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Magazine

Space Magazine 월간 SPACE(공간)

통의동 어반 오아시스는 경복궁 서쪽의 통의동 3번지를 포함한 다수의 필지에 자리 잡은 복합 프로젝트입니다. 단독주택 및 근린생활시설인 T3(‘통의동 3번지’에서 유래)와 그 안쪽의 한옥 송원재(松園齋), 그리고 정원...
12/05/2025

통의동 어반 오아시스는 경복궁 서쪽의 통의동 3번지를 포함한 다수의 필지에 자리 잡은 복합 프로젝트입니다. 단독주택 및 근린생활시설인 T3(‘통의동 3번지’에서 유래)와 그 안쪽의 한옥 송원재(松園齋), 그리고 정원까지 세 개 요소로 구성되어 주거와 상업, 휴식과 문화가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통의동 어반 오아시스는 황두진 건축사사무소의 정체성이 강하게 반영된 다층적 역사 도심 프로젝트인데요.

통의동 어반 오아시스에서는 황두진 건축가가 추구하는 무지개떡 건축의 핵심적 조형 원리를 적용해 기능적으로는 주상복합이면서 조형적으로는 ‘다공성’과 ‘중첩된 기하학’을 보여줍니다.

통의통 어반 오아시스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SPACE(공간)」690호(2025년 5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와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설계 황두진건축사사무소
사진 돌로레스 후안

탐페레 시 도심에 기능을 잃고 오랜 기간 방치되던 축구 경기장이 10년의 설계와 시공을 거쳐 다시 개장했습니다. 핀란드 최초의 축구 전용 경기장 중 하나인 탐멜라 스타디움은 1930년대에 그 역사가 시작돼 1990년...
09/05/2025

탐페레 시 도심에 기능을 잃고 오랜 기간 방치되던 축구 경기장이 10년의 설계와 시공을 거쳐 다시 개장했습니다. 핀란드 최초의 축구 전용 경기장 중 하나인 탐멜라 스타디움은 1930년대에 그 역사가 시작돼 1990년대에 현대화 작업을 거쳤으나,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 현대 축구 리그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서 대체 시설로 변화를 도모했습니다.

제이케이엠엠 아키텍츠는 새 탐멜라 스타디움을 약 5만㎡에 달하는 복합 단지의 일부로 만들며, 축구 경기장, 주거동 5개, 상업 센터, 주차시설을 포함한 구역 8개를 상호 연결해 도시조직을 보완했습니다. 그 결과 탐멜라 스타디움은 경기장 위의 작은 도시로 재탄생되었는데요.

제이케이엠엠 아키텍츠의 사물리 미에티넨, 알리 부르, 하리 코스키와 함께한 자세한 이야기는 「SPACE(공간)」690호(2025년 5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와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설계 제이케이엠엠 아키텍츠
사진 투오마스 우세이모

'연인 아님, 부부 아님'김혜빈과 하진구로 구성된 프로젝트 듀오 콩과하의 소개 글에 붙은 단서조항이 아니었다면, 제목만 보고 짐짓 오해할 뻔했습니다.인터뷰를 읽어보니 '사랑'이란 단어 없이 이들을 설명할 수가 없겠더...
25/04/2025

'연인 아님, 부부 아님'

김혜빈과 하진구로 구성된 프로젝트 듀오 콩과하의 소개 글에 붙은 단서조항이 아니었다면, 제목만 보고 짐짓 오해할 뻔했습니다.

인터뷰를 읽어보니 '사랑'이란 단어 없이 이들을 설명할 수가 없겠더라고요. 이들에게 프로젝트는 클라이언트를 사랑하고, 다른 작가나 디자이너와 협업하는 기회처럼 보입니다.

그들이 SNS 프로필 사진으로 사용한 분홍색 테니스공 이야기도 인터뷰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 김산

「SPACE(공간)」 689호(2024년 4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와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vmspace.com/report/report_view.html?base_seq=MzM5MA==

앞서 소개한 정재헌의 두 작품과 달리 도시와 자연의 경계선에 위치하는 운중동 주택. 임기택은 운중동 주택이 고속도로, 대규모 시설 사이에서 한국성과 자연을 향유할 수 있는 방법론을 고민한 작품이라고 말합니다."외부에...
18/04/2025

앞서 소개한 정재헌의 두 작품과 달리 도시와 자연의 경계선에 위치하는 운중동 주택. 임기택은 운중동 주택이 고속도로, 대규모 시설 사이에서 한국성과 자연을 향유할 수 있는 방법론을 고민한 작품이라고 말합니다.

