스도인의 삶•300

제7장 트렌트 공의회 법령과 해독제(1547)•303
1. 배경: 로마 가톨릭의 개선 시도•303
2. 트렌트 회의의 성격•307
2.1. 종교개혁에 대한 로마 가톨릭의 대응에 대한 해석•307
2.2. 트렌트 회의의 개최 배경•311
2.3. 트렌트 회의의 진행 과정•314
3. 트렌트 회의에 대한 비판•319
3.1. 회의의 권위와 의도 비판•319
3.2. 사제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비판•322
4. 교회 개혁의 정당한 기초와 합당한 방식•325
4.1. 기초: 교회의 영혼인 교리•325
4.2. 최종적 기준: 성경의 빛•329
4.3. 실제적 목적: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통치 구현•333
4.4. 합당한 태도: 하나님의 영광만을 위한 전적 헌신•337
5. 16세기 종교개혁의 유산과 현재적 의의•339

제8장 교회 개혁의 참된 방식(1549)•343
1. 배경: 위협과 핍박 앞에서 타협 가능성•343
1.1. 역사적 배경•343
1.2. 저술 동기•347
1.3. 저술 목적•350
2. 교리의 개혁•352
2.1. 하나님 예배(cultus Dei): 바른 교리의 목적•352
2.2. 이신칭의 교리의 쟁점들•357
2.3. 이신칭의 교리의 종교개혁적 의의•363
3. 교회의 개혁의 참된 기초와 방식•367
3.1. 교회의 참된 기초•367
3.2. 로마 가톨릭 교회론 비판•371
3.3. 교황수위권 비판•373
4. 성례의 개혁•379
4.1. 성례의 참된 본질•379
4.2. 거짓 성례들•384
4.3. 잘못된 의식과 의무들•391
5. 종교개혁의 목적과 자세•399

제9장 세르베투스 논박(1553)•403
1. 배경: 세르베투스의 도전•403
1.1. 세르베투스의 이단 사상•403
1.2. 세르베투스에 대한 재판•408
1.3. 변호와 반박의 필요성•412
2. 종교개혁과 세속 권세•417
2.1. 세속 권세의 권한•417
2.2. 세속 정부의 정치적 통치와 그리스도의 영적 통치•421
2.3. 세속 권세의 정당성 논쟁•426
2.4. 세속 권세 사용의 방식과 목적•431
3. 종교개혁의 핵심 교리•437
3.1. 삼위일체론과 기독론•439
3.2. 구원론•444
3.3. 성례론•446
4. 정통교리의 중요성과 종교개혁을 위한 책임•454

제10장 칼빈의 종교개혁, 그 개념과 의의•457
1. 종교개혁의 본질•457
2. 종교개혁의 다섯 가지 원칙에 따른 칼빈의 종교개혁 이해•460
3. 종교개혁의 자세와 그 의의•465

참고문헌•469

 #김준  #3월신간  #성경적관점상담2024년 3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도서명: 성경적상담과 하나님관점의 이야기 -개정판저  자: 김 준발행일: 2024년 3월 20일정  가: 17,000원페이지: 254p판  형...
24/09/2024

#김준 #3월신간 #성경적관점상담
2024년 3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

도서명: 성경적상담과 하나님관점의 이야기 -개정판
저 자: 김 준
발행일: 2024년 3월 20일
정 가: 17,000원
페이지: 254p
판 형: 무선(150*220)
ISBN : 978-89-8255-623-4

책소개
‘하나님관점의 이야기’ 접근(divine narrative approach)은 그 자체로 절망적 현실 너머에 존재하는 회복력과 가능성에 대한 믿음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목회자나 상담사는 내담자의 현재 상황이 절망적으로 보이더라도 삶 가운데 하나님이 남겨놓은 긍정적인 부분과 회복력이 존재함을 믿고 내담자와 함께 ‘치유와 회복의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믿음의 의미가 바랄수 없는 것을 바라는 것(롬 4:18; 히 11:1)이듯이, 성경적 관점의 상담은 문제로 가득해 보이는 내담자의 삶에도 하나님의 선하심이 신비하게 존재하고, 이것을 지혜롭게 엮어낼 때 모든 것이 합력해서 선을 이룬다는 믿음을 견지한다. 그러므로 하나님관점의 이야기 접근은 신앙인의 내면에 존재하는 가능성과 능력을 깨우고 확장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렇게 자신의 삶을 하나님의 관점으로 바라보며 문제에 대항하는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갈 때 문제의 굴레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본문소개
이 책은 다른 성경적상담의 저작과 구분되는 다음의 세 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기독교상담의 핵심 이슈에 대하여 전체 기독교상담의 맥락에서 성경적상담의 입장을 분명하게 제시하고자 했다.
기독교상담에서 주로 논의되는 이슈는 인간이해, 성경의 충분성, 그리고 심리학과의 관계이다. 그동안 성경적상담은 이와 같은 주제에 대해 입장을 개진하는 것 자체에 집중하였다. 그러나 이 책은 이러한 이슈들이 전체 기독교상담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그 중요성을 설명하고, 다른 기독교상담 학파인 주류목회상담학과 통합주의 입장과 비교하며 성경적상담의 입장을 선명하게 제시한다.

_서론 중에서

저자소개
저자 김 준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과 보스톤대학교에서 수학하고 CCEF와 필라델피아 아동및가족치료 훈련센터(Philadelphia Child and Family Therapy Training Center)에서 임상훈련을 받았다. 미국 필라한인장로교회 담임목사와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상담학 교수로 섬기고 있다

목차
차 례
서론 치유와 회복의 이야기를 소망하며•7

1부 성경적상담의 기초
1장 상담의 의미와 기독교상담•15
1. 기독교상담의 의미•16
2. 기독교상담의 유형•21
3. 기독교상담의 학파들•27
결론•39
2장 성경적상담의 발전과 확장•42
1. 성경적상담의 시작•43
2. 성경적상담의 발전•49
3. 성경적상담의 확장•55
결론•61
3장 성경적 인간이해와 상담•64
1. 영적인 존재로서 인간•65
2. 마음: 내면의 중심•71
3.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됨•78
결론•84
4장 성경적상담과 성경•86
1. 기독교상담과 성경•86
2. 성경 사용에 대한 입장들•91
3. 웰치의 과 성경적 관점•100
결론•103
5장 성경적상담과 심리학•105
1. 기독교상담에서 심리학의 위치•106
2. 인지치료와 성경적상담•114
3. 이야기치료와 성경적상담•119
4. 자기심리학과 성경적상담•123
결론•127

2부 성경적 변화와 하나님관점의 이야기
6장 성경적 변화와 하나님관점의 이야기•131
1. 상담문제와 이야기•131
2. 성경적 신앙과 이야기•142
3. 하나님관점 이야기 만들기•147
결론•152
7장 성경적 변화와 마음•154
1. 포울리슨의 나무모델•155
2. 마음의 중심으로서 동기•161
3. 마음의 생각과 감정 영역•165
결론•175
8장 사건 중심의 분석과 이야기의 해체•179
1. 삶의 열매와 반응•180
2. 감정•183
3. 생각과 신념•191
4. 마음의 중심으로서 동기•197
결론•202
9장 하나님관점의 이야기 만들기•205
1. 하나님관점 이야기의 구성•206
2. 하나님관점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방식•213
3. 사례를 통해 본 하나님관점 이야기 만들기 과정•217
결론•226
10장 하나님관점 이야기를 위한 상담관계•228
1. 하나님관점 이야기와 상담관계•229
2. 공감을 통한 변화와 성육신 모델•234
3. 공감적 상담관계 형성을 위한 기술•239
결론•243
참고문헌•245

 #드디어24년신간  #김영욱교수님  #대망의책  #신명기2024년 3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도서명: 신명기 신학저  자: 김영욱발행일: 2024년 3월 20일정  가: 15,000원페이지: 200p판  형: 무선(...
21/09/2024

#드디어24년신간 #김영욱교수님 #대망의책 #신명기

2024년 3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

도서명: 신명기 신학
저 자: 김영욱
발행일: 2024년 3월 20일
정 가: 15,000원
페이지: 200p
판 형: 무선(150*220)
ISBN : 978-89-8255-622-7