"외부에서 보았을 때 전체 하부 벽은 도시의 콘텍스트에 순응하듯 대지의 경계를 따라 구획되어 있고 매스는 무심히 떠 있어서 일견 닫힌 공간으로 느껴지지만,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외부에서 느꼈던 닫힌 매스감이 이를 받치고 있는 벽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충격적으로 반전되면서 하늘로 열려 있다. 벽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수공간의 물소리와 함께 상부로 열린 태허의 우주를 사색할 수 있는 공간이 펼쳐지는 것이다." by 임기택

설계 정재헌 + 모노건축사사무소
사진 박영채

운중동 카페의 자세한 이야기는 「SPACE(공간)」 689호(2024년 4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와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vmspace.com/project/project_view.html?base_seq=MzM3MA==&page=1

"미네랄 하우스(2024)는 하천변에 넓게 펼쳐진 들판에 위치하고 있다. 정재헌은 농지의 그리드 체계에 순응하는 동시에 자연을 담고 끌어들이는 프레임으로 구성하면서 완벽하게 하나의 소우주를 만들어내고 있다."by 임...
08/04/2025

"미네랄 하우스(2024)는 하천변에 넓게 펼쳐진 들판에 위치하고 있다. 정재헌은 농지의 그리드 체계에 순응하는 동시에 자연을 담고 끌어들이는 프레임으로 구성하면서 완벽하게 하나의 소우주를 만들어내고 있다."
by 임기택

설계 정재헌 + 모노건축사사무소
사진 박영채

미네랄 하우스의 자세한 이야기는 「SPACE(공간)」 689호(2024년 4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와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vmspace.com/project/project_view.html?base_seq=MzM2OQ==

4월호에는 정재헌의 카페 3제를 담았습니다. 그는 그의 작품이 오브제처럼 자기완결적 성격을 띄는 일반적인 카페와 다르게 '하나의 마을 같다'고 표현합니다.처음으로 소개하는 작품은 호시담 카페(2018)입니다. 한 폭...
04/04/2025

4월호에는 정재헌의 카페 3제를 담았습니다. 그는 그의 작품이 오브제처럼 자기완결적 성격을 띄는 일반적인 카페와 다르게 '하나의 마을 같다'고 표현합니다.

처음으로 소개하는 작품은 호시담 카페(2018)입니다. 한 폭의 회화를 마주한 듯한 느낌은 어떻게 연출했을까요?

설계 정재헌 + 모노건축사사무소
사진 박영채

주변 풍광을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보이도록 조율된 호시담 카페의 자세한 이야기는 「SPACE(공간)」 689호(2024년 4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와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vmspace.com/project/project_view.html?base_seq=MzM2Nw==

No.689 APR 2025FRAME고아한 힘이 무르익다: 정재헌호시담 카페미네랄 하우스운중동 카페LIFE젊은 작가들, 파리에서 날마다 축제: 메종&오브제 ‘라이징 탤런트 어워즈’REPORT제작이 설계를 확장할 때:...
31/03/2025

No.689 APR 2025

FRAME
고아한 힘이 무르익다: 정재헌

호시담 카페
미네랄 하우스
운중동 카페

LIFE
젊은 작가들, 파리에서 날마다 축제: 메종&오브제 ‘라이징 탤런트 어워즈’

REPORT
제작이 설계를 확장할 때: LLDS
마을과 밀착된 공공시설의 작지만 큰 변화: 도깨비마당
고시원, 대안적 주거의 가능성: 선랩건축사사무소

SERIES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30주년 기념 인터뷰 4: 여섯 번째 커미셔너, 승효상
사랑으로부터
일시적 중소도시: 정주성의 균열

https://vmspace.com/store/book_view.html?base_seq=MTQyMA==&page=1&url_type=1

일산 직업능력개발원 기숙사는 장애인이 직업 능력 향상을 위해 훈련과 교육을 받는 거주시설입니다. 이곳의 증축을 서울 서진학교(2020)을 설계했던 코어건축사 사무소가 맡았습니다.발달장애 학생들이 다니는 서진학교와는 ...
27/03/2025

일산 직업능력개발원 기숙사는 장애인이 직업 능력 향상을 위해 훈련과 교육을 받는 거주시설입니다. 이곳의 증축을 서울 서진학교(2020)을 설계했던 코어건축사 사무소가 맡았습니다.

발달장애 학생들이 다니는 서진학교와는 달리, 일산 직업능력개발원 기숙사는 성인인 신체장애인이 주요 이용자였는데요. 건축가는 서울서진학교가 일산 기숙사를 계획하는 데 있어 기본적인 바탕이 됐다고 말합니다.