책소개
이 책은 신명기에서 언급하는 신학적 주제들을 다루고자 합니다. 신명기에서 언급하는 주제들이 구약 성경의 다른 책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나오며 다른 책들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다루는 주제들은 필자가 신명기를 주석하면서 중요하다고 느낀 신학적 주제들을 주관적으로 선별한 것입니다. 아무쪼록 신명기의 신학적 메시지를 알기 원하는 성도들과 목회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본문소개
학자들이 신명기에 주목하는 이유는 신명기가 중요한 신학적 주제들을많이 담고 있기 때문이다. 신명기의 중요성은 구약 신학에서 드러난다. 구약 신학의 중요한 질문은 구약 성경에 중심이라고 말할 수 있는 주제가 있느냐 하는 것이다. 신약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가 중심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이 신학적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약에도 39권을 아우를 수 있는 신학적 주제가 있는가 하는 질문이다. -본문중에서

저자소개
저자 김영욱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네덜란드의 캄펜 신학 대학교(Theologische Universiteit van de Gereformeerde Kerken in Nederland te Kampen)의 장학생으로 초청을 받아 공부했다. 구약의 중심에 대한 논문 “믿음의 통일성: 하나님과 예배”를 써서 석사 학위(Drs. Theol.)를, 같은 대학에서 코넬리우스 하우트만(C. Houtman) 교수의 지도로 구약의 왕권 사상에 관한 논문 “신명기 17:14-20에 따른 이상적인 왕”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Dr. Theol.)를 받았다.
현재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구약 교수로 있으며,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은혜샘 교회(www.eun.or.kr)의 담임 목사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대망의 책』(솔로몬, 2012)과 『신현의 책』(솔로몬, 2013) 그리고 『신명기 I』(솔로몬, 2016), 『신명기 II』(솔로몬, 2016)와 『신명기 III』(솔로몬, 2019)이 있고, 역서로는 『윌리엄스 히브리어 구문론』(그리심, 2012)이 있다

차 례
약어표
머리말
1. 서론•11
2. 순종과 불순종•15
1. 가나안 정복의 실패•16
2. 요단 동편 점령 전쟁•25
3. 실패와 성공•29
3. 약속의 땅•33
1. 신명기 1-3장의 구조 분석•34
2. 약속과 성취 사이에서•35
3. 하나님의 선물•41
4. 땅과 법•46
4. 시내산 신현•49
1. 불과 말씀•51
2. 우상과 이스라엘의 미래 역사•54
5. 토라 교육•61
1. 동사 라마드•62
2. 교육 내용•66
3. 아도나이 경외•77
6. 언약의 말들, 십계명•81
1. 오늘, 현재화•82
2. 십계명•85
3. 다른 신과 안식일•88
7. 유일신•111
1. 유일신론•1
2. 구원자 하나님•118
8. 출애굽 구원•125
1. 신명기의 구원•126
2. 구원 사상의 전수•135
9. 선택•141
1. 동사 ‘바하르’(rxb)•142
2. 이스라엘의 선택•144
3. 선택하실 장소•147
4. 제사장과 왕•153
5. 신명기와 시편•156
10. 신정 정치•159
1. 사법 제도•160
2. 왕정 제도•165
3. 종교 제도•171
11. 복과 저주•181
1. 열두 저주•183
2. 순종과 불순종의 결과: 복과 저주•186
12. 모압 언약•193
1. 신명기 구조와 종주 조약•194
2. 모압 언약 체결•196

 #작년뒷데이트  #진지훈교수님   #장로교2023년 10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도서명: 장로교회의 큰 물줄기 – 장로회 정치 제도의 기원과 역사저  자: 진지훈발행일: 2023년 9월 30일정  가: 10,000원...
21/09/2024

#작년뒷데이트 #진지훈교수님 #장로교
2023년 10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

도서명: 장로교회의 큰 물줄기 – 장로회 정치 제도의 기원과 역사
저 자: 진지훈
발행일: 2023년 9월 30일
정 가: 10,000원
페이지: 140p
판 형: 무선(150*220)
ISBN : 978-89-8255-619-7

소개글

칼빈주의를 이야기하는 사람들 가운데 개혁주의 신학을 이야기하고 강조하는 사람들은 많이 있다. 그런데 장로회 정치 제도가 칼빈주의의 소중한 유산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별로 없다. 개혁주의 신학을 바르게 세우고 보존하자고 말하는 사람은 많이 있어도 장로교 정치제도를 바르게 세우고 지켜나가자고 목소리를 내는 사람은 거의 없다.
장로교 제도는 성경적인 원리에서 만들어진 제도이고 사도들이 교회의 시작과 함께 행했던 제도이다. 중세 로마교회가 버렸던 것을 종교개혁자 칼빈이 다시 재정비해서 제네바교회에서 사용했고 그것을 개혁주의 신학을 물려받은 교회들이 채용하여 사용하여 온 제도이다. 장로회 정치제도는 개혁주의 신학을 소중히 여기는 것만큼이나 우리가 소중히 여겨야할 사도적 유산이고 칼빈주의 개혁교회의 유산임을 기억하면 좋겠다.

저자소개
지은이 진지훈 박사

별이 좋아 경희대학교에서 우주과학(BS)을 공부했다.
경희대 찬양동아리 가스펠 활동을 하면서 목회자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개혁신학연구원(현, 개신대학원대학)에서 신학(MDiv)을 공부하고 목사 안수를 받았다.
신학을 공부하는 동안 (주)한글과컴퓨터에서 엔지니어로 일을 병행했다. 목사 안수를 받은 후 도미하여 테네시주립대학에서 유학생목회를 하며 경역학석사(MBA)를 마쳤다. 그 후 미시간 칼빈신학교에서 교회정치행정으로 신학석사(ThM), 시카고 트리니티 신학교에서 16세기 종교개혁자 존 칼빈의 제네바교회 헌법과 관련된 논문을 쓰고 역사신학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제기동교회를 담임하고 있으면서 총신대학교 대학원에서 “교회정치행정” 과목을 가르치고 있고 개신대학원대학, 한국성서대학교 대학원 등 여러 신학교에서 다양한 역사신학 과목들을 강의하고 있다. 또 이주민 노동자들을 위한 신학교인 아시아리폼드 신학교를 10년 넘게 자비량으로 섬겨 왔고 한국성서고고학회 “성경과고고학” 편집장으로도 일하고 있다.

추천의 글
진지훈 박사가 심혈을 기울인 연구의 산물인 “장로교회의 큰 물줄기”에 깊은 경이로움을 느낍니다. 진지훈 박사는 미국에 유학해 칼빈 신학교에서 장로회 정치 제도와 역사를 공부한 장로회 정치 제도의 전문가입니다.
그 뿐 아니라 장로교 헌법의 원류가 되는 종교개혁자 칼빈의 16세기 제네바교회 헌법과 그의 성경주석을 비교 연구하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정통 개혁주의 칼빈학자입니다. 더욱이 이 책은 평소 학자로서의 소신과 통찰력 있는 필력이 고스란히 묻어있어서 장로회 정치 제도의 기원과 역사에 대해서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장로회 정치 제도에 대해서 더 많은 이해를 갖게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발간을 축하드리며 이 책이 이 땅의 모든 장로교회 성도들에게 명쾌하고 시원한 활력소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수경노회 노회장 김오권 목사(PhD, 한길교회 담임)

존 칼빈(John Calvin)의 『제네바 법령』 (Ecclesiastical Ordinances) 1561년 판 교회법령 서문에 보면, 교회법 제정의 목적을 우리 주님의 복음의 교리가 그 순수성을 보전할 수 있게 또 좋은 통치와 정치제도에 의하여 교회가 적절히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교회법은 다른 사람을 바르게 권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 정신을 이어받은 것이 장로회 정치 제도입니다.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장로교가 제일 크게 성장하고 자리 잡은 나라입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장로교 정치 제도와 교회법에 대한 연구가 부끄러울 만큼 빈약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번에 장로회 정치의 역사적인 배경과 원리에 대해서 핵심을 알기 쉽게 설명해주는 귀한 책을 내놓았습니다. 이 책이 이 땅의 장로교 교인들에게 바른 신앙 정체성을 확립하는 분명한 좌표가 될 것이고 장로교 교인으로서의 자부심을 심어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수경노회 서기 이정권 목사(PhD, 예수사랑교회 담임)