본관동과의 관계, 기존 질서와 약간의 변화 등 일산 직업능력개발원 기숙사의 자세한 이야기는 「SPACE(공간)」 688호(2024년 3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와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설계 코어건축사사무소
사진 노경

https://vmspace.com/project/project_view.html?base_seq=MzM2Mg==

한국관 다시 보기: 2025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예술감독, CAC자르디니에 한국관이 건립된 지 30주년이 되는 2025년, 건축 전문 큐레이터 집단 CAC(Curating Architecture Collective...
25/03/2025

한국관 다시 보기: 2025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예술감독, CAC

자르디니에 한국관이 건립된 지 30주년이 되는 2025년, 건축 전문 큐레이터 집단 CAC(Curating Architecture Collective)가 예술감독에 선정됐다.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예술감독 선정을 위한 공모 당시 CAC는 한국관 건립과 베니스 그리고 자르디니의 역사에서 중요한 요소였던 ‘나무’를 중심으로 한 ‘나무의 집’이라는 주제를 제시했다. 그리고 현재 이 기획은 〈두껍아 두껍아: 집의 시간〉이라는 제목으로 구체화됐다. 최초의 전시 기획에 관한 생각부터 1년가량의 준비 기간 동안 구체화된 기획, 본 전시의 구성 등 2025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의 계획을 들어보고자 CAC를 만났다.

https://vmspace.com/report/report_view.html?base_seq=MzMzNg==

"건물마다 디자인의 총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요리로 치면 김동진만의 섬세한 ‘간’이라고 할까? 거기에서 나오는 질적 차이가 있다." by 조항만단순한 매스처럼 보이지만, 세밀하게 분절한 역삼 다...
20/03/2025

"건물마다 디자인의 총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요리로 치면 김동진만의 섬세한 ‘간’이라고 할까? 거기에서 나오는 질적 차이가 있다." by 조항만

단순한 매스처럼 보이지만, 세밀하게 분절한 역삼 다이크로익(2023). 재료의 다양한 속성이 서로 부닥치며 상호작용을 만들어냅니다.

설계 김동진 + 로디자인
사진 김용관

자세한 이야기는 「SPACE(공간)」 688호(2024년 3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와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vmspace.com/project/project_view.html?base_seq=MzM0Nw==&page=1

갑각류의 단단한 껍질을 의미하는 카라파스. 청담 카라파스(2023)의 이중 외피가 "일조제한 등 법규와 사행활 보호가 문제시 되는 작은 골목에서 김동진이 개발한 비법 같다"고 조항만 교수는 말합니다.높은 층고로 환경...
14/03/2025

갑각류의 단단한 껍질을 의미하는 카라파스. 청담 카라파스(2023)의 이중 외피가 "일조제한 등 법규와 사행활 보호가 문제시 되는 작은 골목에서 김동진이 개발한 비법 같다"고 조항만 교수는 말합니다.

높은 층고로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면서도 내부가 보호된 공간. 청담 카라파스의 자세한 이야기는 「SPACE(공간)」 688호(2024년 3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와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설계 김동진 + 로디자인
사진 김용관

https://vmspace.com/project/project_view.html?base_seq=MzM0Mg==

"김동진은 후암 카르스트처럼 경사지에 위치한 근생에서 저층부에 다양한 방향의 접근성을 만드는 일을 하는 것 같다. 레벨 차를 이용해 사람을 불러모아 거리에 활력을 주고자 함일 것이다. 그 바람이 주차로 인해 틀어지는...
11/03/2025

"김동진은 후암 카르스트처럼 경사지에 위치한 근생에서 저층부에 다양한 방향의 접근성을 만드는 일을 하는 것 같다. 레벨 차를 이용해 사람을 불러모아 거리에 활력을 주고자 함일 것이다. 그 바람이 주차로 인해 틀어지는 경우를 불식하려는 태도가 종종 발견된다." by 조항만

설계 김동진 + 로디자인
사진 김용관

「SPACE(공간)」 688호(2024년 3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와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vmspace.com/project/project_view.html?base_seq=MzMzOQ==&page=1

Address

서대문구 연희로 52-20
Seoul
03781

Opening Hours

Monday 09:00 - 18:00
Tuesday 09:00 - 18:00
Wednesday 09:00 - 18:00
Thursday 09:00 - 18:00
Friday 09:00 - 18:00

Telephone

02-396-3359

Alerts

Be the first to know and let us send you an email when Space Magazine posts news and promotions.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Contact The Business

Send a message to Space Magazine:

Share

Category