목차
| 차 례 |
추천의 글
저자 서문
1. 들어가는 말 13
2. 장로 제도에 대한 성경적 기원 16
1) 장로 제도의 구약적 기원
2) 장로 제도의 신약적 기원
3. 존 칼빈의 제네바교회 법령 23
1) 16세기 종교개혁과 존 칼빈
2) 제네바교회 법령과 4가지 항존직
3) 제네바교회 법령의 영향
4. 스코틀랜드 교회 법령 45
1)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가 존 낙스
2) 스코틀랜드 제1치리서
3)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위기
4) 스코틀랜드 제2치리서
5. 웨스트민스터 헌법 65
1) 잉글랜드의 종교개혁
2) 웨스트민스터 총회(Westminster Assembly)
6. 미국 장로교회의 설립 82
1) 웨스트민스터 총회 이전의 아메리카 식민지 개척
2) 웨스트민스터 총회 이후의 청교도들의 이민
3) 미국 장로교 총회와 웨스트민스터
7. 한국 장로교회의 헌법 92
8. 나가는 말 95
부록 99
참고문헌 135

 #늦은업데이트  #김창훈  #총신대 2023년 10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도서명: 주제별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삼위)하나님 중심적 접근저  자: 김창훈발행일: 2023년 9월 30일정  가: 16,000원페...
20/09/2024

#늦은업데이트 #김창훈 #총신대
2023년 10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

도서명: 주제별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삼위)하나님 중심적 접근
저 자: 김창훈
발행일: 2023년 9월 30일
정 가: 16,000원
페이지: 220p
판 형: 무선(150*220)
ISBN : 978-89-8255-620-3

소개글
주제별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자는 한국 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 ‘(삼위) 하나님 중심적 설교’라고 계속해서 강조하여 왔다. 저자의 이러한 설교학적 모토(Motto)를 기반으로 본서는 교리 설교, 회개 설교, 전도 설교, 인물 설교, 헌금 설교, 사회적 이슈에 대한 설교, 치유 설교 그리고 상담적 설교 등을 어떻게 ‘하나님 중심적’으로 설교해야 할 것인지 제안하였다. 특히 각 주제별로 ‘문제 또는 오해가 무엇인지,’ ‘빠지기 쉬운 함정들이 무엇인지,’ ‘왜 필요하며 무엇이 유익한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행할 수 있을 것인지’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저자소개
김 창 훈

김창훈 교수는 건국대학교(영문학)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의 Calvin Theological Semꠓinary(Th. M.)에서 공부했으며, 남아공의 Stellenbosch University에서 ‘예언자적 설교’로 설교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4년 여 동안 광주 산수 교회에서 담임목사로 섬기다가 지금은 한국 교회와 강단의 회복을 소망하며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후학들에게 설교학을 가르치면서 ‘호밀리아 설교 클리닉 연구소’를 섬기고 있다

목차

머리말
1장 강단 회복을 위한 제안:
(삼위) 하나님 중심적 설교의 회복 … 9
2장 교리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 17
3장 선지자적 회개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 33
4장 전도(복음)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 59
5장 인물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 79
6장 헌금(돈)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 101
7장 사회적 이슈에 대한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 117
8장 치유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 147
9장 상담적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 179

 #1년늦은업데이트 2023년 9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도서명: 선교적 신학저  자: 존 R. 프랭키역  자: 안건상발행일: 2023년 9월 1일정  가: 16,000원페이지: 227p판  형: 무선(140*210)...
20/09/2024

#1년늦은업데이트
2023년 9월 솔로몬출판사 신간소개

도서명: 선교적 신학
저 자: 존 R. 프랭키
역 자: 안건상
발행일: 2023년 9월 1일
정 가: 16,000원
페이지: 227p
판 형: 무선(140*210)
ISBN : 978-89-8255-618-0

도서소개

저자에게 선교적 신학은 “그리스도의 제자 공동체가 그들이 처한 특정한 사회-역사적 상황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선교적 소명을 수행하도록 돕기 위해 기독교 교회의 신앙과 실천을 비판적이고 건설적으로 성찰하는 과업을 수행하는 지속적이고, 이차적이며, 상황적 학문이다.” 특별히 선교적 신학의 목적은 “성령님과 협력하여 세상을 위해 예수 그리스도의 방식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함으로써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증거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저자는 선교적 신학이라는 제목하에 선교적 하나님, 선교적 교회, 선교적 신학, 선교적 다양성, 선교적 연대라는 중요한 주제들을 다룬다. 선교라는 관점에서 기존의 신학과 선교학, 그리고 신학의 제 분야를 아우르는 통합적이고 실천적인 신학 작업을 하고 있다. 나는 이것이 앞으로 우리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신학의 방향성이라고 생각한다. 저자가 제시하는 통일된 관점, 개념 정의, 주장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선교적 논의를 촉진하고 이끄는 좋은 길라잡이가 될 것이다

추천의 글
이 책에서 존 프랭키는 다양한 목소리로부터 자신이 수집한 바를 가상 선언문으로 만드는 장엄한 작업을 했다. 그는 신학에 대한 선교적 접근이 어떤 것인지를 깊고 넓게 발전시킨다. 그의 건설적인 작업은 모두가 따라야 할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의제를 제공한다. 이 책은 교회와 학문 모두에 매우 중요하다.
_ 조지 훈스버거, 웨스턴 신학대학원 명예 교수

선교적 신학, 그 시작, 신학 및 성경적 토대, 그리고 교회와 세상과의 미래 관
련성에 관한 통찰을 얻을 훌륭한 입문서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반드시
읽어야 한다. 프랑키는 선교적 대화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과 그것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다시)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 백인성과 백인 우월주의로 인한 처참한 해석을 포함하여 그것이 선교적 신학을 위해 과거에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 현재에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선교적 신학 운동이 ‘권력을 가진 자들’을 탈중심화하고, 대화에서 목소리의 범위를 넓히며, ‘말하기보다 들을 준비가 되어’ 다가오는 미
래에 대한 가능성이다.
_ 리사 보웬스, 프린스턴 신학대학원

선교적 신학이 실용적인 교회 성장 활동에 사로잡힌 상황에서, 프랭키는 이에 대한 신학적인 대화를 추진하면서 그의 이전 작업을 요약하는 뛰어난 텍스트를 제공한다. 선교적 신학은 접근하기 쉽고, 학문적이며, 초점이 균형 잡혀 있다. 모두가 충분하고 누구도 두려워하지 않는 하나님의 나라에 헌신한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_ 드루 하트, 메시아 대학

초대이자 선언문인 프랭키의 선교적 신학은 기독교 신학의 특성과 과제에 대한 혁명적이고 심오한 생명을 주는 비전을 분명히 표현한다. 신학 및 선교학적 합의의 중요한 영역을 기반으로 프랑키는 신학적 성찰을 위한 필수 조건으로서 하나님의 본질에 뿌리를 둔 포스트모던 및 포스트식민주의적 선교 이해에 대해 합리적이고, 접근 가능하며, 잠재적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는 주장을 펼친다. 선교에 대한 이런 철저한 개정은 선교를 주로 전도와 해외 선교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사람들과 선교 언어가 서구 제국주의와 문화적, 종교적 우월주의에 의해 절망적으로 오염된 것을 발견하는 사람들에게 도전을 던질 것이다. 신실하게 성경적이고, 본질적으로 전교회적이며, 모든 다양성의 하나님이 세상에서 하시는 일에 깊이 동조하는 선교적 신학은 교회와 신학 교실에서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할 가치가 있다.
_ 마이클 바람, 캘리포니아 세인트 메리 대학

프랭키는 선교적 신학의 2세대 지도자 중 한 명으로 부상했다. 그는 선교적 신학이 역사와 성경 연구뿐 아니라, 조직신학에서 흘러나온다는 그의 스승들의 핵심적인 신념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이 책이 보여주듯이, 그는 이제 선교적 신학을 회중의 삶과 사역에 더 깊이 도입하고 있다. 이는 목회자의 심정을 가진 학자만이 할 수 있는 선교적 신학에 절실히 필요한 다음 단계이다.
_ 크레이그 반즈, 프린스턴 신학대학원

저자소개

지은이
존 R. 프랭키(D. Phil, 옥스퍼드 대학교)는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제2장로교회 상주 신학자이자, 크리스천 신학교의 겸임 교수, 복음과 우리 문화 네트워크(the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의 총괄 코디네이터이다.

옮긴이
안건상(Ph. D, 풀러 신학대학원)은 동부 아프리카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 선교사였으며, 풀러 신학대학원 ‘선교와 성경’ 교수로 섬겼고, 현재는 총신 신학대학원 선교신학 교수이다.
저서로는 『세상과 교회를 위한 신학 다시 세우기』(솔로몬, 2023), 『일상과 일터의 영성: 하늘의 별처럼, 들의 꽃처럼』(CLC, 2021), 『선교적 성경 읽기: 성경은 하나님 의 위대한 선교 이야기다』(생명의말씀사, 2020), 『코메니우스의 범교육론 연구』(을지출판사, 1984), An Ethiopian Reading of the Bible: Biblical Interpretation ofEthiopian Orthodox Tewahido Church(Pickwick/Wipf and Stock Publishers, 2015)가 있다

| 차 례 |
서문
옮긴이 서문
1장. 선교적 하나님 … 17
2장. 선교적 교회 … 53
3장. 선교적 신학 … 89
4장. 선교적 다양성 … 133
5장. 선교적 연대 … 183
에필로그

19/09/2024

#웨인그루뎀 #조직신학 #축약본

24년9월 신간도서

성경핵심교리 서평

보통 조직신학 책은 이해하기 쉬우면 깊이가 아쉽고, 다소 깊이가 있으면 이해하기가 만만치가 않지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조직신학 입문서로 어떤 책이 좋을지를 놓고 많은 고민을 합니다. 그런데 여기, 쉬우면서도 내용의 깊이가 아쉽지 않은, 그런 조직신학 책이 있습니다. (누군가가 요한복음에 대해 언급한 것과 같이) “코끼리가 헤엄칠 수 있을 만큼 깊으면서도, 어린 아이가 빠져 죽지는 않을 정도로 얕은” 조직신학 입문서가 말이지요. 바로 웨인 그루뎀의 “조직신학”입니다!

미국의 저명한 개혁주의 침례교 신학자인 그루뎀의 조직신학은 이해하기 무척 쉬울 뿐만 아니라, 장황하지 않고 간결하며, 명료하면서도 내용의 깊이 또한 놓치지 않습니다!

물론, 우리는 그루뎀의 모든 견해에 동의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의 책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든 그가 다소 심오할 수 있는, 그래서 때로는 길을 잃기 쉬운 신학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고,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는 사실 만큼은 부인할 수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누군가는 최근 개정되고 증보된 그의 다소 방대한 조직신학 분량에 압도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책을 펼칠 엄두도 못낼 수 있지요. 또 누군가는 (교회에서 가르치고 나누기 위해) 자세하고 길게 설명한 그의 설명을 핵심만 얼른 파악하고 싶을 수도 있지요.

만약, 그런 분들이 계신다면, 바로 이 책, 성경핵심교리를 추천드립니다. 그루뎀의 조직신학을 충실하게 요약한 이 책은 앞서 언급했듯, 이해하기 쉽고, 간결하면서도, 깊이있는 내용을 명료하게 풀어 쓰는 그루뎀 신학 서술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정확히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다소 과장한다면) 그루뎀의 조직신학보다 “그루뎀스러운 책”이라고도 할 수 있지요.

만약, 누군가 이해하기 쉬우면서, 간결하고, 내용의 깊이 마저 아쉽지 않은 조직신학 입문서를 찾고 있다면, ”코끼리가 헤엄칠 수 있을 만큼 깊으면서도, 어린 아이가 빠져 죽지 않을 정도로 얕기까지 한“ 조직신학 입문서를 찾는 사람이 있다면, 바로 여기! 그루뎀의 성경핵심교리가 있습니다. 누구든, 이 책을 펼치기만 한다면, 조직신학의 매력에 풍덩 빠지게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역자 약력

이현명 목사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 Div.)를,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조직신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Th. M.)를 받았다. 현재는 동대학원에서 조직신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Ph. D.) 과정을 밟고 있다.

솔로몬 출판사의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Address

동작구 사당로143 신관 지하1층
Seoul

Opening Hours

Monday 09:00 - 18:00
Tuesday 09:00 - 18:00
Wednesday 09:00 - 18:00
Thursday 09:00 - 18:00
Friday 09:00 - 18:00

Telephone

+8225991482

Website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도서출판 솔로몬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Business

Send a message to 도서출판 솔로몬:

Share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